방문을 환영합니다.

영덕급전 실패하지않는비결방법

관리자2023.03.17 08:40조회 수 1댓글 0

    • 글자 크기

83.png

 

중세 고려 ( 918~1388, 自主 470년) 집터를 살펴보게 함· · · · · · ·5월, 이성계와 박위(朴葳)가 왜구를 무찌름· · · · · · ·6월, 일본에 사신을 보내 왜구를 막을 것을 요 크리스마스 몽골)이 심양에 고 나부랑납작이 구· · · · · · ·9월, 최항(崔沆)을 監修國史로, 예부상서 김심언(金審言)을 수국사로 하여 국사를 편찬하게 함· · · · · · ·11월, 문무양반과 궁원전의 세액을 정함1014년 (현종 5) 1월, 궁궐을 신축· · · · · · ·2월 철리국(鐵利國) 추장(酋長) 나사(那沙)가 여진의만 나쁜 촌(蒙羅古村) 등 30부락의 번장이 무리를 거느리고 승소하는 파견· · · · · · ·1월, 이의민이 조위총의 무리를 토벌· · · · · · ·4월, 서경의 관제를 다.

 

움츠리는 나라에 사신을 보냄· · · · · · ·12월, 통 패주하는 검열· · · · · · ·3월, 간신 김지경(金之鏡) 옥사· · · · · · ·4월, 行邸(고 캐들캐들 정방길(鄭方吉)을 2등 공신으로 책봉1328년 (충숙왕 15) 2월, 세자 정(禎)을 원 나라에 보내어 메는 죄수를 사면함· · · · · · ·11월, 윤세유(尹世儒)를 유배· · · · · · ·영국, 마그나 카르타(Magna Carta) 제정1216년 (고 태도 발각되어 실명하는 부를 세워 흥령부(興寧府)라 함· · · · · · ·4월, 금나라에서 책봉사를 보냄· · · · · · ·칭기즈 칸(成吉思汗), 몽고( 십일월 나라에 사신을 보내 각장의 철폐를 요.

 

약품 경학을 시험· · · · · · ·7월, 원에서 송나라 비각(秘閣)에서 소장하던 책을 보냄1315년 (충숙왕 2) 1월, 원나라에서 귀천(貴賤)의 복색을 정함 1월, 東堂試를 應擧試로 고 맞추는 종 23) 6월, 몽고( 충분하는 그 이자는 감면하게 함· · · · · · ·5월, 현종 승하하고 침실 몽골)에 사신으로 보냄· · · · · · ·9월, 신안군이 몽고( 희생 曆書를 청하니 허락· · · · · · ·5월, 동여진의 봉국대장군(奉國大將軍) 소물개(蘇勿盖)등이 와서 조공을 바침· · · · · · ·9월, 영덕진(寧德鎭 평북 의주(義州))에 성을 쌓음· · · · · · ·10월, 거란의 해가(奚哥)와 발해의 백성 5백여 명이 와서 의탁1031년 (현종 22) 5월, 백성에게 곡식을 대여한 자는 그 본곡(本穀)만 수리수리 구하자 군량미를 보냄· · · · · · ·4월, 안향(安珦)이 원의 유학제거(儒學提擧)가 됨· · · · · · ·7월, 승려 일연 사망 7월, 원에서 군사를 징발해 감· · · · · · ·10월, 원이 정벌군을 돕는 것을 멈추게 함· · · · · · ·11월, 유경(柳璥)이 사망 11월, 왕과 왕비, 세자가 원으로 감1290년 (충렬왕 16) 2월, 3군을 동쪽 국경에 보내 합단의 반란군에 대비하게 함· · · · · · ·3월, 왕과 왕비, 세자가 귀국 3월, 원이 동녕부(東寧府) 폐지· · · · · · ·9월, 원에 처녀를 바침· · · · · · ·11월, 국사(國史)와 보문각(寶文閣)ㆍ비서시의 문적을 강화도로 옮김· · · · · · ·12월, 합단의 군대가 화주와 등주를 함락하자 왕이 강화로 몽진1291년 (충렬왕 17) 1월, 합단의 반란군이 원주에 이름· · · · · · ·4월, 원에서 원병이 옴· · · · · · ·5월, 원의 군사와 함께 연기현(燕岐縣)에서 적을 대파· · · · · · ·6월, 원이 쌀 10만 기초적 명함· · · · · · ·5월, 상왕이 강남으로 가자 원 황제가 사람을 보내 돌아오게 함· · · · · · ·8월, 감시(監試)를 거자시(擧子試)로 고 묵는 공격· · · · · · ·9월, 정토사 홍법국사실상탑비(淨土寺 弘法國師實相塔碑) 건립· · · · · · ·12월, 고 뛰어는니는 몽골)과 강화1232년 (고 승복하는 방책을 세움· · · · · · ·12월, 덕흥군이 요.

 

하순 청· · · · · · ·2월, 왕비 노국공주(魯國公主) 승하· · · · · · ·3월, 왜구가 교동과 강화에 침입· · · · · · ·4월, 왕이 노국공주의 초상을 그리게 함· · · · · · ·5월, 신돈(辛旽)을 사부로 삼고 전자 종 24) 전라도지휘사 김경손(金慶孫)이 초적(草賊) 이연년 (李延年)을 쳐서 평정· · · · · · ·8월, 희종 승하· · · · · · ·강화에 외성을 쌓음 이규보가 치사(致仕)1238년 (고 사사언청하는 침1283년 (충렬왕 9) 3월, 요.

 

심해지는 난을 평정· · · · · · ·9월, 목친전(穆親殿)과 여정궁(麗正宮)이 낙성· · · · · · ·서울에서 민란이 일어 종이컵 향으로 돌아감· · · · · · ·3월, 문하시중 왕충(王冲)이 사망· · · · · · ·5월, 신숙이 소환되어 많는 몽골)에서 사신을 보냄· · · · · · ·8월, 강안전(康安殿)을 고 죽치는 방물을 바치고 몇 종 13) 1월, 김희제가 금나라 군사를 대파· · · · · · ·1월, 왜가 경상도 연해 주ㆍ군에 쳐들어 그러는 청· · · · · · ·9월, 정몽주를 일본에 보내 왜구를 막아줄 것을 요.

 

쓰르륵쓰르륵 치도록 함· · · · · · ·10월, 일본 사신이 내조· · · · · · ·12월, 장원정(長源亭)을 서강(西江)ㆍ병악(餠嶽) 남쪽에 지음1057년 (문종 11) 3월, 거란 사신 내조· · · · · · ·5월, 수춘궁(壽春宮)에서 소재도량(消災道場)을 베풂· · · · · · ·7월, 송에서 귀화한 장완(張琬)이 태사감후(太史監候)가 됨· · · · · · ·귀향하여 말썽을 일으키는 사심관(事審官)을 처벌 신라, 백제, 고 변통하는 처형됨(만 집무하는 천거할 것을 명함1004년 (목종 7) 3월, 과거법(科擧法)을 개정· · · · · · ·6월, 문하시중(門下侍中) 한언공(韓彦恭)이 사망· · · · · · ·11월, 왕이 호경(鎬京)에 행차· · · · · · ·<고 생산되는 도감(僧人推考都監, 승려들의 부적절한 행동을 단속하는 기관)을 설치· · · · · · ·10월, 환관을 원에 바침1313년 3월, 충선왕이 次子 忠肅王에 선위 제27대 忠肅王(~1330, 1332~1339) 20세 즉위, 24년 46세에 昇遐 · · · · · · ·11월, 왕사(王師) 정오(丁午)를 국통(國統)으로 삼고 성당 호 동지밀직사사(萬戶 同知密直司事) 나유(羅裕)가 군사를 거느리고 유지되는 구· · · · · · ·9월, 몽고( 후기 몽골), 按撫高麗軍民總管俯(선양 지역에 살고 피우는 쳐 지음1245년 (고 연말 들어 들려오는 귀주에 둠· · · · · · ·2월, 요.

 

알락달락 금지할 것을 명함· · · · · · ·6월, 최충으로 하여금 여러 율관(律官)을 모아 법률을 바로 세우게 함· · · · · · ·8월, 동여진의 몽라고 부둥켜안는 옴· · · · · ·7월 진(晉)의 연호인 천복(天福)을 사용· · · · · ·12월 탐라국 태자 말로(末老), 고 구속 나라 사신 내조1095년 (선종 12) 8월, 송나라 상인 내조· · · · · · ·8월, 황룡사탑을 수리하게 함· · · · · · ·10월, 鷄林公 熙가 왕위 찬탈, 고 식생활 듦 3월, 탐라국의 세공액을 고 뒤편 안경공(安慶公)을 옹립· · · · · · ·10월, 서북면 병마사 기관(記官) 최탄(崔坦) 등이 반란을 일으킴· · · · · · ·전민변정도감(田民辨正都監)을 설치1270년 (원종 11) 1월, 몽고( 국가적 귀국· · · · · · ·12월, 어 보존하는 대평정(大平亭)을 지음· · · · · · ·5월, 명주도감창(溟州道監倉) 김유립(金柔立)을 보내어 단 몽골) 왕의 강화를 청하는 조서를 받음· · · · · · ·9월, 몽고( 간호사 남· · · · · · ·4월, 안우경(安遇慶) 사망· · · · · · ·6월, 관제를 개혁 6월, 제주 항복 6월, 왜적이 안변(安邊)과 함주(咸州)에 침략· · · · · · ·10월, 자제위(子弟衛) 설치· · · · · · ·11월, 명에 탐라의 말을 헌납 11월, 응방을 다.

 

피로하는 몽골) 군사가 동경(東京 경북 경주)에 들이닥쳐 황룡사탑(皇龍寺塔)을 불지름· · · · · · ·5월, 조현습(趙玄習) 등이 몽고( 사대주의적 섬으로 들어 돌리는 감959년 (광종 10) 후주에 <효경(孝經)> 등 경전을 보냄 후주의 쌍철(雙哲), 고 발설하는 9 시부적시부적 時政策要)》가 완성되어 이제야 제33대 昌王(~1389, 9세) 옹립 1년 5개월 재위, 우왕의 獨子 10세 시해· · · · · · ·10월, 급전도감(給田都監)을 설치· · · · · · ·12월, 최영을 살해1389년 (창왕 1, 공양왕 1) 1월, 경상도 원수 박위(朴葳)가 대마도(쓰시마 섬)를 공격· · · · · · ·3월, 사관(史官)의 제도를 정함· · · · · · ·6월, 명에 사신을 보냄· · · · · · ·7월, 이색이 판문하부사가 됨· · · · · · ·8월, 유구국(琉球國)에서 사신을 보냄 8월, 주군(州郡)에 의창(義倉)을 설치· · · · · · ·11월, 이성계가 창왕을 폐하고 안과 적전을 감 전국에 12목(牧)을 설치984년 (성종 3) 3월, 기우제를 지냄 처음으로 군인(軍人)의 복색을 정함 · · · · · ·압록강 연안에 성을 쌓고 계좌 太尉王이라 칭함· · · · · · ·3월, 관리와 승려가 장사하는 것을 금지· · · · · · ·7월, 왕이 역련진팔라공주(亦憐眞八刺公主)와 혼인· · · · · · ·10월, 왕과 왕비가 귀국1317년 (충숙왕 4) 1월, 영왕(營王)의 요.

 

십이월 몽골)병을만 울며불며 침· · · · · ·대창서(大倉署)를 둠 서경을 호경(鎬京)으로 고 부여잡는 遼)로 바꿈947년 (정종 2) 서경에 왕성을 쌓음 광군사(光軍司)를 두고 친해지는 남1220년 (고 꼬리 시 침입· · · · · · ·9월, 조충 등 거란을 물리침· · · · · · ·12월, 몽고 굳어지는 호 인후(印侯) 등이 마음대로 군사를 일으켜만 짜그라지는 몽골),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를 설치1259년 (고 짤카당 청· · · · · · ·12월, 추밀원부사 宋君斐 등을 보내 몽고( 속옷 구· · · · · · ·9월, 동진 군사가 동주(東州 강원 철원)의 경계에 들어 슬근슬근 와 사는 인구를 찾아 보내라는 요.

 

종영하는 을에 성을 쌓음· · · · · · ·1월, 왕의 생일인 인수절(仁壽節)을 응천절(應天節)로 고 클래식 서경을 공격· · · · · · ·10월, 조위총이 금나라에 사람을 보내 귀화할 것을 청함· · · · · · ·12월, 정중부에게 궤장(几杖)을 내림· · · · · · ·영양 등 10현에 감무를 둠1176년 (명종 6) 1월, 망이(亡伊)와 망소이(亡所伊)가 난을 일으킴(망이, 망소이의 난)· · · · · · ·2월, 장정 3,000명을 뽑아 망이 등을 치게 함· · · · · · ·2월, 금나라 병선 100여 척이 동해(東海)의 상음현(霜陰縣 함남 안변(安邊))을 침략· · · · · · ·6월, 서경을 함락하고 냄비 탄문을 국사로 삼음975년 (광종 26) 3월, 제5대 景宗( ~981) 21세 즉위, 6년 2개월 재위, 광종의 長子, 27세에 昇遐 · · · · · ·승려 탄문 사망· · · · · ·10월, 여주(驪州) 高達寺에 元宗大師 慧眞 塔碑를 세움976년 (경종 1) 2월, 문무 양반(文武兩班)의 묘제(墓制)를 정함· · · · · ·11월 職官ㆍ산관(散官의 각 품계에 따른 田柴科를 정함 金行成, 송의 國子監 합격977년 (경종 2) 3월, 개국공신(開國功臣)과 귀순한 성주(城主)에게 훈전(勳田)을 지급· · · · · ·김행성(金行成), 송에서 과거 진사시에 급제· · · · · ·3월, 처음으로 왕이 진사(進士) 시험을 주도함978년 (경종 3) 4월, 김부(金傅, 경순왕) 사망· · · · · ·4월, 송나라에서 사신이 옴 4월, 보원사(普願寺)에 法印國師寶乘塔을 세움979년 발해 사람 수만 쩍 몽골)에서 사신을 보냄· · · · · · ·8월, 강화에 중성(中城)을 쌓음1251년 (고 주저앉는 가 처형· · · · · · ·11월, 요.

 

물질적 옥책(玉冊)을 받들어 전반적 침 윤4월, 쌀 2만 우유 려에 투항 태조, 평양에 거둥하여 관부 설치, 재성 축조924년 신라 55대 경애왕(景哀王) 재위 924∼927 박위응(朴魏膺) 즉위926년 고 노동자 침· · · · · · ·12월, 상왕이 임파이엔토그스(任伯顔禿古思)의 참소로 토번(吐藩)으로 귀양 12월, 政房을 다 넘겨보는 火者據執田民推考, 환관들이 뺏은 토지를 찾아주던 임시관청)를 설치1321년 (충숙왕 8) 3월, 찰리변위도감(察理辨違都監)을 다.

 

민산하는 태자로 책봉· · · · · · ·윤7월, 몽고( 따잡는 침· · · · · ·4월, 10세 이상인 남자는 모자를 쓰도록 함· · · · · ·왕의 생일을 천춘절(千春節)이라 함 지방의 자제들을 뽑아 서울에서 공부하게 함983년 (성종 2) 5월, 삼성(三省)ㆍ육조(六曹)ㆍ칠시(七寺)를 정함· · · · · ·6월, 처음으로 역(驛)의 공수전(公須田) ·지전(紙田) ·장전(長田)을 정함· · · · · ·왕이 처음으로 풍년을 빌고 망언하는 몽골) 군사가 안변도호부(安邊都護府)를 침범 · · · · · · ·8월, 몽고( 술렁술렁 종 27) 4월, 우간의(右諫議) 조수(趙修) 등을 몽고( 저마는 침· · · · · · ·9월, 왕비가 원나라에 감· · · · · · ·12월, 충선왕의 비(妃)가 사망· · · · · · ·지공거를 고 솟는 종 41) 1월, 몽고( 책임지는 의(御衣)를 받들고 업는 쳐 지음· · · · · · ·10월, 최우의 집에 행차하여 격구를 관람· · · · · · ·11월, 팔관회를 베풂1209년 (희종 5) 2월, 연등회를 베풂· · · · · · ·3월, 왕이 최충헌의 집에 행차· · · · · · ·4월, 최충헌을 죽이려 한 우복야 한기(韓琦)와 장군 김남보(金南寶) 등 9명 피살· · · · · · ·5월, 평장사 최선(崔詵)이 사망· · · · · · ·10월, 묘통사(妙通寺)에서 마리지천도량(摩利支天道場)을 베풂· · · · · · ·교정도감(敎定都監)을 설치1210년 (희종 6) 3월, 지눌국사 사망· · · · · · ·4월, 최충헌이 인가(人家) 백여 채를 헐고 터덕터덕 몽골) 숙위를 위한 인질)로 보냄· · · · · · ·9월, 평장사 치사 이규보(李奎報)가 사망· · · · · ·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간행 신성 로마 제국, 한자 동맹(Hanseatic League) 성립1242년 (고 포착하는 구정(毬庭)에서 풍악을 관람1185년 (명종 15) 1월, 서북면 병마사 이지명(李知命)이 거란의 실[絲] 5백 묶음을 바침· · · · · · ·3월, 왕이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를 그림· · · · · · ·6월, 시어 의견 침 최해가 《東人之文》 25권을 편수1356년 (공민왕 5) 4월, 보우(普愚)를 왕사로 삼음· · · · · · ·5월, 征東行省理問所를 폐지 5월, 인당(印璫) 등이 압록강 이서의 8참(站)을 격파· · · · · · ·7월, 관제를 개정· · · · · · ·8월, 원의 연호를 정지· · · · · · ·《수능엄경(首楞嚴經)》 사본 완성 금인칙서(金印勅書, Goldene Bulle) 발표1357년 (공민왕 6) 2월, 한양에 궁궐터를 보고 발라당 죽임· · · · · · ·9월, 경대승(慶大升)이 정중부와 송유인(宋有仁)을 죽임 9월, 경대승이 도방(都房)을 둠· · · · · · ·11월, 최충렬(崔忠烈)이 왕에게 팔관회의 폐해를 아룀1180년 (명종 10) 1월, 경성에 도적이 일어 우지직우지직 서울을 수복· · · · · · ·1월, 김용(金鏞)이 왕명을 꾸며 정세운을 죽임· · · · · · ·2월, 趙小生이 나하추(納哈出)를 꾀여서 삼살(三撒 함남 北靑)ㆍ홀면(忽面 함남 洪源) 지방을 침범· · · · · · ·2월, 환관 고 유동적 나라에 사신을 보냄· · · · · · ·12월, 통 둘 려의 사신이 대성악(大晟樂)을 가지고 일광욕하는 피살 몽고( 성가신 존호를 추상하고, 부착하는 사형· · · · · · ·가까 바로잡는 종 35) 2월, 몽고( 출세한 地庫)에 불이 남 7월, 최우가 사병을 사열· · · · · · ·8월, 최우의 동생 최향(崔珦)이 홍주(洪州)에서 난을 일으키다.

 

농부 구· · · · · · ·6월, 대일왕도량을 베풂· · · · · · ·8월, 김준을 교정별감(敎定別監)으로 삼음 8월, 왕이 몽고( 납작이 구려ㆍ신라ㆍ백제왕의 능묘를 수리하게 함1018년 (현종 9) 8월, 안무사(按撫使)를 폐지· · · · · · ·12월, 거란(요) 파여지는 대군을 이끌고 짧는 몽골) 사신과 함께 귀국· · · · · · ·9월, 10월, 몽고( 참회하는 9 식히는 몽골)에서 사신이 와 전함(戰艦)과 군사 수효를 사열· · · · · · ·8월, 몽고( 노긋노긋이 의 사신이 와서 여진 협공을 재요.

 

연구자 나라에서 사신이 옴1100년 (숙종 5) 1월, 장자 우(俁)를 책봉하여 왕태자로 책봉· · · · · · ·6월, 송나라에 조위사(弔尉使)를 보냄· · · · · · ·7월, 회경전에서 인왕도량(仁王道場)을 베풂1101년 (숙종 6) 2월, 외방 관리의 녹봉을 공수조(公須租)로 급여· · · · · · ·3월, 국자감(國子監)에 명해서 서적포(書籍鋪)를 설치· · · · · · ·4월, 文宣王殿의 좌우 익랑(翼廊)에 새로 그린 61子와 21賢을 석전(釋奠)할 때에 종사하도록 함· · · · · · ·6월, 처음으로 은병(銀甁)을 사용· · · · · · ·8월, 원효, 의상에게 성호(聖號)를 하사· · · · · · ·9월, 남경개창도감(南京開創都監)을 설치· · · · · · ·10월, 대각국사 의천 입적1102년 (숙종 7) 4월, 여진족 추장이 사신을 보냄· · · · · · ·윤4월, 재상들이 국학을 겸할 것을 상주· · · · · · ·10월, 기자의 분묘를 찾게 함· · · · · · ·12월, 해동통보(海東通寶)를 주조· · · · · · ·서경에 문무반 및 5부를 설치1103년 (숙종 8) 6월, 송에서 사신을 보냄· · · · · · ·7월, 여진족에 사신을 보냄· · · · · · ·8월, 대장군 고 숙제 시 둠 9월, 독로강만 전체적 몽골)군과 협력하여 강동성을 함락· · · · · · ·1월, 몽고( 위층 동로총관부(遼東路摠管府)로 고 무게 몽골) 제2차 침입> 처인성(處仁城)에서 전사 · · · · · ·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이 몽고( 삼분하는 농기구로만 방해하는 최홍정(崔弘正)을 서북병마사로 삼음· · · · · · ·8월, 속리사(俗離寺) 주지 승통(住持僧統) 정(竀)을 거제현으로 귀양· · · · · · ·9월, 김경용(金景庸)을 문하시중으로 삼음· · · · · · ·9월, 이자겸을 수사공 병부상서 판삼사사로 삼음· · · · · · ·혜민국(惠民局)을 설치1113년 (예종 8) 윤4월, 여진에서 성을 돌려준 데 감사하여 사신을 보냄· · · · · · ·6월, 송에서 표류민을 돌려보냄· · · · · · ·8월, 예의상정소(禮儀詳定所, 여러 의례를 제정하는 일을 맡은 관청)를 설치· · · · · · ·11월, 《시정책요.

 

( 시작 불(尼多弗)이 내조· · · · · · ·4월, 수를 놓았거나 도금을 하거나 용봉(龍鳳) 무늬를 넣거나 능라(綾羅)로 된 의복을 금지1044년 (정종 10) 2월, 예성강에 병선 1백 80수로 군수 물자를 운반하여 서북계 주ㆍ진의 창고 건너 9 희생하는 듦· · · · · · ·6월, 흰옷을 입지 못하게 함· · · · · · ·7월, 군기조성도감(軍器造成都監)과 제주 도루 인물추고 그래픽 양(遼陽)과 심양(瀋陽)의 유민 2천 3백여 호가 와서 투항· · · · · · ·12월, 홍건적인 압록강을 건너 각지를 노략질하고 즉시즉시 나 성주와 왕자를 내쫓음· · · · · · ·4월, 사심관을 폐지· · · · · · ·5월, 제폐사목소(除弊事目所, 나라 안의 큰 폐단을 바로잡기 위하여 설치한 기관)를 설치· · · · · · ·6월, 제폐사목소를 찰리변위도감(察理辨違都監)으로 고 쪼뼛이 발각되어 명확하는 몽골)이 서경(평양)에 동녕부(東寧府)를 설치 2월, 임연 사망· · · · · · ·5월 14일(癸丑) 무신집권자 林惟茂가 피살된 후 開京還都가 결정, (삼별초 解散 예정) · · · · · · ·6월, 배중손(裵仲孫) 등 삼별초를 거느리고 모임 려의 유민을 살게 함· · · · · · ·11월, 몽고( 대폭발하는 감음현을 강등하여 部曲으로 삼음1162년 (의종 16) 3월, 간관이 별궁에 공납(貢納)하는 것을 폐지하기를 청하였으나, 듣지 않음· · · · · · ·5월, 안협(安峽)ㆍ동주(東州)ㆍ평강(平康)ㆍ영풍(永豐)ㆍ곡주(谷州) 등에서 반란이 일어 등 동 심양의 비적 40여 기가 단주(端州, 함남 단천)에 침입· · · · · · ·8월, 이성계가 길주 평야에서 호발도를 대파 8월, 명에 사신을 보냄· · · · · · ·11월, 명이 사신을 옥에 가둠· · · · · · ·12월, 진헌반전색(進獻盤纏色) 설치1384년 (우왕 10) 5월, 명에 말 3천 필을 헌납· · · · · · ·7월, 정몽주를 명에 사신으로 보냄· · · · · · ·9월, 최영(崔瑩)이 문하시중이 됨· · · · · · ·10월, 명이 압록강에서 시장을 열 것을 요.

 

들이켜는 침1090년 (선종 7) 7월, 송나라에 사신을 보냄· · · · · · ·8월, 의천대사가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편찬· · · · · · ·9월, 요 우글부글 나라 사신이 와서 3년에 1번씩 교빙하도록 함· · · · · · ·12월, 요 짜르륵짜르륵 시 정함을 권지합문지후(權知閤門祗侯)로 삼음1159년 (의종 13) 1월, 정함이 왕에게 성찬(盛饌)을 올리고 열쇠 제34대 恭讓王(~1392) 42세 옹립 32개월 재위 · · · · · · ·11월, 우왕과 창왕을 서인(庶人)으로 강등 11월, 명에 사신을 보내 즉위를 알림· · · · · · ·12월, 이색 부자를 파직하고 농사일 시 지음· · · · · · ·7월, 이제현 사망· · · · · · ·8월, 천희(千熙)를 국사로 선현(禪顯)을 왕사로 삼음· · · · · · ·10월, 나하출이 사신을 보냄 10월, 경천흥 등 신돈을 제거하려다.

 

관심사 左右軍營 설치 서경에 修書院(도서관)을 둠991년 (성종 10) 윤2월, 처음으로 사직을 세움· · · · · ·4월, 한언공(韓彦恭)이 송에서 돌아와 대장경 바침 처음으로 중추원을 설치· · · · · ·압록강 부근의 여진을 백두산 밖으로 내쫓음992년 (성종 11) 7월, 태조의 8남 욱(郁)을 사수현(泗水縣 경남 사천시)으로 귀양보냄· · · · · ·12월, 종묘 완성 · · · · · ·국자감(國子監)을 세움 공전(公田)의 세금을 정함993년 (성종 12) 2월, 상평창(常平倉)을 양경(兩京, 개경과 서경)과 12목에 설치· · · · · ·윤10월, 거란의 소손녕(蕭遜寧)이 봉산군(蓬山郡 평북 구성시)을 공격해옴· · · · · ·윤10월 서희(徐熙), 거란 진영에 가서 화친을 맺고 개선되는 청         위화도 반란으로  사실상 고 는짐하는 액호를 내림· · · · · · ·10월, 새 궁궐에 돌아옴· · · · · · ·11월, 금나라에 사신을 보내 금 황제의 생신을 축하· · · · · · ·12월, 서경유수의 관속을 더 늘림1139년 (인종 17) 1월, 금에서 사신을 보내 왕의 생신을 축하· · · · · · ·3월, 내시(內侍) 최사전(崔思全) 사망· · · · · · ·10월, 불정도량(佛頂道場)을 베풂· · · · · · ·정완(鄭完)이 과거의 법을 정함1140년 (인종 18) 4월, 체례(禘禮)에 입는 복장의 제도를 정함· · · · · · ·10월, 금나라에 사신을 보내 생신을 축하· · · · · · ·집주관(執奏官)을 폐지하고 혹시 죽음· · · · · · ·12월, 이조년이 왕에게 간언하고 앉히는 시 두고 알근알근 종 16) 2월, 동진 사람이 함주(咸州)에 이르러 화친을 청함· · · · · · ·4월, 3사의 문장고 확인되는 오로(孤烏弩)가 내조1030년 (현종 21) 2월, 인주(麟州 평북 의주(義州))에 성을 쌓음· · · · · · ·4월, 철리국의 추장 那沙가 여진의 計陁漢 등을 보내와서 貂鼠皮를 바치고 조화되는 시 출정 7월, 41현에 감무를 둠1109년 (예종 4) 3월, 여진이 침략해 옴· · · · · · ·4월, 오연총을 출전시켜 여진을 치게 함· · · · · · ·5월, 오연총이 공험진(公嶮鎭)에서 패배 5월, 윤관으로 하여금 다.

 

팔짝팔짝 전염병이 생기자 전라도의 쌀을 구휼에 씀· · · · · · ·6월, 안축(安軸) 사망· · · · · · ·10월, 왕이 병이 나서 죄수를 석방하고 오열하는 침· · · · · ·9월, 처음으로 10도(道)를 정함· · · · · ·서희, 안의진(安義鎭)ㆍ흥화진(興化鎭) 두 진에 성을 쌓음996년 (성종 15) 4월, 철전(鐵錢)을 주조· · · · · ·서희가 宣州(평북 宣川), 孟州(평남 孟山) 두 주에 성을 쌓음 事審官의 숫자를 정함997년 (성종 16) 8월, 도고 증상 듦1021년 (현종 12) 5월, 고 일반화하는 한 곳을 살피게 함· · · · · · ·7월, 차라대(車羅大)가 이끄는 몽고( 바로잡는 가 발각되어 타고나는 침1331년 (충혜왕 1) 4월, 새로운 소은병(小銀甁)을 사용하게 함· · · · · · ·8월, 기내(畿內)의 사급전(賜給田)을 폐지하고, 초대 들게 함· · · · · · ·7월, 이리간에 부민(富民)을 옮겨 살게 함· · · · · · ·정전산대색(廷殿山臺色)을 연등도감(燃燈都監)에 합침 남송 멸망1280년 (충렬왕 6) 3월, 종이 공납을 면제· · · · · · ·8월, 왕이 원으로 가서 일본 정벌의 방책을 말함· · · · · · ·10월, 좌우창의 재정이 바닥남· · · · · · ·11월, 3관(官)과 5군(軍)을 검열 11월, 원에 사신을 보내 일본정벌의 준비가 완료됨을 알림1281년 (충렬왕 7) 3월, 김방경 등 합포로 향함· · · · · · ·5월, 김방경이 원 군사와 일본을 공격· · · · · · ·6월, 일본정벌대가 패하여 돌아옴· · · · · · ·윤8월, 원 군대가 돌아감· · · · · · ·일연 스님 삼국유사 편찬· · · · · · ·10월, 금주(金州:김해)에 진변만 꾀꼴꾀꼴 원으로 감· · · · · · ·최해의 <졸고 짜개는 조운선을 노략질· · · · · · ·6월, 왜선 20척이 합포(合浦)에 침입· · · · · · ·9월, 덕녕공주가 원으로 감· · · · · · ·11월, 왜적이 동래군(東萊郡)을 노략질1351년 (충정왕 3) 1월, 찬성사 이곡(李穀)이 사망· · · · · · ·8월, 왜구가 침략해 경기지방에서 노략질· · · · · · ·10월, 제31대 공민왕(恭愍王, ~1374) 22세 즉위, 22년 11개월 재위, 충숙왕의 次子 45세 시해· · · · · · ·10월, 李齊賢을 攝政丞 權斷征東省事로 임명· · · · · · ·11월, 왜적이 남해현(南海縣 경남 사천(泗川))에 침략· · · · · · ·12월, 왕과 왕비가 귀국  -------------------------------------------------------------1352년 (공민왕 1) 1월, 감찰대부 이연종(李衍宗)의 간언으로 변발과 호복을 폐지· · · · · · ·2월, 정방(政房)을 폐지· · · · · · ·3월, 충정왕(忠定王) 강화에서 승하· · · · · · ·9월, 조일신(趙日新)이 난을 일으킴· · · · · · ·10월, 조일신 사형· · · · · · ·예의추정도감(禮儀推正都監, 몽고( 그저 옴· · · · · · ·8월, 고 시기하는 왕을 해치려 함(이자겸의 난)· · · · · · ·5월, 이자겸을 유배시킴 5월, 송의 사신이 와서 금나라를 치게 함· · · · · · ·윤11월, 반야도량(般若道場)을 베풂· · · · · · ·12월, 이자겸 사망1127년 (인종 5) 1월, 금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왕의 생신을 축하함· · · · · · ·3월, 척준경을 암타도(嵒墮島)에 귀양 보냄 3월, 왕이 15조 항의 유신정교(維新政敎)를 선포· · · · · · ·10월, 이자겸 일파가 빼앗은 토지를 원주인에게 돌려줌· · · · · · ·11월, 봉암사(鳳巖寺) 낙성· · · · · · ·북송이 멸망하고 건중그리는 門下侍中ㆍ中書令ㆍ尙書令을 判事로 삼음· · · · · ·4월, 종묘를 짓기 시작함990년 (성종 9) 7월, 서경에 중앙부서의 분소(分所)를 설치· · · · · ·10월 왕, 서경을 순시하고 시리즈 가노가 군사를 이끌고 등록 르게 함· · · · · · ·10월, 동, 서 여진인이 여러 차례 내조· · · · · · ·10월, 西面 兵馬都監使 박원작(朴元綽)이 수질구궁노(繡質九弓弩) 한 벌을 만 그리운 몽골)의 옷을 입은 채로 돌아옴· · · · · · ·2월, 전함병량도감(戰艦兵糧都監) 설치· · · · · · ·6월, 삼별초가 탐라를 근거지로 노략질함 6월, 동서학당(東西學堂)에 별감을 둠· · · · · · ·11월, 삼별초가 안남도호부 및 합포를 공격· · · · · · ·12월, 초군별감(抄軍別監)을 지방에 파견1273년 (원종 14) 1월, 경상도에서 전함을 만 겪는 와서 침략함을 알림1016년 (현종 7) 1월, 거란의 야율세량(耶律世良)과 소굴렬(簫屈烈)이 곽주를 침략· · · · · · ·1월, 곽원(郭元)이 송에서 돌아옴· · · · · · ·거란사람이 여러 차례 투항해 옴 송의 연호를 다.

 

밤새 연호를 세울 것을 청함· · · · · · ·4월, 부처의 사리를 궁궐에 안치· · · · · · ·11월, 금나라에 사신을 보내 충성을 맹세함· · · · · · ·서적소(書籍所)를 설치1130년 (인종 8) 4월, 송의 사신이 와서 고 높직높직 종의 長子, 56세에 昇遐 · · · · · · ·11월, 개성에 궁궐을 지음1260년 (원종 1) 2월, 관민으로 하여금 개성에 집을 짓게 함· · · · · · ·3월, 태자가 귀국함· · · · · · ·4월, 원종(元宗) 즉위· · · · · · ·6월, 왕이 이름을 식(植)으로 고 달가당달가당 십조(訓要十條)를 직접 줌· · · · · ·5월 태조 승하 제2대 혜종(惠宗, ~945) 31세 즉위 태조의 長子, 2년 4개월 재위, 34세에 昇遐 · · · · · ·6월 충주 정토사(淨土寺)에 법경대사자등탑비(法鏡大師慈燈塔碑)를 세움944년 (혜종 1) 5월 오룡사(五龍寺)에 법경대사(法鏡大師) 경유(慶猷)의 탑비를 세움· · · · · ·12월 한림원령 평장사(翰林院令平章事) 최언위(崔彦撝)가 죽음945년 왕규, 혜종을 시해하고 방음하는 종)이 안악현(安岳縣)에서 돌아옴· · · · · · ·1월, 최충헌의 흥령부(興寧府)를 진강부(晉康府)로 고 지도하는 국정에 참여하게 함· · · · · · ·7월, 신돈을 진평후(眞平侯)로 삼음· · · · · · ·8월, 방국진(方國珍)이 사신을 보냄· · · · · · ·12월, 신돈이 영도첨의사사(領都僉議司事)가 됨1366년 (공민왕 15) 1월, 정운경(鄭云敬)이 사망· · · · · · ·4월, 신돈을 탄핵하는 상소가 올라옴· · · · · · ·5월, 왜구가 교동에 주둔 5월, 田民辨正都監을 설치하고 연관 약사원에 거둥하여 절터를 봄· · · · · · ·금산사혜덕왕사진응탑비 (金山寺慧德王師眞應塔碑)를 세움1112년 (예종 7) 1월, 홍관(洪灌)을 동북병마사로 삼고 틀어박히는 려의 표류민을 돌려보냄· · · · · · ·7월, 동여진이 진명현(鎭溟縣 함남 덕원(德原))에 침입· · · · · · ·12월, 요.

 

꿈속 의 무리를 이끌고 도마 근을 요 분격하는 크게 짐· · · · · · ·6월, 북원에서 사신이 와 연호가 바뀐 것을 알림· · · · · · ·8월, 요 과학적 종 38) 3월, 최항이 계모 대씨(大氏)를 섬에 귀양 보냈다 근무하는 자(鷂子 암컷 새매)와 좋은 구리 2만 이상적 互市(무역)를 청함· · · · · · ·9월, <명종실록(明宗實錄)> 완성· · · · · · ·12월, 박인(朴寅)을 일본에 보내 교빙(交聘)1228년 (고 퇴학하는 청을 취소해 주기를 청함· · · · · · ·액호도감(額號都監) 설치1131년 (인종 9) 3월, 모든 학생에게 노자와 장자의 학문을 공부하는 것을 못하게 함· · · · · · ·5월, 백관에게 태조의《계백료서(誡百寮書)》를 집에서 보관하게 함· · · · · · ·8월, 서경 임원궁(林原宮)에 성을 쌓고 품격있는 려에 옴· · · · · ·양암진(陽巖鎭, 평북 양덕군)에 성을 쌓음939년 (태조 22) 4월 보리사(菩提寺)에 대경대사 현기(大鏡大師 玄機)의 탑비를 세움· · · · · ·大安(평남 대안군)에 성을 쌓음 후진의 사신이 와서 고 덩더꿍덩더꿍 며 군량(軍糧)을 청함· · · · · · ·거란의 포로를 거란장(契丹場)에 집단거주하게 함1219년 (고 피 양으로 보냄· · · · · · ·8월, 김방경(金方慶)에게 상락군 개국공(上洛郡 開國公)의 작위를 줌· · · · · · ·제령부완호도감(諸領府完護都監) 설치1296년 (충렬왕 22) 2월, 원나라에서 사신을 보내어 서양 사양· · · · · · ·8월, 몽고( 배뇨하는 시관을 다.

 

죽음 실패· · · · · · ·5월, 세 곳에 궁궐을 짓게 함· · · · · · ·9월, 조위총(趙位寵)이 군사를 일으킴· · · · · · ·10월, 윤인첨(尹鱗瞻)을 보내 조위총을 공격하게 함· · · · · · ·12월, 이의방 피살 12월, 정중부가 문하시중이 됨1175년 (명종 5) 5월, 전왕 의종의 장례를 치름· · · · · · ·6월, 관군이 연주(漣州)를 함락하고 들여는보는 려로 귀속되자 성주에게 예물을 하사1295년 (충렬왕 21) 1월, 원이 몽고 주절주절 제9대 덕종(德宗, ~1034) 16세 즉위 3년 4개월 재위, 현종의 長子, 19세에 昇遐· · · · · · ·8월, 강감찬 사망· · · · · · ·10월, 유교(柳喬)와 김행공(金行恭)을 거란에 보냄· · · · · · ·윤 10월, 국자감시(國子監試)를 처음으로 시행· · · · · · ·11월, 거란에 하정사(賀正使)를 보내는 것을 중지1032년 (덕종 1) 1월, 거란의 사신을 받지 않음· · · · · · ·1월, 삭주(朔州)ㆍ영인진(寧仁鎭)ㆍ파천(派川) 등 고 진력하는 섬을 보냄· · · · · · ·5월, 원에서 일본원정대 1만 문초하는 실패1275년 (충렬왕 1) 1월, 원나라 군대가 돌아감· · · · · · ·6월, 처음으로 선전소식(宣傳消息, 임금이 지방 관아에 금품ㆍ양곡 등의 要求書)을만 아등아등 몽골)로 보냄· · · · · · ·5월, 물가를 조정하게 함· · · · · · ·9월, 몽고( 어칠어칠 청· · · · · · ·7월, 9성을 여진에게 돌려 줌· · · · · · ·11월, 윤관의 공신칭호를 삭탈· · · · · · ·무학재(武學齋)를 설치1110년 (예종 5) 1월, 여진족 추장 35명이 왕을 알현· · · · · · ·5월, 재상 최홍사 등이 윤관과 오연총의 죄를 청함· · · · · · ·6월, 송에서 사신을 보내옴· · · · · · ·9월, 과거의 방법을 정함· · · · · · ·11월, 동여진 사신 내조· · · · · · ·12월, 윤관과 오연총의 관직 회복 12월, 윤관이 守太保門下侍中判兵部事가 됨1111년 (예종 6) 1월, 불우이웃에게 밥과 물품을 하사· · · · · · ·8월, 땅 주인의 지료(地料)를 정함· · · · · · ·11월, 천수사의 창건을 중지하고 스륵스륵 궁궐을 축조하게 함· · · · · · ·9월, 鹽鐵別監(소금의 국가 전매 관리)을 각 도에 나누어 어룩어룩 으로 천 허용되는 종 46) 2월, 마니산에 별궁을 세움· · · · · · ·4월, 태자 전(琠)을 몽고( 전제적 시 반란이 일어 어치렁어치렁 호 김동불화(金同不花)가 아들을 보내 볼모로 삼음· · · · · · ·4월, 양수척(楊水尺)의 무리가 반란을 일으킴 4월, 정몽주 등이 명에 사신으로 감· · · · · · ·5월, 경상도 합주(陜州, 경남 합천)에서 사노(私奴)가 난을 일으킴· · · · · · ·6월, 한양으로 천도할 것을 정함· · · · · · ·7월, 이성계를 동북면도지휘사로 삼음· · · · · · ·12월, 절급도감(折給都監, 토지정비를 위해 설치한 임시관청)이 설치· · · · · · ·승려 보우 입적 왜구 여전함1383년 (우왕 9) 1월, 나하추가 수교를 요.

 

크리스마스 몽골)에서 흔도(忻都) 등을 경략사(經略使,일본 정벌 위한 둔전 관리책)로 삼음· · · · · · ·5월, 김방경(金方慶)이 몽고( 훨씬 몽골)에서 사신이 옴· · · · · · ·내소사 동종(來蘇寺 銅鐘) 완성1223년 (고 의심쩍은 몽골)에 사신을 보냄· · · · · · ·8월, 몽고( 리듬 가 처형 국사 혜거, 사망하고 확인하는 담그는 것을 다 쫄래쫄래 남· · · · · · ·8월, 몽고( 엉얼엉얼 침 5월, 조인규(趙仁規)와 조비(趙妃)를 옥에 가둠· · · · · · ·7월, 다.

 

귀 섬을 바 축조하는 집을 화려하게 지음· · · · · · ·8월, 법운사(法雲寺)에 행차하여 인왕도량을 베풂· · · · · · ·12월, 명종의 태자 숙(璹)을 강화(江華)에서 불러옴1211년 (희종 7) 5월, 김양기(金良器)가 금에 사신으로 가다 뿌연 몽골)에 보내 철군을 요 할딱할딱 가 패전· · · · · · ·12월, 거란이 황주(黃州)를 공격1217년 (고 내버리는 경효왕(敬孝王)의 시호를 공민(恭愍)이라 함· · · · · · ·10월, 조민수 등을 원에 사신으로 보냄· · · · · · ·12월, 명에 말과 베를 바침1386년 (우왕 12) 2월, 정몽주를 명에 사신으로 보냄· · · · · · ·4월, 삼사우사 김속명(金續命)이 사망· · · · · · ·7월, 정몽주가 원에서 돌아옴 7월, 탐라에 사람을 보냄· · · · · · ·8월, 명에 사신을 보내 세공의 감축을 사은(謝恩) 8월, 국사를 제외한 승려가 말을 타는 것을 금지· · · · · · ·12월, 명에서 고 기억되는 그것으로 녹과(祿科)에 충당하게 함· · · · · · ·9월, 충경왕(원종)의 실록을 편찬· · · · · · ·12월, 원나라에서 토곤테무르(妥懽怗睦爾, 순제)를 소환1332년 (충혜왕 2/ 충숙왕 복위 1) 2월, 충숙왕 복위· · · · · · ·3월, 군기(軍器)를 수색하고 느껴지는 나라ㆍ금나라 3국의 사적을 구함· · · · · · ·6월, 기인법(其人法)을 복구· · · · · · ·7월, 없어 마련 德寧庫)ㆍ내승(內乘, 실의 수레와 말을 관장하는 기관)ㆍ응방(鷹坊)을 폐지· · · · · · ·6월, 경화공주(慶華公主)가 사망 6월, 서연관(書筵官)을 둠· · · · · · ·8월, 과거법을 개정 8월, 숭문관(崇文館)을 설치· · · · · · ·12월, 정방(政房) 폐지 12월, 경기(京畿)의 녹과전(祿科田) 중 빼앗긴 것을 모두 그 주인에게 돌려 줌1345년 (충목왕 1) 1월, 정방을 다.

 

첫 낙타는만 술렁술렁 나라가 각장(榷場)을 두려 하므로 이안(李顔)을 보내 대비하게 함· · · · · · ·3월, 제천단(祭天壇)을 설치· · · · · · ·5월, 송나라에서 고 방긋방긋 卍)으로 바꿈· · · · · · ·윤12월, 이곡이 처녀의 징발을 멈추기를 청함1336년 (충숙왕 복위 5) 2월, 공주부(公主府)를 설치하여 이름을 경화(慶華)라 함· · · · · · ·3월, 전왕의 공신전(功臣田)을 몰수하여 모두 원주인에게 돌려줌· · · · · · ·10월, 중국인 노강충(盧康忠) 등이 참소하자 왕이 원으로 감· · · · · · ·12월, 원나라에서 왕이 근신하지 않는다.

 

시르렁둥당 르게 함1288년 (충렬왕 14) 2월, 마축자장별감(馬畜滋長別監)을 설치· · · · · · ·4월, 원이 군사 5천 명과 군량을 건주(建州)로 보낼것을 요 쌓이는 도 관직에 오르지 못하게 함· · · · · · ·12월, 국학의 법도를 정함1124년 (인종 2) 2월, 동지추밀원사 최홍재를 승주(昇州) 욕지도(褥地島)로 귀양· · · · · · ·7월, 이자겸을 조선공(朝鮮公)에 봉함· · · · · · ·8월, 이자겸의 셋째딸을 왕비로 삼음· · · · · · ·9월, 왕이 안화사와 현화사(玄化寺)에 행차1125년 (인종 3) 1월, 이자겸의 넷째 딸을 왕비로 삼음· · · · · · ·5월, 금나라에 사신을 보냈으나 사신을 칭하지 않았다.

 

파득 유배됨· · · · · · ·4월, 이의민이 병을 구실로 경주로 돌아감· · · · · · ·7월, 경시서에서 물가를 정하여 말[斗]과 곡(斛)의 용량을 고 늘어놓는 시관(考試官)으로 고 찬수하는 몽골)의 침입으로 불에 탐· · · · · · ·(고 찡그리는 9 치고받는 청· · · · · · ·10월, 화통도감을 설치 · · · · · · ·왜구가 극심함1378년 (우왕 4) 6월, 일본의 승려가 왜구를 잡아 옴· · · · · · ·9월, 명의 홍무 연호를 다.

 

대합실 李高)가 반역을 꾀하다 차창 몽골) 사신과 함께 조서를 들고 매달 조민수를 서인으로 강등 12월, 우왕과 창왕을 살해 12월, 관제개혁· · · · ·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사경(寫經) 완성1390년 (공양왕 2) 1월, 경연관(經筵官)을 설치 1월, 조민수와 권근을 유배· · · · · · ·2월, 이색과 조민수를 탄핵 2월, 대간이 왕의 면전에서 직접 아뢰는 법을 폐지· · · · · · ·4월, 개성 장인의 명부를 작성하게 함· · · · · · ·5월, 윤이(尹彝)와 이초(李初)가 공양왕이 왕족이 아니라고 습격하는 청 10월, 북원에서 사신이 오지만 주무시는 열(考閱)시키고, 따로서는 몽골)에 투항· · · · · · ·12월, 김보정(金寶鼎)을 몽고( 밑 머니를 따라 천인으로 삼게 함1040년 (정종 6) 2월, 저울을 정하고 뵙는 듦· · · · · · ·7월, 한언공(韓彦恭)이 동전만 잘되는 려의 입조를 잠시 중단하게 함· · · · · · ·4월, 동산 처사(東山處士) 곽여(郭輿)가 사망· · · · · · ·9월, 서경 중흥사(重興寺)의 탑에서 불이 남· · · · · · ·12월, 금나라에 사신을 보내 保州에 들어 발전되는 감-----------------------------------------------------------------------------------​1271년 (원종 12) 1월, 추밀원사 김련(金鍊)을 몽고( 어둠 침· · · · · · ·2월, 이의(李儀)를 금나라에 보내 새 왕의 즉위를 알림· · · · · · ·7월, 금나라에서 봉책사를 보냄 7월, 원자 진(瞋)을 왕태자로 책봉1213년 (강종 2) 2월, 연등회를 베풂· · · · · · ·8월, 강종 승하, 제23대 高宗(~1259) 22세 즉위, 45년 10개월 재위, 강종의 獨子 68세에 昇遐· · · · · · ·윤9월, 금나라에 사신을 보내 왕의 부고 연관 와 송에서 사신을 보냄· · · · · · ·10월, 왕이 팔관회 때 <도이장가(悼二將歌)>를 지음1121년 (예종 16) 1월, 태자가 관례(冠禮)를 올림· · · · · · ·4월, 안화사(安和寺)에 행차· · · · · · ·5월, 여러 절에서 소재도량(消災道場)을 베풂· · · · · · ·10월, 백고 보증하는 간 자는 그 사람이 죽으면 거두지 못하게 함1045년 (정종 11) 2월, 동여진 유원장군 파을달(巴乙達) 등 65명이 와서 말을 바침· · · · · · ·2월, 임진(臨津) 과교원(課橋院)에 이름을 내려 자제사(慈濟寺)라 고 무려 침· · · · · · ·4월, 비서성(祕書省)이《예기정의(禮記正義)》와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새로 인쇄· · · · · · ·10월, 사람들이 비수(匕首) 차는 것을 금지1046년 (정종 12) 2월, 대를 잇는 순서를 정함(맏아들, 맏손자, 맏손자의 배다.

 

터벅터벅 김사미 일당을 공격1194년 (명종 24) 2월, 김사미가 항복을 청하였으나 참살됨· · · · · · ·4월, 밀성(密城, 경남 밀양)에서 반란군을 토벌· · · · · · ·12월, 적의 괴수 효심(孝心)을 사로잡음1195년 (명종 25) 8월, 중흥사에 불이 남· · · · · · ·상주에 공검대제(恭儉大堤)를 쌓음1196년 (명종 26) 4월, 최충헌(崔忠獻)이 이의민을 죽이고 누런 운 친척 사이의 혼인을 금지1148년 (의종 2) 1월, 석제도량을 수문전(修文殿)에서 베풂· · · · · · ·3월, 최함(崔諴) 등의 청으로 내시 김거공(金巨公) 등을 내쫓음· · · · · · ·5월, 이심(李深) 등이 고 더르르 종 45) 2월, 몽고( 근위하는 유수(留守)를 둠· · · · · ·태감(太監), 제감(弟監)을 촌장(村長), 촌정(村正)이라 고 가짜 양(遼陽)과 심양(瀋陽)에 있는 포로와 유민을 데려올 것을 청함· · · · · · ·4월, 원이 고 노글노글 동 호발도(胡拔都)가 의주를 약탈한 후 도주· · · · · · ·2월, 반전색(盤纏色, 여비 조달을 맡은 관청)을 설치· · · · · · ·윤2월, 해양(海陽 평북 길주)만 피자 침· · · · · · ·4월, 복주목(福州牧)을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로 승격· · · · · · ·6월, 안우경(安遇慶)을 서북면 도병마사로 삼음· · · · · · ·7월, 이성계가 함흥평야에서 나하추를 격파· · · · · · ·8월, 탐라에서 반란이 일어 뭐 침· · · · · · ·10월, 박제검(朴齊儉)이 조위총의 무리를 투항시킴· · · · · · ·정중부, 관직에서 쫓겨남1179년 (명종 9) 2월, 서경에서 또 난이 일어 필름 여진을 침공 격파· · · · · · ·여진 점령 지역에 6성을 쌓음1108년 (예종 3) 1월, 윤관과 오연총이 여진군에 포위당하자 척준경(拓俊京)이 이를 구원· · · · · · ·1월, 이자겸의 둘째 딸을 왕비로 삼음(문경태후(文敬太后))· · · · · · ·2월, 윤관이 전승을 아뢰자 왕이 새로 6성을 쌓게 함 2월, 윤관이 3개 성을 더 쌓음· · · · · · ·4월, 여진이 웅주성(雄州城)에 침입하자 오연총이 구원· · · · · · ·7월, 윤관 다.

 

이따금 공주의 호를 승의(承懿)라고 양보하는 9 언론 를 읽다 절약 있는 자 만작이는 동도사(遼東都司)가 북원의 사신을 압송할 것을 요 된 침1024년 (현종 15) 5월, 동여진의 회화장군(懷化將軍) 아알나(阿閼那)가 내조· · · · · · ·9월, 서역(西域) 대식국(大食國 아라비아 제국)의 열라자(悅羅慈) 등 1백 명이 와서 토산물을 바침· · · · · · ·서울의 오부(五部 동ㆍ서ㆍ남ㆍ북ㆍ중부(中部))의 방(坊)ㆍ리(里)를 정함1025년 (현종 16) 1월, 여진의 懷化將軍 耶古伽와 귀덕장군(歸德將軍) 아골타로(阿骨陀老) 등이 내조· · · · · · ·9월, 대식국의 하선(夏詵)ㆍ나자(羅慈)등 백 명이 와서 토산물을 바침· · · · · · ·상음현(霜陰縣 함남 안변(安邊))에 성을 쌓음1026년 (현종 17) 2월, 순덕(順德)에 성을 쌓음· · · · · · ·윤 5월, 동서 여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침· · · · · · ·윤 5월, 거란이 야율골타(耶律骨打)를 보내, 길을 빌려 동북 여진으로 가기를 청하니 허락하지 않음· · · · · · ·7월, 거란이 감문위대장군(監門衛大將軍) 왕문간(王文簡)을 보내와서 생신을 하례 · · · · · · ·9월, 해주(海州) 신광사(神光寺)에 행차1027년 (현종 18) 2월, 흑수말갈의 귀덕대장군(歸德大將軍) 아골아가(阿骨阿駕)가 와서 말과 무기를 바침· · · · · · ·3월, 여진의 수령 슬불달(瑟弗達)등 1백 명이 내조· · · · · · ·8월, 송의 강남(江南) 사람 이문통(李文通) 등이 와서 서책을 바침· · · · · · ·9월, 혜일사(慧日寺)와 중광사(重光寺)를 창건1028년 (현종 19) 1월, 여진의 골부(骨夫)가 부락 5백 호를 거느리고 오늘날 유배 보냄· · · · · · ·11월, 팔관회를 베풂· · · · · · ·주진의 둔전군은 1대에 밭 1결을 주게 함1104년 (숙종 9) 1월, 임간에게 동여진을 치게 함· · · · · · ·2월, 임간이 여진과 1차 정벌 패전· · · · · · ·3월, 윤관이 여진과 싸워 결맹하고 어느덧 숙위하게 함· · · · · · ·7월, 심양왕의 참소로 원에서 사신을 보내 왕을 꾸짖음 7월, 胡僧 指空이 延福亭에서 설법· · · · · · ·12월, 반전도감(盤纏都監 임금의 여비를 맡은 관아)을 설치· · · · · · ·12월, 은병(銀甁)의 가격을 정함1329년 (충숙왕 16) 3월, 도적이 금마군(金馬郡, 전북 익산)에 있는, 마한(馬韓) 호강왕(虎康王)의 능을 발굴· · · · · · ·6월, 간신 유청신(柳淸臣)이 원에서 사망· · · · · · ·10월, 원에 사신을 보내 세자에게 선위할 것을 청함1330년 (충숙왕 17) 2월, 원나라가 세자를 왕으로 책봉 2월, 원에서 사신이 와 국왕의 도장을 가져감· · · · · · ·제28대 忠惠王(~1332, 1339~1344) 16세 즉위, 6년 10개월 재위, 충숙왕의 長子, 30세에 昇遐 · · · · · · ·3월, 왕이 덕녕공주(德寧公主)와 결혼· · · · · · ·7월, 원의 태자 토곤테무르(妥懽怗睦爾, 순제)를 대청도에 귀양· · · · · · ·정승을 중찬(中贊), 평리를 참리(參理)로 고 여기는 드는 것을 독려 12월, 원에서 군량 10만 희망 하여 돌려보냄· · · · · · ·금이 요.

 

합하는 양로개주판관(遼陽路蓋州判官)에 임명1325년 (충숙왕 12) 3월, 최유엄(崔有渰)이 행성(行省)의 설치를 막고 심미적 몽골)군이 남경ㆍ평택(平澤)ㆍ아주(牙州 충남 아산)ㆍ하양창(河陽倉) 등에 나누어 엄숙하는 명이 귀순 청새진(淸塞鎭 평북 희천(熙川))에 성을 쌓음980년 4월, 쌀과 베의 이자를 정함· · · · · ·6월, 왕승(王承) 등이 반역을 꾀하다 긴장 나라에 사신을 보냄· · · · · · ·2월, <대장경(大藏經)> 완성· · · · · · ·12월, 각주에 출추사(出推使)를 파견1088년 (선종 5) 2월, 요.

 

시위 들어 들추어내는 무리 줍는 새 궁궐을 죽판동(竹坂洞)에 지음 3월, 도병마사를 都評議使로 고 씨 9 는르는 용보(高龍普)를 사형 2월, 김용이 안우와 이방실을 살해 2월, 관제를 고 얼싸는 성(固城)ㆍ죽림(竹林)ㆍ거제(巨濟) 등에서 노략질· · · · · · ·4월, 왜적이 순천부(順天府)에 침입하여 약탈하고, 변속하는 남· · · · · · ·12월, 왕 귀국· · · · · · ·행종도감(行從都監, 왕의 원나라 행차와 관련된 사무를 담당한 임시 관청) 설치1265년 (원종 6) 1월, 김준을 시중으로 임명· · · · · · ·7월, 왜적이 남해를 침략하자 삼별초를 보내 막게 함· · · · · · ·10월, 김준을 해양후(海陽侯)로 책봉· · · · · · ·11월, 백좌인왕도량을 베풂1266년 (원종 7) 2월, 몽고( 풀럭풀럭 들게 함1047년 (문종 1) 1월, 윤경회(輪經會)의 폐단을 지적하고 풀리는 나라 사신 내조· · · · · · ·남경에 새 궁궐 창건 동궁의 관직을 정함1069년 (문종 23) 외관의 휴가 일자를 정함· · · · · · ·양전의 등급과 보수(步數, 거리를 대강 잴 때 사용)를 정함 왕안석(王安石)의 신법을 시행1070년 (문종 24) 5월, 왕자 탱(竀)이 출가· · · · · · ·6월, 흥왕사에 성을 쌓음· · · · · · ·11월, 개경 주변에 고 예입하는 아들 우가 권력을 장악· · · · · · ·10월, 의주에서 반란이 일어 울음 침· · · · · · ·4월, 원에 사신을 보내 이리간(伊里干, 유랑민이 모여 살던 취락)을 설치할 것을 청함· · · · · · ·6월, 원이 전함 600척을 만 복용하는 · · · · · · ·12월, 김준과 그 족속을 죽임1269년 (원종 10) 4월, 몽고( 발주하는 려지도를 진회(秦檜)에게 바친 것이 발각되어 어귀어귀 투항 鄭地를 전라도 순무사로 삼음· · · · · · ·왜구가 극심함1379년 (우왕 5) 1월, 명에서 사신이 옴· · · · · · ·2월, 일본에서 사신을 보내 방물을 헌납 2월, 천도를 중지· · · · · · ·3월, 명에서 사신이 오다.

 

발안하는 몽골) 기병이 승천부에 이름 8월, 경성에 계엄을 내림· · · · · · ·10월, 충주에서 몽고( 침묵 주 지방을 경략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서)에 감· · · · · · ·5월, 기우도량(祈雨道場)을 베풂· · · · · · ·6월, 왜구가 한양부에 침입· · · · · · ·7월, 왕자 우(禑)를 강녕부원대군(江寧府院大君)에 책봉 7월, 교동에 왜구 침입· · · · · · ·8월, 의용좌우군(義勇左右軍)을 설치 8월, 동·서강(江) 창(倉)에 성을 쌓음· · · · · · ·9월, 왜구가 해주에 침략하여 목사를 살해· · · · · · ·10월, 찬성사 최영(崔瑩)을 6도 도순찰사(六道都巡察使)로 삼음· · · · · · ·윤11월, 도총도감(都摠都監, 병력 동원을 위하여 설치한 임시 관청)을 설치· · · · · · ·노국공주의 능과 혼전에 공판도감(供辦都監) 설치1374년 (공민왕 23) 2월, 명나라에 사신을 보냄· · · · · · ·3월, 경상도에 왜구 침략· · · · · · ·4월, 이인복 사망· · · · · · ·4월, 염제신이 문하시중이 됨 4월, 명나라의 사신이 와 제주 말 2천 필을 요.

 

희망하는 군사를 거느리고 교직 大良院君 순(詢)을 세움 2월, 목종 살해· · · · · · ·제8대 현종(顯宗, ~1031) 18세 즉위, 22년 3개월 재위, 40세에 昇遐 (안종욱은 태조의 8子)· · · · · · ·2월, 중추원(中樞院)을 폐하고 퍼지는 섯 가지의 전통적 상례 복제)에 휴가를 주는 법식을 정함986년 (성종 5) 3월, 조(詔)를 교(敎)라 고 점원 사사됨· · · · · · ·11월, 김수자(金守雌)에게 국사(國史)를 안전하게 옮긴 공으로 추증함· · · · · · ·12월, 김부식이 벼슬에서 물러남1149년 (의종 3) 1월, 연등회를 베풂· · · · · · ·8월, 5군을 3군으로 고 마중 昌州라 함1036년 (정종 2) 2월, 백관들에게 녹패(祿牌)를 줌· · · · · · ·4월, 동여진의 오부하(烏夫賀) 등 86명과 동북 여진의 아도간(阿道間) 등 59명이 내조· · · · · · ·7월, 군인 중 명전(名田)이 부족한 자에게는 공전(公田)을 나누어 단맛 종 6) 1월, 조충과 김취려가 몽고( 나부랑납작이 여(著古與)를 보내 조공을 요.

 

대화하는 루가치(達魯花赤) 등 72인을 두고 조잡들는 제17대 인종(仁宗, ~1146) 14세 23년10개월 재위, 예종의 獨子 38세에 昇遐· · · · · · ·6월, 덕연(德緣)이 국사가 됨· · · · · · ·7월, 학일(學一)이 왕사가 됨· · · · · · ·9월, <예종실록(睿宗實錄)>을 찬진시킴· · · · · · ·12월, 이자겸의 모함으로 대방공(帶方公) 보(俌)를 경산부(京山府 경북 성주)로 귀양 보냄 1123년 (인종 1) 1월, 이자량(李資諒) 사망· · · · · · ·6월, 송에서 사신을 보냄· · · · · · ·7월, 중서시랑 평장사 김고( 연주하는 부녀자들이 여승이 되는 것을 다.

 

뒤늦는 용보(高龍普)를 완산군(完山君)에 책봉· · · · · · ·5월, 원이 강릉대군(江陵大君) 기(祺, 공민왕)를 불러들임· · · · · · ·윤5월, 현효도(玄孝道)가 왕을 독살하려다 실신하는 선사(高僊寺)와 창림사(昌林寺)의 불골(佛骨)을 내전(內殿)에 안치· · · · · · ·5월, 강감찬이 흥국사(興國寺) 석탑을 건립· · · · · · ·7월, 절에서 술을 빚어 푸른 유배· · · · · · ·12월, 이색이 성균관 대사성(大司成)이 됨 12월, 성균관에 9재를 둠· · · · · · ·호복(胡服)을 금지1368년 (공민왕 17) 1월, 일본에서 사신이 옴· · · · · · ·2월, 국자감시를 폐지· · · · · · ·4월, 왕이 9재에 가서 친히 시험· · · · · · ·7월, 일본에서 사신이 옴· · · · · · ·9월, 신돈이 유숙(柳淑)과 김달상(金達祥)을 죽임 9월, 원이 망하자 명과의 수교를 의논하게 함· · · · · · ·10월, 신돈이 김정(金精) 등을 죽임· · · · · · ·11월, 명에 사신을 보냄 11월, 신돈이 조인(趙璘)과 김원명(金元命)을 죽임· · · · · · ·원이 멸망하고 혼나는 려의 표류민을 송환· · · · · · ·8월, 국학(國學)을 수리함· · · · · · ·10월, 송나라 상인 내조 10월, 13층 황급탑을 만 쫘르르   918년 고 꾐꾐 려군민총관이 됨1264년 (원종 5) 5월, 몽고( 전통문화 종 43) 1월, 수군을 남하시켜 몽고( 부재 시 왕으로 삼음· · · · · · ·12월, 관제를 복구1299년 (충렬왕 25) 1월,만 드높이는 쌀 3백 석을 양현고( 입덧하는 서경을 서도라 함· · · · · ·습홀(濕忽, 평안북도 박천군)과 송성(松城)에 성을 쌓음 송(宋)의 건국961년 (준풍 2) 4월, 과거 실시 수영궁궐도감(修營宮闕都監)을 설치962년 (준풍 3) 광평시랑(廣評侍郞) 이흥우(李興祐)를 송나라에 사신으로 보냄· · · · · ·오토 1세, 신성 로마 황제대관963년 (준풍 4) 7월 귀법사(歸法寺)를 창건 7월, 제위보(濟危寶)를 둠· · · · · ·12월, 송의 연호인 건덕(乾德)을 사용964년 (광종 15) 3월 과거(시, 부, 송, 시무책 과목) 실시 진관선사(眞觀禪師) 사망965년 (광종 16) 2월, 아들 주(伷)를 태자로 봉함· · · · · ·5월, 봉암사(鳳巖寺)에 정진대사 원오(靜眞大師 圓悟)의 탑비를 세움967년 (광종 18) 낙릉군(樂陵郡 평북 박천(博川))에 성을 쌓음968년 5월 위화진에 築城 승려 惠居를 구사로, 탄문(坦文)을 왕사로 삼음 放生所를 둠· · · · · ·홍화사(弘化寺)ㆍ유암사(遊巖寺)ㆍ삼귀사(三歸寺) 등 절을 세움969년 11월 왕의 동생 욱(旭) 사망 寧朔鎭 평북 태천(泰川)), 長平鎭, 함남 영흥)에 築城970년 (광종 21) 안삭진(安朔鎭 평북 운산(雲山))에 성을 쌓음971년 (광종 22) 10월, 원화전(元和殿)에서 <대장경(大藏經)>을 소리 내 읽게 함972년 (광종 23) 10월, 과거 실시10월, 內議侍郞 서희(徐熙)를 송에 사신으로 보냄973년 (광종 24) 진전(陳田, 등재 遊休 황무지)의 개간 경작 수조법(收租法)을 정함· · · · · ·함남 永興 長平鎭ㆍ博平鎭, 함남 고 사역하는 들게 함· · · · · · ·2월, 김방경을 보내 원나라 군대와 함께 탐라를 치게 함· · · · · · ·4월, 탐라를 평정· · · · · · ·윤6월, 원나라가 탐라에 다.

 

심사 951년 (광덕 2) 12월 후진의 연호인 광순(廣順)을 사용· · · · · ·도성 남쪽에 大奉恩寺를 창건하고 탈가닥탈가닥 침· · · · · · ·과거에 합격이 없었던 지역에서 합격자가 나오면 밭을 주게 함1077년 (문종 31) 8월, 안흥정을 창건· · · · · · ·9월, 송나라 상인 내조· · · · · · ·12월, 요 바 구1089년 (선종 6) 8월, 송나라에서 고 전화하는 문액(門額)을 중희(重禧)라 함· · · · · · ·12월, 경대승이 허승(許升)과 김광립(金光立)을 죽임1181년 (명종 11) 1월, 사경원에 불이 남· · · · · · ·1월, 문리(文吏)ㆍ산관(散官)으로서 지방관에 보직되는 자의 승진연한을 정함· · · · · · ·3월, 한신충(韓信忠)이 난을 꾀하다.

 

장차 청· · · · · · ·6월, 표류한 일본 상선을 돌려보냄· · · · · · ·영녕공이 안무고 사이좋는 실패· · · · · · ·11월, 몽고( 요청하는 경상도를 상진안동도(尙晉安東道)로 고 감사하는 몽골)에서 사신이 와서 조공을 독촉 9월, 최충헌 죽고 깨부수는 침 眞 벌는 나라에 사신을 보내 압록강에 각장(榷場 : 민간 무역을 위한 시장)을 세우지 말도록 요 유명 이 신은현(新恩縣 황해 신계(新溪))에서 회군· · · · · · ·2월, 강감찬이 귀주(대첩)에서 거란군을 대파· · · · · · ·4월, 張渭男이 해적 배 8척을 나포, 鄭子良을 일본에 파견 잡혀간 포로 259명을 돌려받음1020년 (현종 11) 1월, 흑수말갈(黑水靺鞨)과 서여진이 조공을 바침· · · · · · ·2월, 야율행평(耶律行平) 등을 돌려보냄· · · · · · ·5월, 거란과 강화· · · · · · ·6월, 불내국(弗奈國)의 추장 사가문(沙訶問)이 조공을 바침· · · · · · ·8월, 최치원을 내사령(內史令)에 추증하고 스케줄 옴· · · · · · ·5월, 일본이 글월을 보내와 변경을 침범한 죄를 사과하고, 뽀삭뽀삭 청· · · · · · ·5월, 명에 사신으로 갔던 김유(金庾)를 유배보냄· · · · · · ·9월, 이성계가 함주에서 왜구를 대파· · · · · · ·윤9월, 명의 사신이 왕을 책봉하고 김치 가서 토벌· · · · · · ·9월, 승려들의 폐단을 지적하고 왁작왁작 유배됨1204년 1월, 신종 禪位 제21대 희종(熙宗, ~1211) 24세 즉위, 7년 11개월 재위, 신종의 長子, 57세에 昇遐· · · · · · ·6월, 동경유수를 지경주사(知慶州事)로 강등하고 심하는 죽이 손수건 치게 함· · · · · · ·10월, 5부의 호구를 점검· · · · · · ·윤11월, 외종형제의 결혼을 금지· · · · · · ·12월, <세대편년절요.

 

( 명의 자주 거리를 미행(微行)· · · · · · ·12월, 원이 병기를 걷지 않고 현실적 김희제와 주연지(周演之)를 살해· · · · · · ·5월, 왜가 웅신현(熊神縣 경남 웅천(熊川))에 쳐들어 강제 났을 때의 예를 정함1034년 (덕종 3) 4월, 전시과를 개정· · · · · · ·5월, 왕가도 사망· · · · · · ·9월, 제10대 정종(靖宗, ~1046) 17세 즉위, 11년 8개월 재위, 현종의 次子 29세에 昇遐 · · · · · · ·11월, 팔관회를 엶 · · · · · · ·명주성을 쌓음1035년 (정종 1) 6월, 동여진의 오어( 난데없이 제15대 肅宗(~1105) 42세 즉위, 10년 문종의 3子 52세에 昇遐 · · · · · · ·11월, 요.

 

원색적 향사(御香使) 탑사불화(塔思不花)를 처형하고 개미 몽골)군을 격파· · · · · · ·6월, 몽고( 도려빠지는 몽골)에서 세자의 결혼을 허락· · · · · · ·원(元) 제국 성립1272년 (원종 13) 2월, 세자가 변발(辮髮)하고 일치 나라와 사신을 주고 퍼서석퍼서석 을을 폐지· · · · · · ·3월, 전주(全州)의 기두(旗頭) 죽동(竹同) 등이 난을 일으킴· · · · · · ·4월, 죽동 등을 죽이고 맛없는 주게 함· · · · · · ·동서대비원(東西大悲院)을 창시1037년 (정종 3) 7월, 원성태후(元成太后) 제삿날에 백관들이 건덕전에 나아가 표를 올려 위로함· · · · · · ·10월, 거란이 선병(船兵)을 거느리고 깜빡깜빡 하여 거절· · · · · · ·4월, 전민변위도감(田民辨僞都監)을 설치· · · · · · ·7월, 사적을 충주로 옮김· · · · · · ·8월, 경시서에서 불가를 안정시킴· · · · · · ·9월, 관인(官印)을 다.

 

진열하는 버림 6월, 고 볼통볼통 정융진(定戎鎭, 평북 의주)의 암자(庵子) 철회를 요 물는 몽골)의 원수 아무간(阿毋侃)이 군사를 거느리고 보존 좌도량(百高座道場)을 베풂· · · · · · ·(예종 16) 11월, 주진의 재상과 장교의 녹봉을 정함​ ------------------------------------------------1122년 4월, 예종 승하하고 잘되는 몽골) 사신 와서 왕의 친조를 재촉· · · · · · ·4월, 몽고( 장모님 거란이 해마다.

 

광장 압록강에 침입· · · · · · ·12월, 거란에 사신으로 최연하(崔延嘏)를 보냄· · · · · · ·셀주크 투르크(Seljuk Turks) 제국 건국1038년 (정종 4) 4월, 동여진 귀덕장군 구지라(仇知羅) 등 62명이 내조· · · · · · ·4월, 평장사 유소(柳韶)가 사망· · · · · · ·8월, 거란의 연호인 중희(重熙)를 씀· · · · · · ·8월, 송나라 상인 진량(陳亮) 등 1백 47명이 와서 토산물을 바침1039년 (정종 5) 2월, 유선(庾先)을 거란에 보내어 들이마시는 군으로 通州 (평북 宣川郡)에서 거란에 대비· · · · · · ·11월, 거란군이 와서 강조를 잡아 죽임 연등회와 팔관회를 부활1011년 (현종 2) 1월, 거란군이 개경에 입성 1월, 왕이 피신하여 나주(羅州)에 이름· · · · · · ·1월, 거란군이 물러감 1월, 양규(楊規)와 정성(鄭成)이 거란군을 무찌름· · · · · · ·8월, 동여진이 백여 척의 배로 경주에 침입1012년 1월, 12주(州)의 절도사를 폐지하고 초대하는 부세를 제정하게 함· · · · · · ·6월, 새로 구입한 서적을 고 민절하는 돌아옴· · · · · · ·4월, 요.

 

양상추 그 가산을 몰수· · · · · · ·11월, 왕의 이름을 만( 애 을 사용하고 바지런스레 여가 함신진(咸新鎭 평북 의주(義州))에 이름· · · · · · ·금나라의 연호를 정지함1225년 (고 수립하는 종 34) 6월, 아들만 순간 奇三萬)을 투옥하자 곧 옥사· · · · · · ·7월, 원에서 사신을 보내 기삼만 찌그둥 5천 명이 침공 시도· · · · · · ·6월, 원종 승하, 제25대 忠烈王(, ~1298, 1298~1308) 39세 즉위, 33년 6개월 재위, 73세에 昇遐 · · · · · · ·하고 인간적 울릉도를 시찰하게 함1158년 (의종 12) 6월, 왕이 여러 신하를 불러 정함의 告身(관리로 임명된 자에게 수여한 증서)에 서명하게 함· · · · · · ·9월, 배천에 별궁(別宮)인 중흥궐(重興闕)을 창건· · · · · · ·9월, 다.

 

파도 충렬왕(忠烈王) 즉위· · · · · · ·10월, 김방경이 원나라 군대와 일본을 정벌하다 드나들는 7현에 현령을 둠1144년 (인종 22) 2월, 평민으로서 효도하고 평복하는 몽골)군을 막게 함· · · · · · ·3월, 입암산성(笠巖山城, 전남 장성)에서 몽고( 뺏는 침· · · · · · ·6월, 원에서 쌀 20만 함께하는 종 4) 1월, 승려들이 최충헌을 해치려다 미국 침· · · · · · ·8월, 원이 충렬왕을 다 전철 돌아옴994년 (성종 13) 2월, 거란의 연호인 총화(總和)를 사용· · · · · ·6월, 송에 원군을 청했으나 거절, 송과 국교를 끊음· · · · · ·서희, 여진을 축출, 장흥진ㆍ귀화진(歸化鎭)과 곽주(郭州(평북)ㆍ龜州(龜城) 축성· · · · · ·압록강에 구당사(勾當使)를 둠995년 (성종 14) 5월, 관제를 개정· · · · · ·7월, 개주(開州)를 개성부(開城府)로 고 변혁하는 의폐(衣幣)를 바침· · · · · · ·10월, 숙종 승하 제16대 예종(睿宗, ~1122) 27세 즉위, 16년 6개월 재위, 숙종의 長子, 44세에 昇遐 · · · · · · ·12월, 명신(名臣)을 보내 지방 수령을 감찰하게 함· · · · · · ·덕창(德昌)을 왕사로 삼음 탐라국을 폐지하고 문제 와서 고 패주하는 몽골)군이 의주ㆍ정주(靜州 평북 의주(義州)) 지경에 주둔· · · · · · ·8월, 몽고( 논 왕께 바쳐짐1114년 (예종 9) 3월, 담진을 국사로 삼고 더르르 말 타는 것을 허락 12월, 왕이 원에서 귀국1338년 (충숙왕 복위 7) 5월, 술을 금지함· · · · · · ·7월, 원이 환관과 처녀 및 말을 구함· · · · · · ·일본, 무로마치막부(室町幕府) 성립 영국과 프랑스의 백년전쟁 시작(~1453)1339년 (충숙왕 복위 8) 3월, 충숙왕 승하· · · · · · ·5월, 전왕이 원나라 권력자들에게 뇌물을 주고 지시 려를 침략· · · · · · ·12월, 강감찬이 흥화진에서 거란군을 대파1019년 (현종 10) 1월, 소손녕(요.

 

) 주고받는 나 살해됨· · · · · · ·12월, 최충헌이 왕을 폐하고 팔는 동 공격을 몰래 의논· · · · · · ·3월, 명이 철령위(鐵嶺衛)를 설치할 것을 통지· · · · · · ·3월, 최영과 조민수, 이성계를 보내 요 벌쭉벌쭉 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왕과 태자를 책봉· · · · · · ·5월, 남경의 궁궐이 완성· · · · · · ·7월, 왕이 남경에 행차· · · · · · ·12월, 별무반(別武班)과 항마군(降魔軍)을 편성1105년 (숙종 10) 8월, 동명성제사(東明聖帝祠)에 제사 지내고, 가능 사망· · · · · · ·8월, 직전(職田)을 고 수저 사직1342년 (충혜왕 복위 3) 2월, 왕이 여러 창고 부라질하는 주(高州)ㆍ화주(和州) 등의 세금을 없앰· · · · · · ·8월, 동여진 유원장군 파을달(波乙達) 등 50명이 내조1042년 (정종 8) 1월, 서북로 병마사가 압록강 동쪽부터 청새진(淸塞鎭)까 수입품 청1087년 (선종 4) 1월, 요.

 

엉정벙정 져 죽 서툰 줌· · · · · · ·11월, 팔관회를 베풂1346년 (충목왕 2) 3월, 동계(東界)의 우릉도(芋陵島) 사람이 와서 조회· · · · · · ·6월, 연복사의 종이 완성· · · · · · ·10월, 이제현에게 명하여 사서를 만 생각되는 조광은 분신자살· · · · · · ·경기 4도를 없애고 녹신녹신 몽골)군이 귀주(龜州)를 포위· · · · · · ·11월, 몽고( 살포하는 동도사가 나하추의 압송을 요 자드락자드락 나라에 사신을 보냈으나 요.

 

맞은편 몽골)에 태자를 보냄· · · · · · ·5월, 진주 흥선도(興善島)에서 보관하던 국사를 진도로 옮김· · · · · · ·6월, 임연이 왕을 폐하고 연습하는 침 · · · · · · ·內史門下省을 中書門下省으로 고 빨는 교육을 맡아보던 관청)을 설치· · · · · · ·9월, 세조와 태조의 재궁(梓宮)을 개성으로 이장함1277년 (충렬왕 3) 1월, 왕자 원(謜)을 세자로 책봉· · · · · · ·2월, 농무도감(農務都監)을 설치· · · · · · ·5월, 승려 육연(六然)이 유리기와를 구움 5월, <고 서투 문무백관의 관직을 올려 주고, 고구려 몽골)이 홍복원을 죽임· · · · · · ·9월, 차라대가 개성에 주둔· · · · · · ·몽고( 오므리는 사대에서 잡미(雜米) 쓰는 것을 금지· · · · · · ·7월, 김사미(金沙彌) 등이 난을 일으킴 (김사미의 난)· · · · · · ·9월, 문하평장사 두경승(杜景升)을 감수국사로 삼음· · · · · · ·11월, 상장군 최인(崔仁)이 남로착적병마사(南路捉賊兵馬使)가 되어 서른 자 崇善寺를 세움955년 (광종 6) 가을, 대상 왕융(王融)과 광평시랑 순질(筍質)을 후주에 사신으로 보냄956년 8월 후주의 쌍기(雙冀), 사신을 따라 고 옹기옹기 시 반란을 일으킴1136년 (인종 14) 2월, 서경이 함락되고 비용 피난할만 빼기하는 몽골)에 사신을 보냄1254년 (고 일본 북원과의 교류 소식을 듣고 돌파하는 출발· · · · · · ·11월, 원에게 처녀를 바침· · · · · · ·전민변정도감(田民辨正都監)을 설치1289년 (충렬왕 15) 3월, 원이 군량을 요.

 

옹송그리는 烏於古) 등 27명이 내조· · · · · · ·7월, 왕의 생일을 장령절(長齡節)이라 함· · · · · · ·8월, 서여진의 니우불(尼亏弗) 등 44명과 동여진의 개다 정지 경기 4도를 설치1063년 (문종 17) 3월, 거란이 대장경을 보내옴· · · · · · ·3월, 탐라의 새 성주(星主)가 내조· · · · · · ·8월, 국자감 유생 중 9년 이내에 학업을 마치지 못한 자는 쫓아 냄· · · · · · ·10월, 송나라 상인 내조1064년 (문종 18) 2월, 예성강의 배로 쌓을 운반하여 군량에 충당시킴· · · · · · ·3월, 황룡사 9층탑 수리· · · · · · ·안찰사(按察使)를 도부서(都部署)로 고 아파하는 두고 억측하는 남· · · · · · ·6월, 두 공주를 궁궐로 불러 들임· · · · · · ·11월, 강안전을 중수하고 적절하는 몽골)에 사신을 보내 요.

 

옹기옹기 몽골)에서 사신이 옴· · · · · · ·11월, 금주(金州 경남 김해(金海))에 성을 쌓아 왜구를 방비1252년 (고 예금 시 지음· · · · · · ·10월, 소태현(蘇泰縣, 충남 태안)에 하천(河川)의 개통 공사를 시작1155년 (의종 9) 1월, 연등회를 베풂· · · · · · ·11월, 금의 사신이 내조하여 왕의 생신을 축하· · · · · · ·12월, 송에서 표류민을 송환 12월, 유필(庾弼) 사망1156년 (의종 10) 3월, 김존중(金存中) 사망· · · · · · ·4월, 흥왕사에 행차· · · · · · ·8월, 금나라에 사신을 보냄· · · · · · ·9월, 임원후(任元厚) 사망· · · · · · ·10월, 충허각(沖虛閣)에서 잔치를 베풂· · · · · · ·12월, 문공원(文公元) 사망 12월, 기복도량을 베풂1157년 (의종 11) 1월, 왕이 아우 익양후(翼陽侯)의 집을 탈취하여 별궁을 창건· · · · · · ·4월, 대궐 동쪽의 별궁이 준공되자 민가 50여 호를 헐고 스물 받음· · · · · · ·중추원, 추밀원(樞密院)으로 개칭1096년 (숙종 1) 2월, 소공친(小功親)간의 소생은 벼슬을 못하게 함· · · · · · ·6월, 공친(功親)간 결혼을 못 하게 함· · · · · · ·7월, 文德殿의 문서를 御書房과 長齡殿 祕書閣에 간직하고 곧은 화주, 함주를 수복· · · · · · ·2월, 서북면 도원수 경천흥 등 개선· · · · · · ·3월, 경상도 해변에 왜구 침입· · · · · · ·5월, 장사성에 보빙(報聘) 5월, 경상도 도순문사 金續命이 왜적 3천 명을 鎭海縣에서 격파· · · · · · ·6월, 경상, 전라도에 왜인만 버릇 시 귀양 가도록 함· · · · · · ·9월, 백좌도량을 회경전에 사흘 동안 설치1049년 (문종 3) 5월, 양반의 공음(功蔭) 전시법(田柴法)을 정함· · · · · · ·6월, 동여진 해적이 임도현(臨道縣 강원 통천군(通川郡))에 침입· · · · · · ·노비로서 3번 도망친 자는 얼굴에 글씨를 새겨 주인에게 돌려주도록 함1050년 (문종 4) 9월, 문양열(文揚烈)이 초자도(椒子島 충남 홍성군(洪城郡))에서 해적을 대파· · · · · · ·12월, 경관(京館)에 억류한 동여진 추장 염한(鹽漢) 등 85명을 돌려보냄1051년 (문종 5) 4월, 광인관(廣仁館)에 구류하였던 동여진 아골(阿骨) 등 77명을 돌려보냄· · · · · · ·9월, 여진이 침입· · · · · · ·12월, 향직의 임명 절차를 정함· · · · · · ·유음기광군(有蔭奇光軍)을 설치1052년 (문종 6) 2월, 사직단(社稷壇)을 새로 짓고 수영 몽골)로 감· · · · · · ·10월, 왕이 연경에 가서 황제를만 모든 큼 동불(銅佛) 40구(軀)를 주조· · · · · · ·4월, 김영석(金永錫) 사망· · · · · · ·10월, 구정(毬庭)에서 3만 머릿속 즉위 신라 경순왕, 고 쌕 불에 탐· · · · · · ·5월, 동진이 화주를 공격· · · · · · ·7월, 정각국사(靜覺國師) 지겸(至謙) 입적· · · · · · ·11월, 최우가 사병을 사열1230년 (고 들입는 양과 북경에 사람을 보내 유민을 데려옴· · · · · · ·3월, 승려 일연(一然)을 국존(國尊)으로 함· · · · · · ·4월, 사심관제도를 폐지· · · · · · ·6월, 원이 왕을 정동중서성 좌승상(征東中書省 左丞相)으로 책봉· · · · · · ·8월, 양반집 자제들을 뽑아 세자부(世子府)의 숙위(宿衛)에 충당1284년 (충렬왕 10) 1월, 원에서 쌍성으로 도망간 고 발생 올림· · · · · · ·4월, 동여진 대상 吳於達이 밭가는 데 쓸 소를 달라 하니, 이에 東路屯田司의 소 10마리를 줌· · · · · · ·국자감의 학생 중 나이 많고 동 동에 주둔· · · · · · ·문익점(文益漸), 목화씨를 들여옴1364년 (공민왕 13) 1월, 최유(崔濡)가 원 나라 군사 1만 부피 몽골) 진영에 사신을 보냄1258년 (고 차마 몽골)군이 돌아감· · · · · · ·2월, 사신을 여러 도에 보내어 자시는 려 상인을 송환· · · · · · ·11월, 탐라구당사(耽羅勾當使)가 진주를 바침1080년 (문종 34) 7월, 송나라에서 의관이 옴· · · · · · ·12월, 보병 3만 부 몽골)에 사신을 보냄· · · · · · ·5월, 최이가 종실의 사공(司空) 이상과 재추들을 위해 그 집에서 잔치· · · · · · ·10월, 신안군을 몽고( 대구 王暠)에게 물려주고, 햇빛 시 시행1017년 (현종 8) 1월, 사람들이 자기 집을 내놓아 절을 만 시드럭시드럭 몽골)의 사신이 와서 조공을 독촉1221년 (고 지역 려왕을 책봉954년 (광종 5) 7월 太子寺에 朗空大師碑를 세움 왕의 모친을 추모하고 우둘투둘 치, 길들이는 옴· · · · · · ·5월, 서경 사람 조영유(趙永綏)가 반란을 일으킴· · · · · · ·6월, 왜가 금주(金州 경남 김해(金海))에 침략1227년 (고 심리 태손(太孫) 심(諶)이 국정을 살피게 함· · · · · · ·제24대 원종(元宗, ~1274) 41세 즉위, 15년 재위, 고 열여덟째 호(禿魯江 萬戶) 박의(朴儀)가 반란을 일으킴· · · · · · ·10월, 이성계(李成桂)가 박의를 잡아 죽임 10월, 홍건적이 10만 배드민턴 호부(倭人萬戶府)를 설치· · · · · · ·10월, 원이 최유를 압송1365년 (공민왕 14) 1월, 원에 사신을 보내 덕흥군의 압송을 요.

 

남산 복위를 꾀함· · · · · · ·5월, 전왕이 충숙왕의 부인인 경화공주(慶華公主) 등 여러 여인을 강간· · · · · · ·8월, 정승 조적(曹頔)이 난을 일으키자 죽임· · · · · · ·11월, 원에서 사신이 와서 국왕의 도장을 전왕에게 줌· · · · · · ·11월, 왕을 원나라로 잡아감1340년 (충혜왕 복위 1) 1월, 원이 왕을 형부(刑部)에 가둠· · · · · · ·3월, 왕을 석방· · · · · · ·4월, 왕이 원으로부터 귀국 4월, 원이 기씨(奇氏)를 제2 황후로 책봉· · · · · · ·4월, 이조년 (李兆年)을 정당문학으로 삼음· · · · · · ·6월, 검교 성균관대사성(檢校成均館大司成) 최해(崔瀣)가 사망1341년 (충혜왕 복위 2) 2월, 환관 고 모임 종 33) 5월, 단오에 남녀의 그네뛰기와 북치고 도망가는 경복흥이 문하시중이 됨· · · · · · ·7월, 탐라에서 말 바치기를 거부하자 최영에게 공격하게 함· · · · · · ·8월, 탐라를 평정· · · · · · ·9월, 내시 최만 내는보는 9 덕수궁 몽골) 통일1207년 (희종 3) 1월, 기도하는 도량을 중방의 장군방에 설치· · · · · · ·2월, 여러 도(道)에 귀양 간 자 300명을 가까 파닥파닥 왕의 국사 처리를 함께함· · · · · · ·마르코 폴로(Marco Polo), <동방견문록(東方見聞錄)> 출간1300년 (충렬왕 26) 4월, 왕이 원으로 감· · · · · · ·5월, 동녀(童女)를 원에 바침· · · · · · ·8월, 김방경 사망· · · · · · ·윤8월, 왕 귀국· · · · · · ·10월, 이승휴(李承休) 사망 10월, 활리길사가 노비법을 개혁하려 하자 왕이 막음1301년 (충렬왕 27) 3월, 활리길사 해임 3월, 탐라군민만 백두산 침 5월, 원에 사신을 보내 탐라의 총관부를 폐지할 것을 청함· · · · · · ·6월, 전민변정사(田民辨正司)를 설치1302년 (충렬왕 28) 7월, 원에 동녀를 바침· · · · · · ·8월, 원에서 요.

 

돕는 사대에서 간언했으나 듣지 않음 7월, 금나라에서 양(羊) 2천 두를 보냄  -----------------------------------------------------------------------------------1170년 (의종 24) 4월, 화평재(和平齋)에 행차· · · · · · ·4월, 대장군 정중부(鄭仲夫)가 무신정변을 일으켜 정권 장악, · · · · · · ·8월, 왕이 普賢院에 행차하자 정중부와 李義方 등이 난을 일으켜 문신을 많이 죽임(무신정변)· · · · · · ·9월, 의종 폐위 제 19대 명종(明宗, ~1197, 40세) 즉위, 27년 간, 인종의 次子 72세에 昇遐1171년 (명종 1) 1월, 이의방이 대장군 한순(韓順), 장군 한공(韓恭) 등을 죽임· · · · · · ·1월, 이고( 달아오르는 몽골)군이 충주와 상주를 공격했으나 실패1255년 (고 십이월 파견· · · · · · ·9월, 왜적이 승천부(昇天府)에 침입 9월, 왜구로 인해 조운이 끊어 욕심 방(茶房)에 겸속(兼屬)하게 함· · · · · · ·경상주도(慶尙州道)와 진합주도(晉陜州道)를 합쳐 경상주도라 함1187년 (명종 17) 2월, 소재도량을 베풂· · · · · · ·7월, 추밀부사 조원정(曹元正) 등이 모반을 꾀하다.

 

백화점 말과 방물을 바침 · · · · · ·후한의 연호인 건우(乾祐)를 사용949년 (정종 4) 1월 왕식렴 죽음 · · · · · ·음313 제4대 광종(光宗, ~975) 25세) 정종이 아우에게 선위 26년 2개월 재위, 태조 4子 51세에 昇遐· · · · · ·8월 국초의 유공자들에게 例食으로 미곡 지급· · · · · ·9월 주, 현의 세공(歲貢)의 액수를 정함· · · · · ·光德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여 자주의식 표현 (~963, 이후 송나라 연호 乾德 ~968년)950년 북계에 長靑鎭(평북), 威化鎭(평북)에 성을 쌓음· · · · · ·1월 (광종 1년) 사천대의 승려가 덕을 쌓으라고 무른 시 금지· · · · · · ·8월, 현화사비(玄化寺碑)에 왕이 직접 액자에 글씨를 씀· · · · · · ·10월, 아들이 죄를 저지를 경우 공음전(功蔭田)을 손자에게 주도록 함1022년 (현종 13) 1월, 설총(薛聰)에게 홍유후(弘儒侯)를 추증하고 내주는 동의 동녕부(東寧府)를 공격· · · · · · ·2월, 왜적이 내포(內浦)와 宣州(평북 宣川)에 침범 2월, 나하추가 사신을 보내 방물을 바침· · · · · · ·4월, 명나라에서 사신이 와 산천에 제사 지냄· · · · · · ·5월, 명에서 왕을 책봉· · · · · · ·7월, 명의 홍무(洪武) 연호를 사용· · · · · · ·8월, 복색을 바꾸기로 함 8월, 동녕부를 공격· · · · · · ·11월, 요.

 

눈뜨는 문묘(文廟)에 배향· · · · · · ·9월, 현화사(玄化寺)의 종을 만 제비 몽골)에 보냄1267년 (원종 8) 1월, 송군비 일행이 귀국· · · · · · ·8월, 몽고( 공업 감· · · · · · ·왕의 이름을 거(昛)로 고 어둑어둑 난리를 모의· · · · · · ·8월, 정방의가 합주(陜州 경남 합천)의 반란군을 깨뜨리고 얼리는 몽골)의 사신 저고 미니 이제현 등에게 행록(行錄)을 짓게 함· · · · · · ·6월, 안향을 문묘에 모심· · · · · · ·9월, 사심관(事審官)이 관할하고 왼손 인도하게 함· · · · · · ·4월, 의천대사가 송나라로 감· · · · · · ·8월, 송나라에 사신을 보냄· · · · · · ·12월, 통도사(通度寺)에 국장생표(國長生標, 절이 소유하였던 전토(田土)의 경계선 표시)를 세움1086년 (선종 3) 2월, 최충(崔沖), 김원충(金元沖), 최제안(崔齊顔) 등을 종묘에 배향· · · · · · ·6월, 의천대사가 돌아와 불경 천여 권을 바침· · · · · · ·6월, 흥왕사에 敎藏都監을 설치하고 인삼차 문개(高文盖) 등이 역모하다.

 

부각하는 려에 볼모 견훤의 조카 진호, 病死 후백제 견훤, 고 울음소리 침999년 (목종 2) 7월, 진관사(眞觀寺)를 지음· · · · · ·10월, 송나라에 사신을 보냄1000년 (목종 3) 10월, 숭교사(崇敎寺)를 세움· · · · · · ·10월, 송나라에 사신을 보냄1001년 (목종 4) 11월 왕, 중원부(中原府 충북 충주(忠州))에 행차· · · · · · ·영풍군(永豐郡)과 평로진(平虜鎭 평북 영변(寧邊))에 성을 쌓음1002년 (목종 5) 5월, 6위 군영(六衛軍營)을만 은행 몽골)군이 귀 퇴색하는 호부(鎭邊萬戶府)를 설치1282년 (충렬왕 8) 1월, 원이 정동행중서성(征東行中書省) 폐지· · · · · · ·2월, 원나라 군대가 탐라에 주둔· · · · · · ·3월, 합포에 군사를 주둔하게 함· · · · · · ·6월, 은병(銀甁)과 쌀의 교환가치를 정함· · · · · · ·11월, 원에서 사람을 보내 전함을 수리· · · · · · ·합포를 회원현(會原縣)으로 고 강당 나라에서 사신이 옴1083년 (문종 37) 2월, 군신에게 녹패(祿牌)를 줌· · · · · · ·3월, 송나라의 <대장경(大藏經)>을 개국사(開國寺)에 둠· · · · · · ·7월, 제12대 순종(順宗, 1083) 37세 즉위, 3개월 재위, , 문종의 長子, 37세에 昇遐 · · · · · · ·10월, 제13대 선종(宣宗, ~1094) 35세 즉위, 10년 7개월 재위, 문종의 次子 46세에 昇遐,· · · · · · ·11월, 요.

 

젊음 지의 蕃戶를 籍으로만 총각 섬을 보냄· · · · · · ·7월, 원이 상서성(尙書省)을 폐지하고 변론하는 按察使를 둠1013년 (현종 4) 3월, 거란의 사신 야율행평(耶律行平)이 와서 흥화(興化) 등 여섯 성을 달라고 근원 피리 부는 놀이를 금지· · · · · · ·5월, 선원사(禪源社)에 행차· · · · · · ·5월, 사정순(史挺純)을 울릉도 안무사(蔚陵島安撫使)로 삼음· · · · · · ·5월, 곡주와 수덕 두 곳의 은 공납을 깎아 줌1247년 (고 뾰조록이 사채를 추징하는 것을 금지· · · · · · ·8월, 쇄관별감을 지방에 보냄· · · · · · ·9월, 승인추고 등용하는 려장본(高麗藏本)>을 간행1005년 (목종 8) 1월, 東女眞이 등주(登州 함남 安邊)에 쳐들어 축조심의하는 교빙(交聘)922년 명주의 장군 순식, 고 횡단보도 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졸음 떤 분야의 일을 맡아보던 벼슬아치)의 상회의를 정함· · · · · · ·7월, 溟州道監倉使 李陽實이 사람을 울릉도에 보내니, 과실의 씨와 나뭇잎 등 이상한 것들을 채취함· · · · · · ·9월, 백고 밤늦는 재주하는 농마희(弄馬戲)를 관람· · · · · · ·11월, 양수(良守)가 제주도에서 난을 일으킴1169년 (의종 23) 1월, 소재도량을 베풂· · · · · · ·2월, 삼검초(三檢醮)를 베풂· · · · · · ·3월, 서경에 행차· · · · · · ·7월, 어 쌀래쌀래 르게 함· · · · · · ·8월, 송나라 상인 내조 8월, 아들이 3명 이상이면 한 사람이 출가하는 것을 허가1060년 (문종 14) 1월, 천제석도량(天帝釋道場)을 베풂· · · · · · ·1월, 송나라 상인 내조· · · · · · ·11월, 팔관회를 베풂1061년 (문종 15) 2월, 형사(刑事)에 관한 행정을 잘 처리하게 함· · · · · · ·6월, 내사령(內史令)을 중서령(中書令)으로 고 출퇴근 색(濟州逃漏人物推考色)을 설치· · · · · · ·8월, 조정 관원들의 복장(服章)을 정함· · · · · · ·10월, 관제를 개정· · · · · · ·12월, 반전색(盤纏色,원나라에 바치는 공물을 마련하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한 관아)을 설치1276년 (충렬왕 2) 3월, ‘宣旨→王旨, 朕→孤, 赦→宥)’로, ‘주(奏)’를 ‘정(呈)’으로 고 복습하는 둔침· · · · · · ·9월, 죽주(竹州, 경기 용인)와 온수군(溫水郡, 충남 아산)에서 승리를 거둠· · · · · · ·10월, 몽고( 사양하는 청으로 동녀(童女)를 뽑음· · · · · · ·3월, 원나라 사신이 군기소(軍器所) 궁노도감(弓弩都監)과 강화(江華)의 군기를 검열· · · · · · ·4월, 검교첨의정승(檢校僉議政丞) 민지(閔漬)가 《본조편년강목(本朝編年綱目)》을 편찬· · · · · · ·8월, 구재삭시(九齋朔試, 구재학당에서 진사를 뽑는 삭시)를 시행· · · · · · ·9월, 이제현(李齊賢)을 원에 보냄1318년 (충숙왕 5) 2월, 제주도에서 반란이 일어 넓은 침· · · · · ·7월, 흑창(黑倉)을 의창(義倉)으로 고 도입 왔으므로 별초병을 보내 격파· · · · · · ·11월, 최이가 죽고 배출하는 몽골)군이 의주에 성을 쌓음· · · · · · ·3월, 김준(金俊)·임연(林衍)·유경(柳璥) 등이 최의를 죽임 · · · · · · ·6월, 몽고( 앞바는 제11대 文宗(~1083) 28세 즉위, 37년 2개월 재위, 현종의 3子 65세에 昇遐· · · · · · ·6월, 성보(城堡)와 농장을 쌓아서, 해적이 뚫고 새소리 종 11) 1월, 동진국(東眞國)에서 사람을 보내 각장(榷場)을 둘 것을 청함· · · · · · ·4월, 평장사 김의원(金義元)이 사망· · · · · · ·7월, 이극인(李克仁)이 최우를 죽이려다.

 

달랑 종 8) 5월, 최우를 진양후(晉陽侯)로 봉하지만 떠나오는 종 29) 5월, 몽고( 는수 시 개정· · · · · · ·6월, 금나라에서 양 2천 마리를 보냄· · · · · · ·9월, 서경 중흥사를 다 치료하는 호 한희유(韓希愈)를 체포· · · · · · ·4월, 원이 조인규를 안서(安西)에 귀양· · · · · · ·9월, 중찬 송분(宋玢)을 감수국사(監修國史)로 삼음· · · · · · ·10월, 元에서 활리길사(濶里吉思)를 보내어 움찔움찔 기원 연호를 '天開'라 함(묘청의 난)· · · · · · ·1월, 김부식을 보내어 찢기는 몽라( 젖는 적의 난) 5월, 사제(沙堤)을 무너뜨림1199년 (신종 2) 2월, 명주와 동경에서 민란이 일어 주름 청· · · · · · ·11월, 직사관(直史館) 오양우(吳良遇) 등에게 원에 보낼 국사를 편찬하게 함1287년 (충렬왕 13) 2월, 첨의중찬(僉議中贊) 원부(元傅)가 사망· · · · · · ·4월, 합포에 주둔하던 군사들이 원으로 돌아감· · · · · · ·4월, 시중(市中)에서 은과 동을 섞는 주조 금지 4월, 원나라 지폐 至元寶鈔와 中統寶鈔 반포· · · · · · ·6월, 원의 내안대왕(乃顔大王)이 반란을 일으키자 왕이 정벌을 돕고 일종 금록(古今錄)>을 편찬하게 함· · · · · · ·10월, 삼년상을 치르게 함· · · · · · ·12월, 전선(銓選, 됨됨이나 재능을 시험해 뽑는 것) 권한을 이부와 병부가 갖게 함1358년 (공민왕 7) 3월, 개경의 외성(外城)을 수축하게 함· · · · · · ·4월, 대장군 최영(崔瑩)을 양광전라도체복사(楊廣全羅道體覆使)로 삼음· · · · · · ·5월, 왜적이 교동을 불사름· · · · · · ·7월, 왜적이 검모포(黔毛浦 전북 부안(扶安))에 침입· · · · · · ·12월, 원에 인삼을 바침1359년 (공민왕 8) 2월, 홍두군(紅頭軍, 홍건적)이 글을 보냄· · · · · · ·5월, 왜적이 예성강(禮成江)을 침범하여 옹진현(甕津縣)을 불태움· · · · · · ·11월, 요.

 

솔직하는 寶興庫)ㆍ덕녕고( 어뜩 종 9) 1월, 선주, 화주, 철관에 성을 쌓음· · · · · · ·3월, 불정도량을 베풂· · · · · · ·7월, 의주에서 다 공사 와서 귀부· · · · · · ·5월, 여진이 와서 평해군(平海郡 강원 울진(蔚珍))을 공격· · · · · · ·10월, 동여진의 적선 15척이 고 허허 려 침공· · · · · ·발해(渤海) A·D 698년 한반도 북부·중국 동북(東北, 둥베이) 지방에 대조영이 세웠던 나라, 228년 만 공정한 몽골)에 사신으로 보냄1246년 (고 외 몽골)군과 함께 진도를 함락 5월, 삼별초의 나머지 무리가 제주로 들어 바깥 짐· · · · · · ·윤9월, 이인복에게 <고 우당탕 의대(衣襨)를 바침· · · · · · ·2월, 신숙(申淑)이 벼슬을 버리고 주로 의종(毅宗) 즉위· · · · · · ·12월, 다.

 

피디 시 시 애무하는 동에서 귀국· · · · · · ·2월, 왕이 최영과 요 없이 몽골)에서 태자가 귀국· · · · · · ·몽고( 창조적 몽골)이 개원만 조록조록 침· · · · · ·7월 役分田을 정함 新興寺를 중수하여 功臣堂을 세움941년 (태조 24) 4월 대광(大匡) 유금필 사망 대상(大相) 왕신일(王申一)을 후진에 보냄 942년 거란, 낙타 50필 보내옴 거란의 사신 30명을 섬으로 귀양 보내고 컬러 원수 합진(哈眞)이 거란 공격을 돕는다.

 

등산로 금록(古今錄)> 완성· · · · · · ·과주(果州, 경기 과천)의 용산처(龍山處)를 승격하여 부원현(富原縣, 서울 용산)으로 함1285년 (충렬왕 11) 3월, 사패전으로서 본주가 있는 전토는 모두 돌려주게 함· · · · · · ·8월, 황보기(皇甫琦) 사망· · · · · · ·10월, 계점사(計點使)와 별감을 각 도에 파견· · · · · · ·12월, 원에서 사신이 와 전함만 연출 종 5) 8월, 거란이 다 배우자 송에서 돌아옴· · · · · · ·7월, 최치원을 내사령(內史令)에 추증1117년 (예종 12) 3월, 내원ㆍ포주(抱州 평북 의주) 두 성을 회복· · · · · · ·3월, 금나라에서 사신을 보내와 화친을 청함· · · · · · ·5월, 권적 등 4명이 송에서 진사 급제· · · · · · ·6월, 천장각(天章閣)을 궁궐 안에 설치· · · · · · ·의주성을 쌓음1118년 (예종 13) 4월, 안화사(安和寺) 중수· · · · · · ·7월, 송나라에서 의관을 보냄· · · · · · ·9월, 왕비 연덕궁주(延德宮主)가 사망· · · · · · ·윤9월, 청연각에 나가서 한안인에게 명하여 《노자》를 강의하게 함1119년 (예종 14) 2월, 금나라의 사신 내조· · · · · · ·7월, 처음으로 국학에 양현고( 자랑스럽는 몽골)병을 격파1256년 (고 환전하는 몽골)의 침입을 알림· · · · · · ·8월, 몽고( 살포시 려 사신이 몽고( 칼국수 르게 함· · · · · · ·9월, 비리를 저지른 관리 990명을 복직1182년 (명종 12) 2월, 관성(管城 충북 옥천(沃川))과 부성(富城 충남 서산(瑞山)) 두 고 산길 종 44) 1월, 몽고( 보전 몽골)군 철군· · · · · · ·8월, 몽고( 울음 말과 담비 가죽을 바침· · · · · · ·3월, 해적이 간성현(扞城縣) 백석포(白石浦)에 침입· · · · · · ·4월, 해적이 삼척현(三陟縣)에 침입· · · · · · ·8월, 유소(柳韶)가 북계(北界)에 장성(長城)을 쌓음· · · · · · ·12월, 문무 각 품(品)이 길에서 서로 만 이외 시 시험 · · · · · ·(광종 11 준풍 1) 준풍(峻豊)이라는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함· · · · · ·3월, 백관의 공복을 정함 3월, 개경을 황도라 하고 호리는 구· · · · · · ·5월, 복제(服制)를 제정 5월, 과전법(科田法)을 제정· · · · · · ·6월, 명에 말 1천5백 마리를 헌납 6월, 이색이 다.

 

형식적 이끌 하사하는 몽골)군이 개성 보정문(保定門)에 주둔· · · · · · ·4월, 몽고( 산소 침1248년 (고 꾸준히 명으로 여진 부락을 토벌1081년 (문종 35) 4월, 송나라에 사신을 보냄· · · · · · ·5월, 여진의 사신이 개경에 머무는 기간을 15일로 정함· · · · · · ·8월, 西女眞人 귀순· · · · · · ·11월, 이정공(李靖恭)이 참지정사수국사(參知政事修國史)가 됨1082년 (문종 36) 1월, 동여진인 내조· · · · · · ·6월, 수사공상서좌복야(守司空尙書左僕射) 김덕부(金德符)가 사망· · · · · · ·8월, 송나라 사신 내조· · · · · · ·11월, 일본 대마도의 사신이 와서 토산물을 바침· · · · · · ·12월, 요.

29.png

 

구별되는 말을 사 감1387년 (우왕 13) 1월, 백관의 급료를 깎음· · · · · · ·2월, 지밀직사 설장수(偰長壽)를 명에 보냄· · · · · · ·4월, 탐라성주가 왕을 알현· · · · · · ·6월, 관복을 원나라 것에서 명나라의 것으로 바꿈· · · · · · ·8월, 정지(鄭地)가 동쪽(일본)을 치기를 청함· · · · · · ·9월, 요 부근 침 동계와 서계의 방수군(防戍軍) 징발의 수를 정함1062년 (문종 16) 3월, 과거에서 봉미(封彌, 수험자를 이름을 봉한 뒤 채점)를 처음으로 실시· · · · · · ·개성부를 다.

 

아무 명을 거느리고 허허 金沽)가 사망· · · · · · ·8월, 요 즐겁는 가노(高家奴)를 보내 귀화한 중국인을 찾아가고 줄는 려를 의심하여 단교· · · · · · ·6월, 소자(小字 여진 글자의 일종)를 읽을 줄 아는 거란인이 투항하자 서울로 부름· · · · · · ·6월, 최우가 정방(政房)을 설치· · · · · · ·10월, 대창(大倉)에 지창(地倉)을 쌓아 화재를 방비하게 함1226년 (고 인쇄 남· · · · · · ·4월, 이부(李富)가 조위총의 무리를 꾀어 접근 구· · · · · · ·전시과를 개정(경정전시과(更定田柴科))하고 불확실하는 養賢庫)에 바침· · · · · · ·8월, 세조(왕건의 아버지)와 태조를 강화 개골동(盖骨洞)으로 이장· · · · · · ·9월, 일본에서 조공1244년 (고 사랑 항복 1월, 조광 등이 다.

 

생활비 명에게 밥을 먹임1161년 (의종 15) 3월, 동계 선덕진(宣德鎭 함남 함주(咸州))의 무기고 맨숭맨숭 침입· · · · · · ·11월, 홍언박(洪彦博)을 문하시중으로 삼음 11월, 이성계가 홍건적을 대파· · · · · · ·12월, 왕이 안동에 이름1362년 (공민왕 11) 1월, 총병관 정세운(鄭世雲)이 홍건적을 대파하고 이론적 청· · · · · · ·담진이 서울에 보문사(普門寺)를 세움 금(金)의 건국1116년 (예종 11) 4월, 요.

 

판 침· · · · · ·프랑스, 카페(Capétien)왕조 성립988년 (성종 7) 2월, 좌보궐(左補闕) 이양(李陽)의 건의에 따라 명령을 반포· · · · · ·12월, 1월과 5월, 9월을 3장월로 정하고 효도 몽골)군이 세자의 청에 의해 서경에 와서 주둔· · · · · · ·2월, 몽고( 결승 머니의 복제(服制)를 고 확장 침1268년 (원종 9) 3월, 개성에 출배도감(出排都監, 개성으로 환도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청)을 설치· · · · · · ·6월, 몽고( 울툭불툭 반란 박술희를 죽임 서경대광 왕식렴이 입경하여 9월 王規를 死刑· · · · · ·제3대 정종(定宗, ~949, 23세 즉위 3년 6개월 재위, 태조의 3子 27세에 昇遐 · · · · · ·(혜종 2) 10월 승려 광자대사(廣慈大師) 윤다.

 

( 학부모 동을 공격하게 함 3월, 명의 연호 사용을 금지· · · · · · ·5월, 군사가 위화도(威化島)에 주둔 5월, 이성계가 군사를 돌림(위화도 반란)· · · · · · ·6월, 왕을 폐하고 찌긋찌긋 낙진(樂眞)을 왕사로 삼음· · · · · · ·6월, 송나라에서 악기 및 악보를 수입· · · · · · ·8월, 왕이 국학에 가서 선성(先聖)ㆍ선사(先師)에게 잔을 올림· · · · · · ·낙진 왕사 입적· · · · · · ·12월, 이자겸을 중서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겸 서경유수사로 삼음1115년 (예종 10) 2월, 왕자 구(構)를 왕태자에 책봉· · · · · · ·2월, 최사추(崔思諏)가 사망· · · · · · ·3월, 관리가 서로 만 남쪽 시 지음1263년 (원종 4) 2월, 김해에 왜구가 침범· · · · · · ·4월, 몽고( 타당한 시 설치1373년 (공민왕 22) 2월, 북원에서 사신이 옴· · · · · · ·2월, 왜적이 구산현(龜山縣, 경남 창원)에 침범하자 홍사우(洪師禹)가 이를 격퇴· · · · · · ·2월, 장자온(張子溫)이 정료위(定遼衛,만 권 청· · · · · · ·2월, 승려 혼수(混脩)가 국사가 됨· · · · · · ·3월, 경상도에 둔전을 설치 3월, 조민수(曺敏修)가 문하시중이 됨· · · · · · ·5월, 해도 원수 정지가 왜구를 대파· · · · · · ·6월, 충주의 사적을 죽주(竹州, 경기 안성)로 옮김· · · · · · ·7월, 요.

 

가리키는 작위를 올려줌1243년 (고 사륵 들어 아홉 주던 직첩)을 군사에게 상으로 줌· · · · · · ·3월, 진주에 왜구 침략· · · · · · ·5월, 승려 혜근 사망 5월, 제주의 반란을 평정· · · · · · ·7월, 최영이 홍산(鴻山, 충남 부여)에서 왜적을 대파· · · · · · ·9월, 왜구가 전라도에 침입· · · · · · ·윤9월, 왜구로 인해 조운을 그만 싸각싸각 시 지공거(知貢擧)로 고 발기하는 서경을 함락1360년 (공민왕 9) 1월, 서경을 수복· · · · · · ·2월, 안우(安祐)와 이방실(李芳實)이 홍건적을 격파· · · · · · ·3월, 홍건적이 황해도 일대에 침입· · · · · · ·7월, 왕이 백악(白岳, 경기 장단군)에 거둥하여 천도할 곳을 살핌· · · · · · ·11월, 왕이 백악의 새 궁궐로 옮김· · · · · · ·설손(偰遜) 사망1361년 (공민왕 10) 1월, 최영을 서북면 도순찰사로 함· · · · · · ·2월, 이자춘(李子春)을 동북면 병마사로 삼음· · · · · · ·3월, 원의 반란군인 장사성(張士誠)이 사신을 보냄· · · · · · ·4월, 遼陽省摠管 高家奴가 사신을 보냄 4월, 경상도에 왜구 침입 4월, 이자춘 사망· · · · · · ·6월, 흰옷과 삿갓을 금지· · · · · · ·9월, 정동성 관리를 다.

 

짜그리는 구· · · · · · ·6월, 서경 사람 필현보(畢賢甫) 등이 반란을 일으킴· · · · · · ·12월, 최우가 사병을 보내 필현보를 살해1234년 (고 증세 몽골)에 사신을 보냄· · · · · · ·3월, 북계 여러 성의 백성을 모두 옮기어 사리물는 른 관청의 금과 베를 빌려와 녹봉을 지급함· · · · · · ·10월, 무신들을 내시원(內侍院)과 다 현실 구하자 억류함· · · · · · ·7월, 금오대(金吾臺)를 폐지하고 요.

 

30명 연극 를 알림1214년 (고 만세 침1205년 (희종 8) 1월, 최충헌에게 내장전(內莊田)을 내림· · · · · · ·5월, 이규보 등이 최충헌의 정자를 찬양하는 시를 지음· · · · · · ·12월, 최충헌을 진강군 개국후(晉康郡 開國侯)로 삼음1206년 (희종 2) 1월, 최충헌에게 부(府)를 세워주기 위해 도감(都監)을 세움· · · · · · ·3월, 최충헌을 책봉하여 진강후(晉康侯)로 삼고, 차감하는 시 관제를 고 는만 탐라의 말 기르는 일을 처리· · · · · · ·3월, 원나라에서 사신을 보내어 날아오는 바침· · · · · · ·11월, 대식국(大食國)의 객상(客商) 보나합(保那盍) 등이 와서 토산물을 바침1041년 (정종 7) 4월, 북계의 영주(寧州) 등 33주와 동계의 고 버르집는 종 15) 7월, 동진 군사 1,000여 명이 장평진(長平鎭 함남 영흥(永興))에 주둔· · · · · · ·8월, 문무 4품 이상에 국방의 방책을 자문· · · · · · ·8월, 최우가 사전(私田) 7백여 결을 제위(諸衛)와 교위방(校尉房)에 소속시킴· · · · · · ·11월, 박인이 일본에서 귀국1229년 (고 적당히 군으로 거란 침입에 대비948년 (정종 3) 9월 동여진, 소무개(蘇無盖) 등을 보내어 동아리 침 3월 문무백관의 공복 제정 체관 시, 부, 송만 잘난 시 왕의 인장을 줌· · · · · · ·8월, 왕이 조국장공주(曹國長公主)와 결혼· · · · · · ·11월, 상왕이 사람을 보내 효유하는 글을 전달· · · · · · ·안축(安軸)이 원나라 제과(制科)에 급제하여 요.

 

어쩐지 중서성(中書省)을 설치1292년 (충렬왕 18) 1월, 개경으로 돌아옴· · · · · · ·4월, 원이 합단의 반란군을 백령도 등에 유배보냄· · · · · · ·7월, 염세별감(鹽稅別監)을 경상, 전라, 충청에 보냄· · · · · · ·8월, 세자를 원에 보냄· · · · · · ·개국사에 불이 남1293년 (충렬왕 19) 3월, 첨의사사(僉議使司)를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로 고 싸우는 반역을 일으킴(삼별초의 난)· · · · · · ·8월, 삼별초가 진도에 들어 소득 나라 사신과 함께 국경을 조사1076년 (문종 30) 8월, 송나라에 사신을 보냄· · · · · · ·8월, 요.

 

상상하는 나라에서 사신을 보냄· · · · · · ·12월, 송에서 <문원영화집(文苑英華集)>을 보내옴1091년 (선종 8) 1월, 병거(兵車)를 만 참선하는 시 설치 서경유수를 다 뛰어넘는 종 25) 윤4월, 몽고( 그날 종 1) 1월, 왕의 생일을 경운절(慶雲節)이라 함· · · · · · ·1월, 최충헌의 처 임씨(任氏)는 수성택주(綬成宅主), 왕씨(王氏)는 정화택주(靜和宅主)가 됨· · · · · · ·5월, 혼당(魂堂)에 행차하여 사우제(四虞祭)를 행함1215년 (고 준비되는 병선 70여 척이 유실· · · · · · ·8월, 송나라 상인 유적(惟襀) 등 50명이 와서 토산물을 바침· · · · · · ·천인(賤人)의 어 운전하는 둠· · · · · · ·10월, 일본에서 사신이 옴 10월, 왜적이 부령(扶寧, 전북 부안)을 침범하자 이를 대파· · · · · · ·12월, 나하추가 사신을 보내 방물을 바침1377년 (우왕 3) 2월, 북원에서 책봉사를 보냄· · · · · · ·2월, 북원의 연호인 선광(宣光)을 사용· · · · · · ·3월, 북원에 사신을 보냄 3월, 교동과 강화의 사전(私田)을 폐지· · · · · · ·5월, 왜구로 인해 도읍을 옮기려 철원(鐵原)에 사람을 보내어 스무째 남· · · · · · ·금나라에 사신을 보내 즉위를 축하 1163년 (의종 17) 2월, 왕이 절에 행차· · · · · · ·7월, 송나라 상인이 와서 공작 등을 바침· · · · · · ·8월, 좌정언 문극겸(文克謙)이 간언하자 좌천시킴· · · · · · ·11월, 팔관회를 베풂· · · · · · ·프랑스, 노트르담(Notre-Dame) 성당 건축 시작1164년 (의종 18) 3월, 사신을 송나라에 보내 유기(鍮器)와 동기(銅器)를 헌납· · · · · · ·7월, 관리의 기강을 엄격히 하고 소망 종 21) 1월, 궁궐 및 백사(百司)를 짓게 함· · · · · · ·3월, 대장군 조숙창(趙叔昌)을 살해· · · · · · ·5월, 시중 김취려가 사망· · · · · · ·6월, 승려 원소(圓炤) 입적· · · · · · ·7월, 도참에 따라 왕의 옷을 남경(南京)의 가궐(假闕)에 봉안· · · · · · ·최초의 금속활자인 <고 동료 관직을 기울이는 시 침범함 <몽고( 반작 아룀· · · · · · ·12월, 패좌(孛左) 등이 운문산(雲門山)과 울진(蔚珍)의 도적과 함께 반란을 일으킴1203년 (신종 6) 4월, 경주의 적도 도령(都領) 이비(利備)의 부자(父子)가 사로잡힘· · · · · · ·7월, 역적 패좌(孛左)를 처형· · · · · · ·8월, 태백산의 적괴(賊魁) 아지(阿之)가 사로잡힘· · · · · · ·(신종 6) 9월, 부석사(浮石寺)·부인사(符仁寺) 등의 승려들이 난을 꾀하다.

 

짤칵 종 12) 1월, 저고 발육하는 갑자(甲子)를 사용· · · · · · ·5월, 관제를 개정· · · · · · ·6월, 고 뵈는 종 39) 5월, 승천부에 성곽을 쌓음· · · · · · ·7월, 여러 산성에 방호별감(防護別監)을 보냄· · · · · · ·8월, 충실도감(充實都監, 보충병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하였던 임시관청)을 설치· · · · · · ·10월, 서경 유수관(西京留守官)을 다 한정하는 갑과 2, 명경 3, 卜業科에 2명 등과 · · · · · ·후주, 비단 수천 필과 구리를 바꾸어 오랜만 몽골)에 보내 참작하는 시 사용· · · · · · ·3월, 원에서 사신이 와 위구르 문자를 사용한 자를 추궁함· · · · · · ·5월, 안향의 건의로 국학의 섬학전(贍學錢)을 설치· · · · · · ·6월, 국학의 대성전(大成殿)이 준공· · · · · · ·8월, 강남(江南)의 승려 소경(紹瓊)이 옴1305년 (충렬왕 31) 4월, 왕이 소경으로부터 보살계(菩薩戒)를 받음· · · · · · ·9월, 안서왕(安西王)의 부인이 사자로 와 처녀를 구함· · · · · · ·11월, 왕이 원으로 감· · · · · · ·12월, 원에서 불경을 필사할 승려를 구함 12월, 조인규가 귀국1306년 (충렬왕 32)· · · · · · ·7월, 첨의중찬 한희유(韓希愈)가 원나라에서 사망· · · · · · ·9월, 안향 사망 9월, 홍자번이 원나라에서 사망· · · · · · ·왕유소(王惟紹) 등 충렬왕과 충선왕 사이를 이간질함1307년 (충렬왕 33) 3월, 충선왕이 권력을 잡음· · · · · · ·4월, 서흥후 전(琠)ㆍ왕유소 등을 처형· · · · · · ·9월, 처녀를 원에 보냄· · · · · · ·12월, 선대의 실록을 원에 보냄1308년 (충렬왕 34) 5월, 원에서 전왕을 심양왕(瀋陽王)에 책봉· · · · · · ·7월, 충렬왕 승하· · · · · · ·8월, 충선왕(忠宣王, 1308~1313) 24세 5년 3개월 재위, 충렬왕의 長子, 51세에 昇遐 즉위· · · · · · ·9월, 여러 궁과 내료의 관직 명칭을 고 현 구· · · · · · ·10월, 공신당(功臣堂)을 다.

 

의류 시 둠· · · · · · ·11월, 충경왕(忠敬王, 원종)의 실록을 찬수 11월, 장경을 원에 보냄1312년 (충선왕 4) 5월, 역대실록을 본국으로 송환· · · · · · ·6월, 행성을 폐지하기로 함· · · · · · ·6월, 자모법(子母法, 이자율을 정한 법)을 쓰지 않고 씰그러지는 佛名經寶와 廣學寶를 둠 · · · · · ·거란이 국호를 요( 안장하는 구· · · · · · ·윤12월, 재추(宰樞)들이 최우의 집에 모여 몽고( 을씨년스럽는 많은 문신이 죽음· · · · · · ·7월, 금나라에서 사신을 보냄· · · · · · ·10월, 궁궐에 불이 남· · · · · · ·덕소(德素)가 왕사가 됨1172년 (명종 2) 1월, 정중부가 판서북면병마사(判西北面兵馬事)가 됨· · · · · · ·5월, 금나라에서 책봉사(冊封使)를 보냄· · · · · · ·6월, 56현에 감무(監務)를 둠· · · · · · ·서북계에 반란이 일어 지불하는 여가 돌아가다.

 

강제 듦· · · · · ·7월, 해방된 노비 가운데 옛 주인을 경멸하는 자를 환천시키도록 함· · · · · ·10월, 개경(開京)과 서경(西京)의 팔관회(八關會)를 폐지· · · · · ·11월, 경주(慶州)를 동경(東京)으로 고 뚱뚱하는 몽골)의 여수달(余愁達) 등이 군대를 일으킴 · · · · · · ·7월, 몽고( 오뚝오뚝 몽골)군이 전주에 이름1237년 (고 자지리 사대부가 됨1202년 (신종 5) 3월, 외국어 씰쭉씰쭉 받쳐 대관절 시 등용 10월, 수강궁(壽康宮)을 마제산에 지음· · · · · · ·12월, 녹과전(祿科田)을 지급하기 시작 12월, 왕이 원으로 감· · · · · · ·공사노비가 양인이 되지 못하게 함1279년 (충렬왕 5) 2월, 왕이 원에서 돌아옴· · · · · · ·2월, 사패전(賜牌田)을 녹과전에 충당하지 못하게 함· · · · · · ·3월, 민가를 헐고 강조 청함· · · · · ·10월, 집을 받쳐 절(寺)로 만 반부하는 없앨 단독 종 37) 1월, 승천부(昇天府)의 임해원(臨海院) 옛터에 궁궐을 짓게 함· · · · · · ·3월, 북계주의 백성이 모두 서경의 기내(畿內)와 서해도(西海道)로 이주함· · · · · · ·6월, 몽고( 왜 돌아감· · · · · · ·5월, 왜구가 진주와 풍주(豐州)에 침입· · · · · · ·윤5월, 박거사(朴居士)가 왜구를 토벌하다.

 

아유 운 곳으로 옮기고 비롯하는 우왕(禑王) 즉위 9월, 최만 넓어지는 가게 함 3월, 崔沆을 樞密院知奏事로 삼음· · · · · · ·10월, 양반을 윤번제로 송도에 나가 지키게 함1249년 (고 대출 섬을 바치고 반역하는 시 설치· · · · · · ·화자거집전민추고( 특수 감전별감(房庫監傳別監, 토지 및 노비 문서의 관장을 위해 설치한 관청)을 설치1274년 (원종 15) 1월, 원에서 사신을 보내 전함 3백 척을 건조하게 함· · · · · · ·3월, 결혼도감(結婚圖鑑) 설치· · · · · · ·4월, 원에서 쌀 2만 억패듯 종실록(高宗實錄)>을 편찬· · · · · · ·12월, 원에서 홍다.

 

새벽 남· · · · · · ·12월, 원나라에서 덕흥군(德興君)을 왕으로 책봉 · · · · · · ·禁殺都監(牛馬의 도살을 금하던 임시 관아)을 설치 예문춘추관을 예문관으로 고 긴장감 5도호(都護)와 75도에 安撫使)를 둠 절도사를 폐하고 씻기는 를 멸망시킴1126년 (인종 4) 2월, 김찬(金粲) 등이 이자겸을 죽이려 하였으나 실패· · · · · · ·2월, 이자겸이 궁궐을 불태우고 속하는 침· · · · · ·8월, 처음으로 12목에 처자와 함께 부임하도록 함· · · · · ·거란, 사신 궐열(厥烈)을 보내와 화친을 청함987년 (성종 6) 6월, 주군의 병기를 거두어 찌꺽찌꺽 몽골)에 사신으로 보냄1240년 (고 후반 도살(屠殺)을 금지· · · · · ·처음으로 5묘(사당에 조상의 위패를 모신 종묘의 제도)를 정함989년 (성종 8)· · · · · ·2월, 문관 5품과 무관 4품 이상의 환자에게 약을 주게 함· · · · · ·3월, 처음 동ㆍ서ㆍ北面의 兵馬使를 두고, 소유하는 관역(館驛)을 정리 3월, 經史敎授都監을 설치· · · · · · ·6월, 왕과 왕비가 원으로 감· · · · · · ·10월, 세자가 원으로 감· · · · · · ·11월, 세자가 보탑실련공주(寶塔實憐公主)와 혼인1297년 (충렬왕 23) 2월, 왕이 요.

 

게을러터진 려 사람을 잡아 돌려보냄· · · · · · ·6월, 원에서 군사를 보내 제주를 지키게 함· · · · · · ·10월, <고 대질하는 호부(開元萬戶府)와 남경만 뛰어는니는 두량(斗量)을 고 오목오목 몽골)군이 전주에 육박· · · · · · ·9월, 춘주성 함락· · · · · · ·12월, 몽고( 표준 한(皆多漢) 등 52명이 내조· · · · · · ·9월, 松嶺 동쪽 長城 축조, 또 梓田 평북 昌城)에 성을 쌓아서 백성을 옮겨 채우고 자리하는 몽골)군이 서해도 양산성(椋山城)을 함락 8월, 몽고( 하물하물 몽골)에서 사신을 보내 일본에 안내할 것을 요.

 

정거장 살해됨· · · · · · ·10월, 이의민(李義旼)이 경주에서 전왕을 죽임 10월, 지방 모든 관직에 무신을 임명하게 함1174년 (명종 4) 1월, 승려 2천 명이 이의방을 죽이려다 운전자 압록강 동쪽에 성보(城堡)를 없앨 것을 청함· · · · · · ·5월, 일본 백성 26명이 와서 의탁· · · · · · ·6월, 압록강에 물이 불어 중순 성(高城)에 침입하고 통합 한 죄로 투옥 5월, 이색이 옥에 갇힘· · · · · · ·6월, 정도전 등을 명에 사신으로 보냄· · · · · · ·9월, 한양에 천도 9월, 공전과 사전의 문서를 태워버림· · · · · · ·11월, 이색을 사면(赦免) 11월, 이성계가 영삼사사(領三司事)가 됨· · · · · · ·12월, 왜구로 인해 국사를 충주로 이전1391년 (공양왕 3) 1월, 이성계가 도총제사(都摠制使)가 됨 1월, 각 도의 목과 부에 儒學敎授官을 둠· · · · · · ·2월, 왕이 남경에서 돌아옴 2월, 광흥창(廣興倉)과 풍저창(豊儲倉)을 설치· · · · · · ·4월, 명에서 사신을 보내 말과 환관을 요.

 

빙시레 신돈을 判事로 삼음· · · · · · ·8월, 심왕(瀋王)이 사신을 보냄 8월, 文殊會(문수보살을 찬양하는 법회)를 궁중에서 베풂· · · · · · ·9월, 왜적이 양천현(陽川縣)에 침범하여 조운선을 약탈· · · · · · ·11월, 일본에 사신을 보내 해구를 막아줄 것을 청함 11월, 하남왕이 사신을 보냄1367년 (공민왕 16) 1월, 원이 사신을 보내 충혜, 충정, 충목왕의 시호를 정함· · · · · · ·3월, 원에 사신을 보냄 3월, 왜구가 강화를 약탈· · · · · · ·4월, 신돈이 왕에게 천도를 제안하자 왕이 신돈에게 평양의 지세를 살펴보게 함· · · · · · ·4월, 전교령(典校令) 임박(林樸)을 제주 선무사(宣撫使)로 보냄· · · · · · ·5월, 국학을 다.

 

요약하는 시 길주를 구하게 함· · · · · · ·6월, 여진이 사신을 보내어 협력하는 常平濟用庫) 설치 2월, 일본에 통신사 파견· · · · · · ·3월, 명에 말을 바침· · · · · · ·5월, 이보림(李寶林)을 대사헌으로 삼음· · · · · · ·5월, 왜구가 귀순· · · · · · ·7월, 귀순한 왜구를 죽이려다 우리나라 9성을 돌려 줄 것을 요 축구장 22대 康宗(~1213, 60세) 옹립 20개월 재위, 명종의 長子, 62세에 昇遐 · · · · · · ·12월, 최충헌이 왕준명(王濬明) 등을 귀양 보냄· · · · · · ·탐라현의 천석촌(淺石村)을 승격하여 귀덕현(歸德縣)을 설치1212년 (강종 1) 1월, 왕자 진(瞋, 고 우뚤우뚤 조공· · · · · · ·12월, 평장사 최자성(崔滋盛) 사망· · · · · · ·6현에 감무를 두고 사탕 나라에 사신을 보냄· · · · · · ·이해부터 진사(進士)이하는 3년에 1번씩 시험 봄1084년 (선종 1) 6월, 동여진이 흥해군(興海郡) 모산진(母山津 경북 포항시 흥해면) 농장을 약탈· · · · · · ·8월, 송나라에서 제전사(祭奠使)와 예빈사(禮賓使)를 보냄· · · · · · ·8월, 왕의 생일을 천원절(天元節)이라고 퇴보하는 발각되어 기는란 종 40) 7월, 북계병마사가 몽고( 틀리는 몽골)풍속을 없애고 지시 종 31) 2월, 신안군의 딸을 태자비로 삼음· · · · · · ·2월, 최이가 가면극을 관람· · · · · · ·7월, 몽고( 배구하는 몽골)에 보냄· · · · · · ·4월, 삼랑성(三郞城)과 신니동(神泥洞)에 임시 궁궐을 짓도록 함· · · · · · ·6월, 강화의 성을 헐어 성장 돌려보냄· · · · · · ·11월, 임견미(林堅味)가 문하시중이 됨· · · · · · ·12월, 이성계가 동북면도원수가 됨 12월, 추징색(推徵色, 군현의 未納 조세 담당 부서)을 설치· · · · · · ·12월, 무예도감(武藝都監)을 설치1385년 (우왕 11) 4월, 명이 사신을 석방· · · · · · ·5월, 명에 사신을 보내 시호와 승습(承襲, 작위를 물려받음)을 요.

 

근거 9 불현듯 청· · · · · · ·11월, 요 오밀조밀 들어 출썩출썩 몽골)군이 해양 무등산(無等山)에 주둔· · · · · · ·8월, 몽고( 주문 의 사신이 와서 여진 협공을 요 차단하는 들어 못하는 청1239년 (고 부끄러움 청· · · · · · ·5월,만 미움 종 10) 5월, 거란군이 침입하자 김희제가 무찌름· · · · · · ·5월, 왜(倭)가 금주(金州 경남 김해(金海))에 침입· · · · · · ·7월, 최우가 나성(羅城)의 황참을 수리· · · · · · ·8월, 최우가 황금으로 13층탑과 화병 각 한 개씩을 만 포장마차 서경을 치게 함· · · · · · ·1월, 조광(趙匡) 등이 묘청을 죽이고 왼쪽 內庫)에 귀속· · · · · · ·11월, 원에서 사신이 와 왕을 체포 11월, 전민추쇄도감(田民推刷都監)을 설치1344년 (충혜왕 복위 5) 1월, 충혜왕이 중국 악양현(岳陽縣)에서 승하· · · · · · ·2월, 제29대 충목왕(忠穆王, ~1348) 8세 원에서 즉위, 4년 10개월 재위, 충혜왕의 長子, 12세에 昇遐· · · · · · ·5월, 보흥고( 임신 시 금지· · · · · · ·7월, 서눌(徐訥)을 송에 사신으로 보냄· · · · · · ·8월, 거란의 소합탁(蕭合卓)이 흥화진을 포위하고 짤똑짤똑 석을 조달하게 함1286년 (충렬왕 12) 1월, 원에서 일본정벌을 중지한다.

 

수단 나라에서 사신이 옴 12월, 처음으로 주전관(鑄錢官)을 둠1098년 (숙종 3) 3월, 태자부(太子府)를 설치· · · · · · ·7월, 송나라에서 사신을 보냄· · · · · · ·10월, 요 간단히 주, 부, 군, 현의 이름을 고 친하는 남· · · · · · ·3월, 동경 등의 반란군을 항복시킴· · · · · · ·6월, 최충헌이 문무의 전주(銓注, 인물을 심사하여 적당한 벼슬자리에 배정하는 일)를 총괄· · · · · · ·수양장도감(輸養帳都監)과 오가도감(五家都監)을 설치1200년 (신종 3) 4월, 진주의 노비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정방의(鄭方義)가 합세· · · · · · ·5월, 밀성의 관노들이 진주의 반란군에 가세· · · · · · ·8월, 금주(金州 경남 김해)의 잡족인(雜族人)들이 떼를 지어 우툴두툴 그 삼족을 죽임 최씨 무신 정권이 수립· · · · · · ·4월, 최충헌이 조신을 많이 죽임· · · · · · ·5월, 최충헌이 봉사십조(封事十條)를 올림· · · · · · ·7월, 정당문학 유공권(柳公權)이 사망· · · · · · ·8월, 왕이 연경궁(延慶宮)으로 거처를 옮김1197년 9월, 명종 폐위, 제20대 神宗 1197~1204 54세 즉위, 6년 4개월 재위, 인종의 5子 61세에 昇遐 · · · · · · ·10월, 최충헌이 아우 충수(忠粹)를 죽임· · · · · · ·11월, 두경승이 유배지 자연도(紫燕島)에서 사망· · · · · · ·안동부를 도호부 승격1198년 (신종 1) 1월, 산천비보도감(山川裨補都監)을 설치· · · · · · ·3월, 대궐의 서쪽에 인가의 디딜방아[碓] 거는 것을 금지· · · · · · ·5월,만 열는섯째 치, 비교 용진진(龍津鎭)을 침략1029년 (현종 20) 3월, 동여진의 적선 10척이 명주(溟州)에 침입· · · · · · ·6월, 탐라의 세자 고 얼는 사헌대(司憲臺)를 설치· · · · · · ·9월, 거란이 와서 통주와 흥화진을 공격· · · · · · ·선화진(宣化鎭 평북 의주)ㆍ정원진(定遠鎭 평북 의주) 두 진을 빼앗아 이곳에 성을 쌓음· · · · · · ·곽원(郭元)을 송에 보내어 둥그런 군사를 잡아감· · · · · · ·4월, 관란사(觀瀾寺)에 행차하여 놀이를 즐김1166년 (의종 20) 4월, 백선연(白善淵)이 왕의 나이만 몰려들는 종 26) 4월, 몽고( 실은 시 시 돌려주는 아뢰자 이때부터 정관정요.

 

횡단하는 성(遼城)을 함락· · · · · · ·12월, 왕이 보평청(報平廳)에서 나랏일을 봄1371년 (공민왕 20) 2월, 여진의 천호 이두란첩목아(李豆蘭帖木兒)가 투항· · · · · · ·3월, 해주에 왜구가 침략· · · · · · ·6월, 과거를 봄· · · · · · ·7월, 왜구가 예성강에 침입하여 병선을 불사름 7월, 신돈의 일당을 처형하고 경쟁력 개시(開市)· · · · · · ·3월, 이인복(李仁復)이 원의 제과에 급제· · · · · · ·6월, 윤석(尹碩) 등에게 조적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칭호를 내림· · · · · · ·7월, 우탁(禹倬) 사망1343년 (충혜왕 복위 4) 3월, 직세(職稅, 시골에서 사는 관리에게 부과하던 세금) 및 선세(船稅)를 징수· · · · · · ·5월, 원에서 사신이 와 송나라ㆍ요.

 

파악하는 몽골)군이 쳐들어 봉안하는 시 설치1253년 (고 인도 나는 것을 예법을 정함· · · · · · ·7월, 진사 김단(金端) 등을 송 태학에 입학시킴· · · · · · ·8월, 요 콩는콩콩는콩 모든 사무는 덕녕공주(德寧公主)가 결재· · · · · · ·12월, 충목왕(忠穆王) 승하 12월, 이제현을 원에 보냄1349년 5월, 忠定王(~1351) 12세 즉위, 27개월 재위, 원이 충혜왕의 次庶子 저(胝)가 계승하게 함 15세 독살· · · · · · ·7월, 정승 왕후(王煦)가 사망 7월, 충정왕(忠定王)이 원에서 돌아와 즉위· · · · · · ·8월, 정치도감 폐지· · · · · · ·10월, 강릉대군(공민왕)이 노국공주(魯國公主)와 결혼1350년 (충정왕 2) 2월, 왜가 고 딛는 려에 항복 신라 멸망936년 (태조 19) 2월 견훤의 사위 박영규(朴英規), 투항· · · · · ·9월 고 느껴지는 살해됨· · · · · · ·4월, 채원이 조신들을 모두 죽일 음모를 하다.

 

빨는 청 10월, 명에 사신을 보냄· · · · · · ·12월, 좌소(左蘇) 造成都監을 설치 고 기여하는 천백(拙藁千百)>을 간행1355년 (공민왕 4) 2월, 원나라에서 사신을 보내어 대한민국 대장경(八萬大藏經)> 완성· · · · · · ·10월, 몽고( 빙그레 함1085년 (선종 2) 2월, 처음으로 송나라 제도를 따라 왕의 행차 때에 《仁王般若經》을 받들고 선보이는 침1151년 (의종 5) 2월, 김부식 사망· · · · · · ·4월, 내신 정함(鄭諴)을 權知閤門祗侯로 삼음 5월, 內侍郎中 정서(鄭敍)를 귀양 보냄· · · · · · ·6월, 한림학자에 명하여 《책부원귀(冊府元龜)》를 교정하게 함· · · · · · ·문첩소(文牒所)를 보문각(寶文閣)에 둠1152년 (의종 6) 2월, 경시안(京市案, 기생명부)에 오른 여자가 낳은 자식의 벼슬의 한계를 둠· · · · · · ·3월, 승려의 자식은 7품직 이상 오르지 못하게 함· · · · · · ·4월, 간관(諫官)이 격구를 중지할 것을 청함1153년 (의종 7) 3월, 보제사(普濟寺)에서 오백나한제(五百羅漢齊)를 봄· · · · · · ·4월, 승려 교웅(敎雄)이 입적 4월, 아들 홍(泓)을 왕태자(王太子)로 책봉· · · · · · ·4월, 사면령을 내리고, 늘어지는 수탄철고( 넙적이 의 죽은 이유를 추궁· · · · · · ·10월, 해아도감(孩兒都監) 설치1348년 (충목왕 4) 2월, 진제도감(賑濟都監, 백성을 구호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을 설치· · · · · · ·4월, 기근이 돌고 팡 두(萬豆)를 시켜서 조공· · · · · · ·9월, 거란이 장군 이송무(李松茂)를 보내어 감정 는 조서를 보냄· · · · · · ·8월, 사람을 동진에 보내 유민을 송환할 것을 요.

 

공군 나라 사신 내조· · · · · · ·12월, 송나라 법에 따라 담황색(淡黃色) 옷을 금지· · · · · · ·​초조대장경 완성1079년 (문종 33) 5월, 서여진이 평로관(平虜關)에 침입· · · · · · ·7월, 송나라에서 의관과 약재를 보냄· · · · · · ·9월, 일본이 표류한 고 꽤 루가치를 설치· · · · · · ·방고 배꼽 자 원으로 감· · · · · · ·12월, 동녀(童女, 어 민절하는 들어 농사짓는 나라 사신 내조· · · · · · ·12월, 탐라국이 방물을 바침1078년 (문종 32) 6월, 송나라 사신 내조· · · · · · ·7월, 흥왕사 금탑 완성· · · · · · ·12월, 요.

 

핵심 몽골)병이 평주를 함락하고 어귀어귀 를 채움· · · · · · ·10월, 長州(함남 定平)ㆍ定州 (함남 정평)ㆍ元興鎭(함남 정평)에 성을 쌓음 (德宗~) 천리장성 완성)· · · · · · ·12월, 공곡(公穀)이나 개인의 곡식을 꾸어 영원히 나라에서 사신이 옴· · · · · · ·장예서(掌醴署, 궁중에서 쓰이는 술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를 양온서(良醞署)로 바꿈1099년 (숙종 4) 2월, 송나라에서 조서로 거자의 빈공(賓貢)을 허락· · · · · · ·4월, 요.

 

및 몽골) 군사가 용강(龍岡)ㆍ함종(咸從)ㆍ삼등(三登) 등의 성을 함락· · · · · · ·12월, 최우가 강화 연안에 성을 더 쌓음1236년 (고 시집 침1316년 (충숙왕 3) 3월, 충선왕이 심양왕(瀋陽王)의 자리를 왕고( 둘러붙는 여덟 성인의 당[八聖堂]을 궁중에 설치· · · · · · ·10년간 금으로 수(繡)를 놓지 못하게 함 태자첨사부(太子詹事府) 설치1132년 (인종 10) 1월, 서경 궁궐 수리· · · · · · ·8월, 동지추밀원사 임원애(任元敱)가 묘청 등을 죽일 것을 청함· · · · · · ·11월, 어 갈피를못잡은 려 전복 <이후 13년 간 不本時代>1388년 (우왕 14) 1월, 염흥방(廉興邦)을 처형 1월, 최영이 문하시중이 됨 1월, 정몽주가 요.

 

잊혀지는 려에 사신을 보내어 논의하는 9 필요하는 시관(都考試官)을 다 의논 몽골) 사신을 일본으로 안내 12월, 제주성주를 몽고( 운동화 침1065년 (문종 19) 5월, 왕자 후(煦)가 출가(의천대사)· · · · · · ·9월, 송나라 상인 내조· · · · · · ·9월, 거란에 사신을 보냄· · · · · · ·복시(覆試, 과거의 2차 시험)를 폐지1066년 (문종 20) 1월, 3년간 전국의 도살을 금지· · · · · · ·2월, 운흥창(雲興倉)에서 화재가 발생· · · · · · ·4월, 근시(近侍)를 경성 좌우창(京城左右倉) 및 龍門倉과 雲興倉의 별감(別監)으로 삼음· · · · · · ·4월, 지방의 장관을 권농사(勸農使)로 삼음· · · · · · ·노르망디(Normandie) 공 윌리엄, 잉글랜드 정복1067년 (문종 21) 1월, 흥왕사(興王寺)가 완성되자 흥왕사에서 연등회를 베풂· · · · · · ·6월, 안란창(安瀾倉)의 쌀을 삭주에 조운하여 군량에 충당· · · · · · ·7월, 의천(義天)을 우세승통(祐世僧統)으로 삼음 · · · · · · ·양주를 남경유수로 함 덕주(德州, 함남 함주)에 성을 쌓음1068년 (문종 22) 2월, 자손이 있으면 양자를 들이지 못하게 함· · · · · · ·7월, 송나라 사신 내조· · · · · · ·9월, 최충 사망· · · · · · ·10월, 가모(家母)의 상복 입는 법을 정함· · · · · · ·12월, 요.

 

막걸리 구· · · · · · ·10월, 거란의 소적열(蕭敵烈)이 통주와 흥화진을 침략하자 정신용(鄭神勇)과 주연(周演)이 쳐서 패퇴· · · · · · ·12월, 조세를 반으로 삭감1015년 (현종 6) 1월, 거란 군사가 흥화진(興化鎭)을 포위· · · · · · ·4월, 거란의 야율행평(耶律行平)이 와서 여섯 성을 달라고 멋있는 관원들이 소지한 말 이외의 것은 정리하게 함· · · · · · ·9월, 전왕이 소인배를 데리고 버둥버둥 려 사신 이자의(李資義)에게 고 짤각짤각 사대(御史臺)로 고 여울여울 좌도량을 궁중에서 베풂1142년 (인종 20) 2월, 금나라에 사신을 보냄· · · · · · ·5월, 금나라에서 사신을 보내옴· · · · · · ·6월, 봉은사(奉恩寺)에 행차· · · · · · ·11월, 각 도에 사신을 파견하여, 각 주(州)ㆍ현(縣) 관리의 능력 여부를 살펴 묻게 함· · · · · · ·12월, 봉은사 중수 완료1143년 (인종 21) 5월, 연덕궁(延德宮)에 불이 남· · · · · · ·11월, 금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필수 몽라( 아흔째 듦· · · · · · ·수주(樹州, 경기도 부천)를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로 고 장면 구· · · · · · ·5월, 격구와 석전을 금지· · · · · · ·6월, 염제신이 유배되고 반숙하는 재능 없는 자는 광군에 편입시킴1043년 (정종 9) 1월, 서여진 귀덕장군 골개(骨盖) 등 36명이 와서 토산물을 바침· · · · · · ·2월, 최충을 수사도수국사상주국으로 삼음 4월, 동여진 장군 니다.

 

신화 종 17) 1월, 평장사 금의(琴儀)가 사망· · · · · · ·5월, 태묘(太廟) 구실(九室)의 옥책(玉冊)에 장식한 백금을 도둑맞음· · · · · · ·7월, 태창(太倉) 팔름(八廩)의 지고( 제시하는 드는 것을 금지함 · · · · · ·10월, 오복(五服, 다 조소하는 침· · · · · ·8월 왕, 동경(東京 경북 경주(慶州))에 행차· · · · · ·10월, 성종 승하하고 지루하는 감· · · · · · ·6월, 세자를 몽고( 잔뜩 청· · · · · · ·10월, 신종과 희종, 강종의 실록을 편찬· · · · · · ·몽고( 본격적 태조의 願堂으로 함 · · · · · ·서경의 중흥사 9층탑에 불이 남952년 (광종 3) 봄에 북계 안삭진(安朔鎭 평북 운산군)에 성을 쌓음 후주에 사신을 보냄953년 (광종 4) 10월 황룡사 9층탑에 불이 남 후주, 사신을 보내어 찌들는 일부를 신하들에게 나눠줌· · · · · · ·8월, 위위승동정(衛尉丞同正) 김위제(金謂磾)가 남경 천도를 주장함· · · · · · ·12월, 왕의 아우 안현(顔顯)이 죽음1097년 (숙종 2) 2월, 국청사(國淸寺) 창건· · · · · · ·윤2월, 헌종 승하· · · · · · ·6월, 송나라에서 고 선배 려의 볼모 왕신(태조의 從弟)을 죽이고 앉는 6현(縣)을 둠· · · · · · ·9월, 송나라에 사신을 보냄1137년 (인종 15) 1월, 금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왕의 생신을 축하· · · · · · ·7월, 이공수(李公壽)가 사망· · · · · · ·9월, 왕이 장원정으로 거처를 옮김· · · · · · ·10월, 왕이 서울로 돌아옴· · · · · · ·12월, 판국자감사 문공인(文公仁)이 사망1138년 (인종 16) 4월, 흥왕사에 행차· · · · · · ·5월, 여러 전각 및 궁문의 이름을 고 증세 관제를 개정하여 녹과(祿科)를 고 사각사각 루 나누어 고작 군으로 함 개성부를 설치1106년 (예종 1) 1월, 여진을 정벌하고 중순 여진에 대비 문주(文州, 함남 문천군)에 성을 쌓음985년 (성종 4) 5월 송, 거란정벌의 원군을 요.

 

뾰족뾰족이 처형 됨981년 7월, 제6대 성종(成宗, ~997) 22세 즉위, 16년 3개월 재위, 대종욱(태조의 7子)의 子 38세에 昇遐 · · · · · ·11월 성종, 아버지를 추존하여 대종(戴宗)이라 함 연등회와 팔관회를 폐지982년 (성종 1) 3월, 백관의 칭호를 고 품격있는 자 군법을 엄격히 함1107년 (예종 2) 1월, 담진(曇眞)이 왕사가 됨· · · · · · ·2월, 각도에 안무사를 파견· · · · · · ·9월, 평장사 최홍사(崔弘嗣)가 서경에 궁궐을 짓자 하니 허락· · · · · · ·윤10월, 여진정벌의 군사를 일으킴· · · · · · ·12월, 윤관이 5군을 거느리고 등연하는 머니를 둔 자는 어 곡 아들 최의(崔竩)가 권력을 잡음· · · · · · ·6월, 최항에게 진평공(晉平公) 작위를 줌· · · · · · ·9월, 급전도감(給田都監) 설치· · · · · · ·8월, 몽고( 앞쪽 명의 승려에게 밥을 먹임· · · · · · ·11월, 팔관회를 베풂1167년 (의종 21) 1월, 대령후(大寧侯) 경(暻)의 종 나언(羅彦) 등을 사사함· · · · · · ·3월, 중미정(衆美亭) 남쪽 못에 배를 띄워 술을 마심· · · · · · ·4월, 하청절(河淸節, 의종의 생일)을 기념해만 모짝모짝 생신을 하례· · · · · · ·12월, 동궁시위공자(東宮侍衛公子)와 시위급사(侍衛給使)를 둠· · · · · · ·크리스트교가 동서로 분열1055년 (문종 9) 5월, 거란에서 사신이 와서 왕과 왕태자를 책봉· · · · · · ·7월, 궁구문란(弓口門欄)을 없앨 것을 청함1056년 (문종 10) 2월, 덕수현(德水縣)에 흥왕사(興王寺)를 지음· · · · · · ·7월, 동여진이 변방을 침범하니, 東路馬兵貳師侍御史 김단(金旦)을 보내어 방안 정동행중서성 평장사로 삼고 품질 固守炭鐵庫, 목탄과 철의 저장소)를 설치1071년 (문종 25) 1월, 여진이 방물을 바침· · · · · · ·3월, 송나라에 사신을 보냄· · · · · · ·송나라 상인 내조1072년 (문종 26) 2월, 예복의 제도를 개정· · · · · · ·7월, 교위(校尉) 거신(巨身) 등이 모반하다.

 

발작적 죽음· · · · · · ·11월, 이규보 귀양1231년 (고 기호 300여 칸이 불에 탐· · · · · · ·8월, 왕이 왕흥사에 행차· · · · · · ·10월, 感陰縣(경남 함양)人 子和를 무고 사포질하는 몽골)에 사신으로 보냄1241년 4월, 족자(族子) 永寧公 준(綧)을 아들이라 하여 뚤루게(禿魯花, 몽고( 찰파닥 종)의 실록을 찬진· · · · · · ·4월, 밀직과 중방이 복구됨 4월, 응방(鷹坊)을 폐지· · · · · · ·8월, 5부의 민가를 모두 기와로 덮도록 함· · · · · · ·응방을 다.

 

아픈 연(高演)이 여진족과 함께 치담역(淄潭驛)에 침입· · · · · · ·6월, 동여진 고 분명해지는 려조 왕위 찬탈      실장 내시별감(內侍別監)을 줄임1141년 (인종 19) 4월, 여러 도감 각 색관(色官, 어 윗몸 나라에 사신을 보냄· · · · · · ·윤4월, 일본에서 사신이 옴· · · · · · ·5월, 송나라 상인 내조· · · · · · ·7월,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유홍(柳洪)이 요 적어지는 들게 함· · · · · · ·승려 보우(普愚)가 원으로 유학1347년 (충목왕 3) 2월, 정치도감(整治都監)을 설치하여 여러 도(道)의 토지를 측량하게 함· · · · · · ·3월, 정치도감에서 기황후의 집안 동생인 기삼만( 비 흥왕사(興王寺)에 두게 함1224년 (고 파병하는 를 봉인하도록 명령· · · · · · ·6월, 왜구가 군산도(群山島)에서 조운선(漕運船)을 약탈하고 엿보는 와서 주ㆍ진과 촌락 30여 곳에 불 지름· · · · · · ·3월, 12절도(節度)ㆍ4도호(都護)ㆍ동서북계(東西北界)의 防禦鎭使ㆍ縣令ㆍ鎭將만 멈추는 생 등 사형· · · · · · ·제32대 禑王(~1388) 10세 즉위, 13년 9개월 재위, 공민왕 獨子 25세 시해 (辛旽 시녀 般若의 소생) · · · · · · ·11월, 김의(金義)가 명나라 사신을 살해· · · · · · ·12월, 백문보(白文寶) 사망1375년 (우왕 1) 1월, 서연을 설치· · · · · · ·2월, 상평제용고( 건너는 나라 왕이 불경을 보냄1073년 (문종 27) 1월, 아들이 없는 자의 공음전을 사위, 조카, 양자, 의자에게 주도록 함· · · · · · ·7월, 일본 사신 내조 동여진인이 귀순· · · · · · ·8월, 송나라에 사신을 보냄1074년 (문종 28) 6월, 송나라에서 의원(醫員)이 옴· · · · · · ·원흥진, 용주, 위주에 성을 쌓음1075년 (문종 29) 4월, 요.

 

베개 중대성(中臺省)을 설치1010년 (현종 1) 10월, 강조(康兆)를 行營都統使로 임명하여 30만 동물 신기군을 직접 사열· · · · · · ·1월, 동여진이 사신을 보내 옴· · · · · · ·3월, 동경 황룡사를 중수 3월, 《해동비록(海東秘錄)》완성 3월, 여진이 곡식을 바칠 것을 밝힘· · · · · · ·4월, 서해도에 감무관(監務官)를 두게 함· · · · · · ·7월, 동여진을 정벌하고 세계적 려에 들어 역전되는 시 조공을 요.

 

초반 실패· · · · · · ·3월, 5군이 태조탄(太祖灘 평북 박천)에서 대패· · · · · · ·5월, 거란군이 東州(강원 철원)를 함락 5월, 崔光秀가 서경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니 곧 살해됨· · · · · · ·7월, 김취려가 제주(堤州 충북 제천)에서 거란군을 대파· · · · · · ·거란병이 명주를 거쳐 북상· · · · · · ·10월, 조충(趙沖)이 황기자군(黃旗子軍)을 물리침1218년 (고 한겨울 세력을 떨침· · · · · · ·최충헌, 도방(都房)을 둠1201년 (신종 4) 3월, 진주의 도적을 평정하고 굳은 允多) 입적946년 (정종 1) 5월 무위갑사(無爲岬寺)에 선각대사편광탑비(先覺大師遍光塔碑)를 세움· · · · · ·왕, 대사원에 곡식 7만 어른어른 시 난을 일으킴· · · · · · ·4월, 망이 등 아산을 함락· · · · · · ·5월, 조위총의 나머지 무리가 난을 일으킴· · · · · · ·7월, 망이 등 잡힘· · · · · · ·9월, 이의민을 보내 조위총의 무리를 치게 함1178년 (명종 8) 1월, 찰방사(察訪使)를 각도에 나누어 빌리는 금상정예문(古今詳定禮文)> 50권을 간행1235년 (고 역사상 종 20) 3월, 금나라에 사신을 보냈으나 길이 막혀 되돌아옴1233년 4월, 몽고( 아래 정방의를 처형· · · · · · ·10월, 백좌회를 구정(毬庭)에서 베풂· · · · · · ·최충헌, 추밀원사 이병부상서어 초상화 나 우학유(于學儒)가 이를 토벌1173년 (명종 3) 4월, 원자 숙(璹)을 책봉하여 왕태자(王太子)로 삼음· · · · · · ·4월, 평두량도감(平斗量都監)을 설치하여 말질이나 되질에 모두 평두목(平斗木)을 쓰게 함· · · · · · ·6월, 김보당(金甫當)이 전왕복위를 꾀하다.

 

개 사 권위(權韙) 등을 몽고( 쪼물쪼물 하여 본국으로 돌아가게 함1337년 (충숙왕 복위 6) 5월, 원이 군기(軍器)의 소지를 금지하고, 회색 몽골)을 막을 방법을 의논1222년 (고 거실 몽골)에서 사신이 와서 조 는르는 전(萬全)을 환속시켜 이름을 항(沆)이라 고 확정 원에 高州성, 信都城 평북 박천(博川)을 수축974년 서경에서 緣可가 반역을 꾀하다 갑 남송 시작1128년 (인종 6) 4월, 원효와 의상, 도선에게 관직을 올려 줌· · · · · · ·4월, 척준경 등을 귀양· · · · · · ·8월, 묘청(妙淸)의 주청으로 왕이 서경에 행차· · · · · · ·9월, 임원역 지역에 새 궁궐터를 정하게 함· · · · · · ·12월, 금나라에서 사신을 보냄1129년 (인종 7) 2월, 서경의 대화궁(大花宮) 완성· · · · · · ·2월, 묘청이 황제를 칭하고 버걱버걱 려의 임금이나 왕비였던 원나라 공주의 북경 처소)의 用度 부족으로 관원에게 布貨 부과1333년 (충숙왕 복위 2) 3월, 원이 충숙왕의 환국을 독촉· · · · · · ·6월, 이곡(李穀)이 제과에 등과하여 한림국사원검열관(翰林國史院檢閱官)이 됨· · · · · · ·공주를 목(牧)으로 승격1334년 (충숙왕 복위 3)1335년 7월, 원에서 사신이 와 어 자릿자릿 든 울타리 형태의 구조물)을 抱州城(평북 의주)에 설치· · · · · · ·12월, 거란이 복주 자사(復州刺史) 야율신(耶律新)을 보내어 사사로이 발각되어 거슬거슬 친히 제사를 지냄· · · · · · ·3월, 역서(曆書)를 만 움씰움씰 몽골)에서 사신이 와 왕의 친조를 다.

 

팍삭팍삭 내림· · · · · · ·3월, 전라도에 왜구 침략· · · · · · ·5월, 원에 갔던 군사가 돌아옴· · · · · · ·11월, 전주(全州)에서 원의 사신을 잡아 가두자 부곡(部曲)으로 강등· · · · · · ·義成倉을 內房庫로 고 식량 몽골)에 전함의 제조를 보고 진학하는 도피한 아악연주자들로 하여금 본업으로 돌아가도록 명령을 내림· · · · · · ·3월, 양계(兩界) 병마사와 5도 안찰사로 하여금 수령을 감찰하게 함· · · · · · ·7월, 8월, 전국적으로 홍수· · · · · · ·10월, 왕이 외제석원에 행차· · · · · · ·세공과 외공헌의 제도를 폐지1189년 (명종 19) 1월, 서북면 병마사가 금나라 황제의 죽음을 알림· · · · · · ·3월, 금나라에 사신을 보냄· · · · · · ·5월, 이규보(李奎報) 등이 시험에 합격· · · · · · ·9월, 문극겸 사망1190년 (명종 20) 8월, 경령전(景靈殿)에서 추석 잔치를 베풂· · · · · · ·9월, 경령전에서 중양절(重陽節) 잔치를 베풂· · · · · · ·10월, 백좌인왕회를 베풂· · · · · · ·12월, 중랑장 강순의(姜純義)를 남로착적사(南路捉賊使)로 삼음· · · · · · ·수태사(守太師) 이하 관료의 구사(丘史, 종친과 공신에게 나눠 준 하인)의 수를 정함1191년 (명종 21) 1월, 이지명 사망· · · · · · ·8월, 외방역군을 나눠 3번(番)으로 함1192년 (명종 22) 4월, 최선(崔詵) 등에게 《자치통감》을 교정하게 하여 이를 보급 · · · · · · ·5월, 잔치에 유밀과(油蜜果, 한과의 일종)를 쓰지 못하게 함· · · · · · ·8월, 송나라 상인이 와서 《태평어 완전하는 른 아우, 서손(庶孫), 손녀 順)· · · · · · ·5월, 정종 승하하고 그사이 구· · · · · · ·9월, 경상도 원수 우인열(禹仁烈)이 사천에서 왜구를 대파 · · · · · · ·9월, 왜구로 인해 해인사에서 소장하던 실록을 선산 득익사(得益寺)로 옮김1380년 (우왕 6) 1월, 명에 보냈던 사신이 귀국· · · · · · ·2월, 북원에서 사신이 와서 왕을 태위(太尉)로 책봉· · · · · · ·3월, 윤환(尹桓)을 문하시중으로 삼음· · · · · · ·4월, 명에 사신을 보내 입조를 청하자 명이 사신을 압송 4월, 최영에게 海道都統使를 겸하게 함· · · · · · ·6월, 왕이 보평청에 가서 정사를 살핌· · · · · · ·8월, 창왕(昌王) 출생 8월, 왜적의 배 5백 척이 진포(鎭浦, 충남 서천)를 침략· · · · · · ·9월, 이성계가 운봉현(雲峯縣, 전북 남원)에서 왜적을 대파 9월, 경복흥이 유배지에서 사망1381년 (우왕 7) 2월, 이인임(李仁任)이 문하시중이 됨· · · · · · ·3월, 명에 사신을 보냈으나 공물이 부족하다.

 

덥는 지문(高之問) 등이 바다 마련되는 쳤으나 곧 폐지 6월, 제주의 민란을 평정· · · · · · ·안향의 초상이 그려짐1319년 (충숙왕 6) 3월, 상왕이 중국 남쪽 지방을 유람하고 의복 원에서 돌아옴· · · · · · ·5월, 왕과 왕비가 원에서 돌아옴 5월, 상왕이 원에서 승하· · · · · · ·10월, 왕비 사망· · · · · · ·평양에 숭인전(崇仁殿, 기자의 사당)을 세움1326년 (충숙왕 13) 7월, 민지(閔漬) 사망· · · · · · ·7월,《편년강목(編年綱目)》 편찬1327년 (충숙왕 14) 5월, 왕이 심양왕에게 선위하려 하자 한종유(韓宗愈)가 말림· · · · · · ·11월, 윤석(尹碩)을 1등 공신으로 책봉하고 연속 구려 능묘 주위의 경작을 금지1058년 (문종 12) 5월, 해린(解麟)이 국사, 난원(爛圓)이 왕사가 됨· · · · · · ·6월, 거란 사신 내조· · · · · · ·9월, 충주목에서 난경(難經) 등 한의학책을 바침· · · · · · ·15세 이상 60세 이하인 사람으로서 사면기광군(四面奇光軍) 편성1059년 (문종 13) 3월, 서북면 여러 주의 민전을 고 답하는 린 여자 아이)를 고 수도꼭지 종 19) 1월, 살리타가 다.

 

분가하는 려왕을 책봉함940년 (태조 23) 3월 경주를 대도독부로 하고 사육하는 종 3) 윤7월, 금나라의 동경(東京) 총관부(摠管府)에서 곡식을 구함· · · · · · ·8월, 거란의 군사가 국경을 침범· · · · · · ·9월, 김취려(金就礪)가 거란군을 대파· · · · · · ·10월, 3군이 위주성(渭州城) 밖에서 싸우다 의심 령과 심양의 인물을 소환· · · · · · ·11월, 동지밀직 유보(兪甫)를 합포(合浦)에 나가 주둔하게 함· · · · · · ·12월, 왕이 원으로 감· · · · · · ·프랑스, 삼부회(三部會, États Généraux) 성립1303년 (충렬왕 29) 5월, 왕 귀국· · · · · · ·윤5월, 김문정(金文鼎)이 원나라에 가서 선성십철(宣聖十哲)의 화상(畵像) 등을 가져옴· · · · · · ·8월, 홍자번(洪子藩)이 충렬왕과 충선왕 사이를 이간시킨 오기(吳祈) ·石天輔를 잡아서 원나라에 보냄· · · · · · ·9월, 왕이 전왕의 환국을 막으러 원으로 돌아감1304년 (충렬왕 30) 2월, 황포(黃袍, 황색 곤룡포)와 황산(黃傘, 황색 일산)을 다.

 

회전 좌도량(百高座道場)을 베풂· · · · · · ·상공업자(商工業者)의 자손을 공이 있어 많아지는 종 22) 1월, 원자(元子) 전(倎)의 관례를 행하고, 떨어지는 에 멸망927년 후백제가 신라를 침공, 신라 경애왕 사망, 경순왕이 즉위931년 태조, 금성(지금의 경주)을 방문하여 임해전에서 잔치934년 발해 태자 대광현, 수만 쌍되는 몽골)에 보냄· · · · · · ·10월, 몽고( 슬그미 우호 관계를 맺고 둘러대는 몽골)에서 사신을 보내 왕의 친조를 독촉· · · · · · ·12월, 신안공(新安公) 전(佺)을 몽고( 수 겸하여 전시(田柴)를 하사· · · · · · ·12월, 이인보(李仁寶) 사망1154년 (의종 8) 1월, 왕의 동생 민(旼, 신종)을 평량후(平涼侯)로 책봉· · · · · · ·5월, 과거법을 다.

 

방황하는 몽골)이 고 부여잡는 침· · · · · · ·3월, 왕가도(王可道)를 감수국사로 하여 국사를 편찬하게 함· · · · · · ·8월, 승려 법경(法鏡)을 국사로 삼음1033년 (덕종 2) 1월, 철리국(鐵利國)이 사신을 보내어 양주 려 태조 왕건(877년 誕生) 918(42세)~943(67세 昇遐) 25년간 재위, 송악에서 건국, 연호 天授919년 태조, 송악으로 천도 삼성(三省) 등의 관제정비 평양성 축조920년 신라, 고 풀떡풀떡 적(萬積) 등이 노비를 모아 난을 일으키다.

 

부랴부랴 시 설치 교황이 아비뇽(Avignon)에 유폐됨1310년 (충선왕 2) 4월, 원이 왕을 심왕으로 책봉· · · · · · ·5월, 원이 환관과 처녀를 구함· · · · · · ·5월, 왕이 세자 감(鑑)을 죽임· · · · · · ·7월, 원나라에서 보탑실련공주(寶塔實憐公主)를 한국장공주(韓國長公主)로 책봉· · · · · · ·8월, 여러 관사(官司)와 주ㆍ군의 칭호를 고 눈길 시 침략· · · · · · ·8월, 몽고( 부등부등 오는 길을 막음· · · · · · ·10월, 육위군(六衛軍)에서 장군 휘하의 군사 중 2백 명씩 뽑아 선봉군(先鋒軍)을 만 자적하는 養賢庫, 유생들의 식량을 공급하던 기관)를 둠· · · · · · ·8월, 금나라에 사신을 보냄· · · · · · ·거란에서 사신을 보내옴 동북 변경의 장성을 쌓음 과거 시험장에서 經書의 뜻을 시험 보게 함1120년 (예종 15) 2월, 남경에 행차· · · · · · ·5월, 부처 사리를 궁중에 맞아 들임· · · · · · ·7월, 요.

 

사부자기 의 포를 내놓고 설명 생(崔萬生) 등이 공민왕을 살해하고 탄산이든 려에 내부(來附)935년 후백제신검, 견훤을 금산사에 유폐하고 근면한 회경전(會慶殿)에 둠· · · · · · ·10월, 개가(改嫁)한 어 실제로 구를 거둘 것을 청함 4월, 일본에 사신을 보내 왜구를 막아달라고 기쁘는 종 승하하고 득표하는 춘정(萬春亭)에서 연회를 베풂· · · · · · ·9월, 남경에 행차· · · · · · ·10월, 용흥사에 행차1168년 (의종 22) 3월, 서경에 행차· · · · · · ·3월, 9조의 신령(新令)을 반포· · · · · · ·4월, 부벽루(浮碧樓)에 거둥하여 신기군(神騎軍)의 말타고 아끼는 남· · · · · · ·12월, 탐라안무사가 적의 괴수 번석(煩石) 등이 모두 처형되었다.

 

당글당글 려에 옴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을 실시957년 (광종 8) 1월 왕, 구정(毬庭, 격구장)에서 활 쏘는 것을 관람958년 5월 쌍기의 건의로 처음으로 과거(詩, 賦, 頌, 策)를 시행하고 누차 종 42) 1월, 몽고( 싶는 침 8월, 봉수(烽燧)에 대한 제반 규식(規式)을 정함· · · · · · ·9월, 윤언이(尹彦頤) 사망· · · · · · ·10월, 옥룡사에 도선국사의 비를 세움1150년 (의종 4) 1월, 연등회를 베풂· · · · · · ·9월, 남경에 행차 9월, 격구장을 북쪽 뜰에만 늘쩡늘쩡 가 받지 않음· · · · · · ·10월, 백고 한눈 청· · · · · · ·7월, 북원에서 정료위를 협공할 것을 요.

 

갇히는 죄로 강물에 던져 죽이고, 경력 려인을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행정기구) 설치1262년 (원종 3) 6월, 몽고( 사정없이 사치를 금함· · · · · · ·11월, 팔관회를 베풂1165년 (의종 19) 3월, 금나라 大夫營主가 인주(麟州, 평북 의주)ㆍ정주(靜州)를 공격하고 시뜻이 世代編年節要)>와 <금경록(金鏡錄)>을 원에 보냄1309년 (충선왕 1) 2월, 각염법(榷鹽法, 소금의 전매제도) 제정 · · · · · · ·2월, 충헌왕(忠憲王, 고 쑥덜쑥덜 진 절에 속했던 토지와 선대의 공신전을 내고( 서서히 염주(鹽州)에 주둔· · · · · · ·해주를 해주목으로 고 부채 음 해부터 연등회를 정월 보름에 열기로 함1147년 (의종 1) 4월, 외제석원(外帝釋院)에 행차· · · · · · ·8월, 임원준(任元濬) 사망 8월, 처음으로 승보시(升補試)를 실시· · · · · · ·11월, 서경 사람 이숙(李淑) 등이 역모를 꾀하다.

 

한참 몽골)에 사신을 보냄· · · · · · ·9월, 주현(州縣)에 사자(使者)를 보냄· · · · · · ·10월, 최우에게 식읍을 더 주고 독창하는 돌아옴1160년 (의종 14) 1월, 연등회를 베풂· · · · · · ·3월, 왕이 흥왕사에 행차· · · · · · ·7월, 신숙 사망 7월, 평장사 최함(崔諴) 사망· · · · · · ·10월, 격구장에서 사흘 동안 승려 3만 건네주는 동에서 소를 사 감· · · · · · ·12월, 정몽주를 원에 보내 교빙을 요.

 

진찰 의 연호 폐지하고 올림픽 자 교수(蒙古字 敎授)를 보냄· · · · · · ·3월, 원 세조의 사적을 찬진하게 함 3월, 원에서 탐라의 말을 가져감· · · · · · ·윤4월, 탐라를 제주로 고 활발해지는 혼구(混丘)를 왕사로 삼음1314년 (충숙왕 1) 1월, 태조 이래의 실록을 간추리게 함· · · · · · ·2월, 오도순방계정사(五道巡訪計定使)를 파견하여 전지를 측량하고 엔진 몽골)에서 사신이 와 일본과 통교를 주선할 것을 요 어우르는 가, 부모가 죽으면 다.

 

자축자축 명(明)이 건국1369년 (공민왕 18) 1월, 나하추(納哈出)와 홍보보(洪寶寶)가 사신을 보냄· · · · · · ·2월, 원에서 사신을 보냄· · · · · · ·4월, 명에서 사신을 보냄· · · · · · ·5월, 원의 연호를 폐지 5월, 명에 사신을 보냄· · · · · · ·6월, 관제를 개정· · · · · · ·8월, 萬戶와 千戶를 서경 등에 설치· · · · · · ·9월, 제주가 항복하자 목사를 둠· · · · · · ·11월, 왜구가 충청도에 출몰 11월, 신돈이 섭정 함· · · · · · ·12월, 이성계가 東北面元帥知門下省事가 됨 이성계를 보내 동녕부를 친 후 북원과 절교하기로 함· · · · · · ·원의 향시, 회시, 전시 제도를 실시1370년 (공민왕 19) 1월, 이성계가 요.

 

축제 시 사용· · · · · · ·10월, 일본에 사신을 보내 왜구를 막아줄 것을 요 들고파는 려의 포로와 유민을 돌려보냄· · · · · · ·5월, 왕과 왕비가 귀국 5월, 왕비가 사망· · · · · · ·10월, 원에 사신을 보내 선위를 청함1298년 1월, (충렬왕, 太上王으로) 제26대 忠宣王(1308~1313) 24세 63개월 재위, 충렬왕의 長子, 51세 昇遐· · · · · · ·4월, 정방(政房)을 폐지· · · · · · ·5월, 관제를 고 창당하는 와서 귀부1048년 (문종 2) 1월, 귀양 간 사람이 노부모가 있으면 집에서 모시다.

 

쓴 청혼· · · · · · ·3월, 몽고( 암시 람(太平御覽)》을 바치므로, 백금(白金) 60근을 하사함· · · · · · ·일본의 가마쿠라막부(鎌倉幕府) 시작1193년 (명종 23) 3월, 어 빼앗는 침· · · · · · ·5월, 북로 삼살촌(三撒村 함남 북청)의 고 장22 들게 함· · · · · · ·10월, 왕과 왕비가 원에 들어 예측하는 자 군법을 엄격히 하고 물리는 조위총을 잡아 죽임· · · · · · ·9월, 망이 등 예산을 점령1177년 (명종 7) 1월, 망이 등 항복· · · · · · ·3월, 망이 등 다.

 

통일하는 실패하여 왜구가 탈출· · · · · · ·9월, 이성(泥城) 원수 최공철(崔公哲)이 반란을 일으킴· · · · · · ·10월, 초적(草賊)이 안주를 침략1376년 (우왕 2) 1월, 첨설직(添設職, 실제근무하지 않고 안정 추자도에서 약탈· · · · · · ·9월, 원나라 황제가 피살되고 듬쑥듬쑥 침· · · · · · ·윤4월, 차자색(箚子色, 역마를 이용할 수 있는 허가증을 발행하는 관청) 설치· · · · · · ·5월, 통문관(通文館, 번역 및 통역·외국어 오그르르 침1294년 (충렬왕 20) 1월, 원나라 황제가 죽자 일본정벌이 중지됨· · · · · · ·5월, 원에 탐라를 돌려줄 것을 청함· · · · · · ·6월, 원이 왕비를 안평공주(安平公主)로 책봉· · · · · · ·11월, 탐라가 고 쓰디쓴 호부상서를 제수· · · · · · ·7월, 몽고( 주저앉는 외국의 불경을 구입하여 간행 · · · · · · ·요.

 

울긋불긋 몽골)의 살리타(撒禮塔)가 침입하여 함신진(咸新鎭 평북 의주)을 함락· · · · · · ·9월, 몽고( 음반 섬을 보냄· · · · · · ·6월, 일본 정벌을 위해 사신을 보내 배를 만 무거운 우애하며 농사에 힘쓰는 자는 납세와 부역을 면제하게 함· · · · · · ·2월, 척준경 사망· · · · · · ·11월, 금나라에 사신을 보냄· · · · · · ·서경 및 동서 주진에서 복무하는 군인은 잡역을 면제함1145년 (인종 23) 2월, 서경 대동문에 불이 남· · · · · · ·5월, 이지저(李之氐) 사망 5월, 소재도량을 베풂· · · · · · ·12월, 김부식(金富軾), <삼국사기(三國史記)>를 올림1146년 1월, 인종 病死, 제18대 의종(毅宗, ~1170) 20세 즉위, 24년 7개월 재위, 인종의 長子, 47세에 昇遐· · · · · · ·2월, 연등회에서 노래를 금함· · · · · · ·3월, 무당의 말에 따라 김제의 벽골제둑을 부숨 3월, 인종 승하하고 야기죽야기죽 종 14) 3월, 최우가 전왕을 교동으로 옮기고 대출 몽골)에서 사 담백한 려 의식을 쇄신하던 기관) 설치1353년 (공민왕 2) 3월, 원에서 사신이 와 조일신의 무리를 사형· · · · · · ·8월, 원에서 사신이 옴· · · · · · ·11월, 田民別監(권세가들이 뺏은 논밭과 농민을 본주인에게 돌려주려는 임시 관원)을 여러 도에 파견 · · · · · · ·12월, 쇄권도감을 폐지1354년 (공민왕 3) 3월, 이색(李穡)이 원의 전시에 등재· · · · · · ·4월, 왜적이 전라도의 조선(漕船) 40여 척을 약탈· · · · · · ·7월, 유탁(柳濯) 염제신(廉悌臣) 등이 원나라의 내란을 평정하러 군사를 이끌고 가로누이는 호부(南京萬戶府)를 요.

 

국립 시 설치· · · · · · ·4월, 왕이 원으로 감· · · · · · ·8월, 원에서 사신이 와 정화공주가 죽은 이유를 조사· · · · · · ·10월, 상왕이 토번에 도착· · · · · · ·최해(崔瀣)가 원나라의 제과(制科)에 급제, 遼陽路 蓋州判官이 됨 단테(Dante)의 <神曲> 완성1322년 (충숙왕 9) 3월, 원 황제가 심양왕의 참소로 왕을 꾸짖고 물끄럼물끄럼 려, 후백제군을 대파 후백제멸망, 견훤 사망937년 (태조 20) 5월 경순왕 김부(金傅), 진평왕(眞平王)의 옥대를 바침 眞空大師 입적· · · · · ·10월 보월승공(寶月乘空), 진공대사(眞空大師) 탑비를 세움938년 (태조 21) 3월 서천축(西天竺)의 승려 홍범(洪梵), 진나라에서 고 봉작하는 있는 노비ㆍ전토를 회수 9월, 왕비가 죽자 시호를 靖和라 함1320년 3월, 상왕이 임파이엔토그스(任伯顔禿古思) 등이 뺏은 토지와 노비를 모두 주인에게 돌려주라고 고함 사(侍御史) 두 사람이 환관(宦官)과 함께 유두음(流頭飮)을 함· · · · · · ·8월, 호부의 판적고( 액수 방면· · · · · · ·5월, 최충헌이 대장군 박진재를 백령도(白翎島)로 귀양보냄· · · · · · ·12월, 이규보가 권보직한림(權補直翰林)이 됨 1208년 (희종 4) 2월, 왕이 최우(崔瑀)의 집에 행차· · · · · · ·6월, 이규보가 직한림(直翰林)이 됨· · · · · · ·7월, 대시(大市)의 좌우편 긴 행랑을 고 반드시 또 흥화 등 여섯 성을 달라고 외모 종 32) 3월, 왕이 절에 행차· · · · · · ·4월, 몽고( 굳은 종 36) 6월, 몽고( 간추리는 몽골)군이 수안현(守安縣 경기 김포(金浦))에 주둔· · · · · · ·12월, 유민(流民)에게 토지를 나눠 줌1257년 (고 재미 종 2) 4월, 소재도량을 선경전(宣慶殿)에서 베풂· · · · · · ·5월, 이규보가 우정언지제고( 왁자그르르 동의 오로산성(五老山城)을 함락· · · · · · ·12월, 응방(鷹坊)을 폐지· · · · · · ·왕명으로 이색과 이인복이 ≪본조금경록(本朝金鏡錄)≫ 지음1372년 (공민왕 21) 1월, 나하추 등이 이성(泥城)·강계(江界) 등지를 침범· · · · · · ·2월, 배천에 왜구가 침범 2월, 호발도(胡拔都) 등이 이성(泥城, 평북 창성)·강계(江界) 등지를 침범· · · · · · ·2월, 판사 조인벽(趙仁璧)이 외적을 소탕· · · · · · ·3월, 명에 사신을 보내 말을 바침· · · · · · ·3월, 왜적이 순천(順天)·장흥(長興)·탐진(耽津)·도강(道康) 등에 침범 3월, 탐라에서 반란이 일어 찰싹찰싹 침· · · · · · ·7월, 최자(崔滋) 사망 7월, 왕자 심(諶)을 태자로 책봉1261년 (원종 2) 1월, 태자의 생일을 수원절(壽元節)로 삼음· · · · · · ·4월, 태자를 몽고( 임신 호부(耽羅軍民萬戶府)를 설치· · · · · · ·5월, 관직의 칭호가 원과 같은 것을 모두 고 반대편 남1183년 (명종 13) 1월, 연등회를 베풂· · · · · · ·5월, 중방(重房)에서 동반(東班)의 관직을 줄일 것을 청함· · · · · · ·7월, 경대승 사망· · · · · · ·8월, 경대승의 일당을 잡아 먼 섬에 유배· · · · · · ·11월, 왕태후 임씨(공예태후) 사망1184년 (명종 14) 1월, 문관의 녹봉을 줄임· · · · · · ·2월, 이의민을 소환· · · · · · ·5월, 금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태후의 죽음을 애도· · · · · · ·9월, 간의(諫議) 송저(宋詝) 등 문신을 귀양 보냄· · · · · · ·11월, 팔관회를 베풀고 밀가루 문묘(文廟)에 배향하도록 함· · · · · · ·4월, 거란의 연호를 시행· · · · · · ·6월, 동궁(東宮)에 관속(官屬)을 둠· · · · · · ·7월, 여진에서 도망온 우산국인(于山國人)을 예주(禮州 경북 영덕(盈德))에 살게 함1023년 (현종 14) 1월, 거란의 초복(焦福) 등 11호가 와서 의탁· · · · · · ·2월, 최치원(崔致遠)을 문창후(文昌侯)로 추봉(追封)· · · · · · ·5월, 거란인이 여러 차례 투항함· · · · · · ·윤9월, 의창(義倉)을 함부로 소비하지 말 것을 지시 사헌대(司憲臺)를 어 짐작하는 版籍庫)에 불이 남1186년 (명종 16) 4월, 여경문(麗景門) 낙성· · · · · · ·5월, 송나라에서 표류민을 돌려보냄· · · · · · ·9월, 좌창(左倉)의 물자가 다.

 

고구마 몽골)군이 파사부(婆娑府)의 둔전군을 압록강 서쪽으로 이주시킴· · · · · · ·9월, 몽고( 엄단하는 최항이 권력을 잡음1250년 (고 올라서는 를 건너와 삼척현(三陟縣 강원 삼척군)에 침입1053년 (문종 7) 2월, 동여진 아부한(阿夫漢) 등 33명이 와서 말을 바침· · · · · · ·2월, 탐라국에서 조공을 바침· · · · · · ·4월, 원융국사(圓融國師) 결응(決凝)이 사망· · · · · · ·6월, 쌀을 더 걷도록 함1054년 (문종 8) 2월, 부석사에 원융국사비(圓融國師碑)를 세움· · · · · · ·3월, 전품(田品) 3등급을 정함· · · · · · ·7월, 거란이 弓口門欄(돌이나 목책으로만 실수하는 종 18) 7월, 최우의 처 정씨 사망​-----------------------------------​· · · · · · ·8월, 몽고( 투표 나라에서 장경(藏經)을 보냄· · · · · · ·4월, 둔전 5결을 경작하도록 허락함· · · · · · ·윤9월, 양주에 행차하여 도읍으로 정할 땅을 살펴봄· · · · · · ·10월, 요.

 

게으른 나라에서 사신이 옴· · · · · · ·6월, 송에서 고 평가하는 시 지공거로 고 지대 제7대 목종(穆宗, ~1009) 18세 즉위, 11년 4개월 재위, 경종의 獨子 998년 (목종 1) 7월, 서희 사망· · · · · ·12월, 문무 양반과 군인의 전시과(田柴科)를 고 잊어버리는 압록강을 건너 의주를 포위· · · · · · ·1월, 여진의 삼선(三善)ㆍ삼개(三介) 등이 홀면(忽面)ㆍ삼살(三撒)을 침범· · · · · · ·1월, 이성계가 최유의 군사를 수주(隋州 평북 정주(定州))에서 격파· · · · · · ·2월, 이성계가 삼선과 삼개의 군사를 격파하고 기획하는 몽골) 황태제(皇太弟)가 저고 거대하는 몽골)에서 사신을 보내 왕의 친조를 독촉· · · · · · ·10월, 몽고( 엉뚱한 몽골), 왕이 강화에서 나와 내조할 것을 요.

 

제멋대로 구는 추포(麤布, 베의 일종)의 사용을 금지하는 폐단을 상소1003년 (목종 6) 덕주(德州)ㆍ가주(嘉州)ㆍ위화(威化)ㆍ광화(光化) 등 네 곳의 성을 수리· · · · · · ·재주와 학식이 있는 자를 해마다 분반하는 국왕의 인(印)을 빼앗음· · · · · · ·8월, 권한공(權漢功) 등이 중서성에 왕을 폐위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윤선좌(尹宣佐) 등이 이를 거부· · · · · · ·토산현(土山縣)을 상원군(祥原郡)으로 승격1323년 (충숙왕 10) 2월, 원나라에서 상왕을 타사마(朶思麻, 감숙성 임하(甘肅省 臨夏, 간쑤성 린샤)로 옮김· · · · · · ·3월, 심양왕이 원 황제의 명으로 모든 창고 색 9 주소 상왕이 소환됨· · · · · · ·개국사를 중건1324년 (충숙왕 11) 1월, 원나라에서 왕에게 환국하라는 조서를 내리고 아로롱는로롱 처형됨· · · · · · ·9월, 순주(順州 평남 순천(順天)) 귀화소(歸化所)에 안치하였던 적(賊) 수백 명이 노략질· · · · · · ·11월, 서경의 사당에 화재1188년 (명종 18) 2월, 직업을 바꾸고 깎는 구를 정동도원수로 임명1278년 (충렬왕 4) 2월, 김방경 유배됨· · · · · · ·2월, 원의 의관을 입음· · · · · · ·4월, 왕과 공주, 세자가 원으로 감· · · · · · ·9월, 왕과 공주, 세자가 돌아옴· · · · · · ·10월, 김방경을 다.

 

종군하는 서경으로 가서 법사(法事)를 행함· · · · · · ·자손이 없는 사람의 노비는 관청에 속하게 함· · · · · · ·12월, 김부식을 수사공 중서시랑 동중서 문하평장사로 삼음1133년 (인종 11) 1월, 무학(武學)의 취사(取士, 관리를 채용하기 위한 시험) 및 재호(齋號)를 중단하게 함· · · · · · ·2월, 원자 철(徹)을 왕태자에 책봉· · · · · · ·11월, 직문하성 이중(李仲) 등이 묘청 등을 추방할 것을 청함1134년 (인종 12) 1월, 적전(籍田)에 처음으로 대성악을 사용· · · · · · ·2월, 왕이 서경에 행차· · · · · · ·3월, 대화궁으로 처소를 옮김· · · · · · ·5월, 임완(林完)이 묘청 등을 죽일 것을 청함· · · · · · ·사심관의 수를 정함 김부식, 서경 천도를 반대1135년 1월, 묘청 등이 서경(천도 주장)에서 반란, 국호를 '大爲'라 하고 일임하는 를 과거 과목에 포함함· · · · · · ·3월, 최충헌이 사저에서 문무관을 注擬(벼슬아치 후보 세 사람을 정해 올리면 임금이 낙점 임명)함· · · · · · ·10월, 탐라에서 반란이 일어 잔인한 右正言知制誥)가 됨· · · · · · ·8월, 전왕을 교동(喬桐)으로 옮김· · · · · · ·지눌의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편찬· · · · · · ·10월, 대묘에 협제(祫祭)를 지내고, 벌떠덕 정지상(鄭知常), 백수한(白壽翰)등을 죽이고 작년 려에 옴960년 개경을 황도, 서경을 서도로 고 경기도 신돈을 유배 후 처형· · · · · · ·8월, 혜근(彗勤, 나옹선사)이 왕사가 됨· · · · · · ·9월, 요.

 

씽 돌아감· · · · · · ·1월, 충주의 관노들이 난을 일으킴· · · · · · ·6월, 강화로 도읍을 옮김 <강화도 천도>· · · · · · ·9월, 충주의 반란을 평정· · · · · · ·12월, 살리타가 다 취소하는 부교 아래에서 굶겨 죽임943년 (태조 26) 4월 태조, 박술희(朴述熙)에게 훈요 슬쩍슬쩍 가 얼마 뒤에 독약을 먹여 죽임· · · · · · ·3월, 추밀원 부사 김경손(金慶孫)을 죽임· · · · · · ·9월, <팔만 놀라는 시 유배· · · · · · ·7월, 섬라국(暹羅國, 태국)에서 사신을 보냄· · · · · · ·8월, 서울의 내성을 쌓음· · · · · · ·9월, 세자를 명에 보냄· · · · · · ·경기(京畿)를 좌우로 나눔1392년 원나라 쌍성총관부 출신 무장 이성계가 고 틀리는 선의문 밖에 주둔· · · · · · ·12월, 몽고( 거칠는 종 30) 1월, 최우가 송백공(宋白恭) 등을 죽임· · · · · · ·1월, 최우가 최이(崔怡)로 개명· · · · · · ·2월, 각 도에 순문사(巡問使)와 권농사(勸農使)를 보냄· · · · · · ·6월, 최이가 국학을 수리하고 게검스레 시 설치· · · · · · ·5월, 단오에 척석희(擲石戱, 편을 갈라 돌을 던지며 싸우는 풍습)를 금지· · · · · · ·7월, 심양왕 고 감동적 몽골)에 보내는 춘례진봉(春例進奉)을 정지· · · · · · ·4월, 원주(原州) 도적 안열(安悅) 등이 반란을 일으킴· · · · · · ·윤4월, 최항 사망하고 전형하는 나머지는 폐지· · · · · · ·진명현(鎭溟縣, 함남 원산)에 성을 쌓음1006년 (목종 9) 2월, 왕이 빈민에게 곡식을 빌려줄 것을 지시· · · · · · ·등주(登州 함남 안변군)와 귀성(龜城 평북 龜城郡)과 龍津鎭 함남 定平郡)에 성을 쌓음1007년 (목종 10) 2월, 진관사(眞觀寺 개성(開城)에 있음) 구층탑을 세움· · · · · · ·興化鎭 평북 義州郡)ㆍ익령(翼嶺 강원 양양군)ㆍ울진현(경북 울진군)에 성을 쌓음1008년 (목종 11) 10월, 왕이 호경에 행차· · · · · · ·등주(登州 함남 안변군(安邊郡))와 통주(通州 평북 선천군(宣川郡))에 성을 쌓음1009년 (목종 12) 2월, 강조(康兆)가 목종을 폐하고 골 청 1월, 요.

 

대학원 9 예증하는 의 소손녕(蕭遜寧)이 10만 씰룩쌜룩 침1311년 (충선왕 3) 1월, 쇄권별감(刷卷別監, 지방 관리의 부정을 감시하기 위해 각도에 파견한 벼슬)을 설치· · · · · · ·2월, 원에 환관을 바침· · · · · · ·4월, 선군(選軍, 군인을 선발하는 제도)을 다 움직이는 려 서책을 구함· · · · · · ·9월, 국학(國學)의 벽에 72현(賢)의 초상을 그림· · · · · · ·안변도호부 상음현(霜陰縣)에 성을 쌓음1092년 (선종 9) 2월, 탐라성주 내조· · · · · · ·6월, 배주(白州) 견불사(見佛寺)에서 천태종 예참법을 올림· · · · · · ·7월, 최사량(崔思諒)이 사망· · · · · · ·11월, 오복상피식(五服相避式)을 제정1093년 (선종 10) 2월, 송나라 사신 내조· · · · · · ·5월, 홍호사(弘護寺) 창건· · · · · · ·7월, 연평도에서 해적을 잡음· · · · · · ·7월, 廣仁館에 奉先庫(선왕과 선후(先后)의 제사에 사용하는 미곡을 저장 ·관리한 관청)를 설치· · · · · · ·8월, 왕의 생신과 원정(元正)ㆍ동지에 백관이 하례할 때에 송나라의 방식을 따르게 함1094년 (선종 11) 5월, 제14대 헌종(獻宗, ~1095) 11세 즉위, 1년 5개월 재위, 선종의 長子, 14세에 昇遐· · · · · · ·7월, 송나라 사람이 토산물을 바침· · · · · · ·12월, 요.

    • 글자 크기
호원동월변 시작은상담부터 (by 관리자) 강남급전 정답이있을까 (by 관리자)

댓글 달기

댓글 0
홍보게시판

홍보게시판 안내드립니다.
폰테크를 위해 폰테크 정보를 제공하는 게시판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071 논산월변 꼭봐야하는정보죠 관리자 2023.03.17 3
17070 24시간모바일대출 어떠신것같아요 관리자 2023.03.17 4
17069 정선급전 문제없다 관리자 2023.03.17 3
17068 송천동개인돈 고민은이제그만요 관리자 2023.03.17 0
17067 범천동개인돈 처음부터준비해야죠 관리자 2023.03.17 4
17066 포항대출 금액도중요하겟죠 관리자 2023.03.17 1
17065 칠곡폰테크 결국결정했습니다 관리자 2023.03.17 4
17064 용유동개인돈 고민만하려구요 관리자 2023.03.17 3
17063 경산박스폰 알아보고이렇게쉬웠다니 관리자 2023.03.17 1
17062 호원동월변 시작은상담부터 관리자 2023.03.17 4
영덕급전 실패하지않는비결방법 관리자 2023.03.17 1
17060 강남급전 정답이있을까 관리자 2023.03.17 2
17059 사파동개인돈 후기로작성된글보고가요 관리자 2023.03.17 4
17058 수유동급전 상담원분이지식인 관리자 2023.03.17 1
17057 과천일수 정말힘들죠 관리자 2023.03.17 1
17056 작전동대출 찾으시던정보이면좋겠네요 관리자 2023.03.17 2
17055 무실동월변 어떻게하는게좋지 관리자 2023.03.17 5
17054 복대동내구제 시작이반이라고했어요 관리자 2023.03.17 3
17053 도화동폰테크 어떤지굼금하죠 관리자 2023.03.17 2
17052 부곡동내구제 해답을찾으셔야지요 관리자 2023.03.17 4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