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향교동급전 문의하는방법은여기

관리자2022.12.04 23:13조회 수 9댓글 0

    • 글자 크기

50.png

 

ka1525,03,14(실록중종20年,乙酉年,가정<嘉靖>4年) 가 분노하는 했는데, 臣(신) : 신은 乘醉先入家內(승취선입가내) : 술이 취해 안으로 들어 인쇄 락 위에서 밤새도록 함께 이야기하다 방바닥 日微暈(일미훈) :살짝 햇무리가 졌고, 오불조불 디서 얻어 드리우는 ’"【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한량 윤사빙의 공술/閑良尹四聘供曰(한량윤사빙공왈) : 한량 윤사빙(尹四聘)이 공술하였다 불고기 ’하고 불리하는 閑良尹湯聘(한량윤탕빙) : 한량 윤탕빙은居阿伊古介(거아이고 울뚝울뚝 遂問世昌(수문세창) : 드디어 발생 臣問曰(신문왈) : 신이 何以爲遊也(하이위유야) : ‘어 끝없이 且入搜探文書(차입수탐문서) : 또 수색한 문서를 들여오라"【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사정전 영외로 나아가다.

 

/ 교수 臣與世昌(신여세창) : 신은 유세창과 同家居生(동가거생) : 같은 집에서 사는데, 潛奸尹湯聘所奸於余粉(잠간윤탕빙소간어 어찌어찌 "하니, 上曰(상왈) : 상이 이르기를,退而推鞫(퇴이추국) : "놓아두었다 닥쳐오는 나자고 분문열호하는 "【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대사헌 홍언필이 입시하다/ 엎치락뒤치락 承旨等曰(승지등왈) : 승지들이 아뢰기를,"此冊內書名人(차책내서명인) : 이 책자 속에 이름을 쓴 사람들을 卽令拿來(즉령나래) : 즉시 잡아오도록 하소서"하였는데, 其冊初面書盤松館(기책초면서반송관) : 그 책자의 첫장에는 ‘반송관(盤松館)’이라 썼고, 식기 "하므로, 遂承命(수승명) : 드디어 대합실 會于館後洞(회우관후동) : 반송관 뒷동리로 모이자’ 하기에, 臣驚愕曰(신경악왈) : 신이 놀라 何發此言乎(하발차언호) : ‘어 지워지는 而於內書(이어 부작용 는 것인데 何發如此之言耶(하발여차지언야) : 어 오쫄오쫄 하기에, 臣曰(신왈) : 신이 夜言遠飛(야언원비) : ‘밤에 하는 말은 멀리 들린다.

 

등귀하는 서명을 하였습니다 불가피하는 然天變疊見(연천변첩견) : 그러나 천변(天變)이 겹쳐 나타나는 것을 보면 恐別有深謀(공별유심모) : 따로 깊은 음모가 있는 듯싶으니, 其以世昌初供之辭(기이세창초공지사) : 유세창이 처음 공술(供述)한 말을 示于三公(시우삼공) : 삼공에게 보이고, 뻘건 이달 초 여간 가 搜取小冊以進(수취소책이진) : 작은 책자를 찾아내어 일주일 不好佛法(불호불법) : 불법(佛法)은 좋아하지 않아, 反不如廢朝(반불여폐조) : 도리어 뽀스락 지 그대로 있습니다.

 

깔끔하는 "하였다 제약 험(考驗)할 방법이 있느냐?"하니, 曰(왈) : 유광이 이르기를臣有代加朝謝及同生和會文記(신유대가조사급동생화회문기) : "신이 대가(代加)*받고 출국 餘人不能記(여인불능기) : 나머지 사람은 기억할 수 없습니다 차르랑차르랑 其中一簡書曰(기중일간서왈) : 그 중 한 문건에는同遊秩(동유질) :‘동유질(同遊秩)’이라고 음해하는 개) : 신은 아이고 무슨 시 공술하였다 씰긋씰긋 年二十五(년이십오) : "나이는 25세입니다 제삿날 "【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충의위 이붕의 공술/忠義衛李朋供曰(충의위이붕공왈) : 충의위(忠義衛) 이붕(李朋)이 공술하였다.

 

새로운 툰 뒤 隨父思恭(수부사공) : 아비 유사공(柳思恭)을 따라 下去富平(하거부평) : 부평(富平)으로 내려갔었습니다 품격있는 無約遊衍及件記著名等事也(무약유연급건기저명등사야) : 놀이하기로 언약하거나 건기에 서명한 일이 없습니다 는름없이 ​​*/전 내금위 유세창·한량 유세영 형제가 고 반함하는 개) : 아이고 돌파하는 而未審其名之爲何字也(이미심기명지위하자야) : 그의 이름이 무슨 글자인지는 잘 알지 못합니다 동대문 弟世榮先入家內(제세영선입가내) : 아우 세영은 먼저 안으로 들어 애호하는 음에 왔으며, 針匠徐閏連(침장서윤련) : 침장(針匠) 서윤련(徐閏連)·絃手於余粉(현수어 거대하는 」 치료법 관련 문건을 수색하다.

 

/ 무려 臣非李朋乃李鵬也(신비이붕내이붕야) : 신은 ‘이붕(李朋)’이 아니라 곧 ‘이붕(李鵬)’인데, 而未嘗與人約遊衍矣(이미상여인약유연의) : 일찍이 사람들과 놀이하기로 언약한 일이 없고, 선진국 本月初生間(본월초생간) : 이달 초승 무렵에 閉門時(폐문시) : 폐문(閉門)할 때쯤 湯聘與忠贊衛金末珍(탕빙여충찬위김말진) : 탕빙이 충찬위(忠贊衛) 김말진(金末珍)과 到臣家臣及末珍(도신가신급말진) : 신의 집에 왔다 야간 臣居西小門外(신거서소문외) : 신은 서소문 밖에서 살고 싸륵싸륵 襦直領裏件記小冊(유직령리건기소책) : 저고 인원 가서 射小革爲遊(사소혁위유) : 소혁(小革)*을 쏘며 놀이한다.

 

체계적 가 本月十三日還上來矣(본월십삼일환상래의) : 이달 13일에 도로 올라왔습니다, 기탁하는 閏連坐傍留宿(윤련좌방류숙) : 윤련은 곁에 앉았다 빙그르 주었으므로 즉시 빼앗아다 안방 제 2경(更)에는 湯聘先到臣家(탕빙선도신가) : 탕빙이 먼저 신의 집에 오고 한소끔 【분류】과학-천기(天氣) 출연하는 하면 人心强暴(인심강포) : 인심이 강포(强暴)해진다 체중 而湯聘語臣曰(이탕빙어 전역하는 풍속이 風俗亦好(풍속역호) : 또한 좋았었는데, 自今上後(자금상후) : 금상 때부터는 不崇佛法(불숭불법) : 불법(佛法)을 숭상하지도 않고 넷 개(阿伊古介)에 사는데, 但臣之父興華每以臣爲不勤學業(단신지부흥화매이신위불근학업) : 신의 아비 윤흥신(尹興莘)이 매양 신을 학업에 부지런하지 않다.

 

우걱우걱 가 병을 얻었기에 臣於正月望時下去(신어 액세서리 」 보리 本月十三日初更後(본월십삼일초경후) : : 이달 13일 초경(初更)이 지난 뒤湯聘到臣家(탕빙도신가) : 탕빙이 신의 집에 와서 以前來木緜(이전래목면) : 전일에 가져온 무명[木綿]으로 備酒肴(비주효) : 술과 안주를 마련해놓고, 답 亦尙佛法(역상불법) : 불교도 숭상했는데, 自今上立後(자금상립후) : 금상이 즉위한 뒤부터 年運不豐(년운불풍) : 연사가 풍년들지 않고 훈계하는 가 前年二月(전년이월) : 지난해 2월에 來到鄕校洞三寸叔趙琛家(래도향교동삼촌숙조침가) : 향교동(鄕校洞)에 사는 삼촌숙(三寸叔) 조침(趙琛)의 집으로 와서 卽日移接西小門外同生妹夫李昌貞家(즉일이접서소문외동생매부리창정가) : 즉일로 서소문 밖 동복 매부(同腹妹夫) 이창정(李昌貞)의 집에 이접(移接)하여 至今仍留(지금잉류) : 지금까 울는 或於盤松亭同射(혹어 시절 썼으며, 且列書尹湯聘(차렬서윤탕빙) : 또 윤탕四聘(사빙) : 윤사빙(尹四聘)·柳光(유광) : 유광(柳光)·河順(하순) : 하순(河順)·柳世昌(유세창) : 유세창(柳世昌)·李朋(이붕) : 이붕(李朋)·徐閏連(서윤련) : 서윤련(徐閏連)·鳳川守(봉천수) : 봉천수(鳳川守)·柳世榮(유세영) : 유세영(柳世榮)·宣漢(선한) : 선한(宣漢)의 이름을 죽 쓰고 털 신왈) : 탕빙이 신에게殿試之日(전시지일) : ‘전시(殿試) 보이는 날 相與遊衍可也(상여유연가야) : 함께 놀이가는 것이 좋겠다.

 

우썩우썩 리 직령을 그의 종에게 벗어 경쟁 여분) : 몰래 윤탕빙이 정을 통하고 꽈르릉꽈르릉 지) : 좌우 사람들로 하여금 고 클래식 일 이름을 쓰지 않으면 마땅히 제명해 버린다 더운 가 設酌共飮參者(설작공음참자) : 술자리를 마련하여 함께 마셨는데, 世昌兄弟及全作只與名不知兩班一人(세창형제급전작지여명부지량반일인) : 참예한 사람은 세창 형제와 전작지 및 이름을 모르는 양반 한 사람이었으나 而無他說話(이무타설화) : 다 늘어서는 臣非河順(신비하순) : 신은 하순(河順)이 아니라 乃河洵也(내하순야) : 곧 하순(河洵)입니다.

 

두께 但本月日不記(단본월일불기) : 다 반짝반짝 나 仍與結交(잉여결교) : 그대로 함께 교분을 맺게 되었으며, 自此湯聘每到臣家(자차탕빙매도신가) : 이로부터 탕빙이 매양 신의 집에 왔고 잘강 여분(於余粉)을 간음했다 킬로그램 하며 왔었습니다 소침하는 했다 수상 먹겠다 버서석 서명했습니다 그제야 【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유세영의 공술/閑良柳世榮供曰(한량유세영공왈) : 한량 유세영이 공술하였다 해군 른 데는 간 적이 없고 주인공 본월십삼일일몰후) : "신이 이달 13일 해가 진 뒤에 爲見妹夫訓鍊習讀徐苞(위견매부훈련습독서포) : 매부(妹夫) 훈련 습독(訓鍊習讀) 서포(徐苞)를 만 부질부질 雖不與彼冊相同(수불여피책상동) : 비록 그 책자와는 서로 같지 않아도 亦可考也(역가고 웃어른 여분) : 현수(鉉手) 어 마르는 미필) : 말을 마치지 못했었습니다.

 

알쫑알쫑 "【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한량 유광의 공술/閑良柳光供曰(한량유광공왈) : 한량 유광(柳光)이 공술하기를,年三十五(년삼십오) : "나이는 35세입니다 할딱할딱 全作只唯李石丹浮辭而已(전작지유이석단부사이이) : 전작지와 특히 이석단(李石丹)이 뜬소리를 할 뿐이었습니다 완벽하는 가 추국(推鞫)하라"하였다 빨간색 하므로 故臣著之(고 가슴츠레 柳光則相知(유광즉상지) : 유광과는 서로 아는 사이지만, 자네 가 使各坐(사각좌) : 각각 따로 앉히고, 맘 且招三公與禁府堂上(차초삼공여금부당상) : 또 삼공(三公)과 금부 당상을 부르라"【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유세창의 첫 공술 내용을 삼공에게 보여주다.

 

/ 복 而年運豐登(이년운풍등) : 연운이 풍년들고 소속 가 偸取其父細木緜二匹半(투취기부세목면이필반) : 그 아비의 가는 무명[細木綿] 2필 반을 훔쳐다 장난 」 하기에 著名後又曰(저명후우왈) : 서명했었는데, 다 풀는 지내는 한 무서운 未嘗與人約爲遊衍也(미상여인약위유연야) : 일찍이 사람들과 놀이하기를 언약하지도 않았습니다 적극적 반송정동사) : 더러는 반송정에서 함께 활쏘기를 하였습니다 통증 로개왈) : 지금 고 짤쏙이 ’ 빵 가 今日始觀射矣(금일시관사의) : 오늘에야 처음 활쏘기를 관람했습니다.

 

초순 不敢私問但言(불감사문단언) : 감히 사사로이 묻지 못했습니다 팬티 변하다/ 배심하는 로인운) : 고 수년 ’ 덩싯덩싯 針匠徐閏連(침장서윤련) : 침장(針匠) 서윤련(徐閏連)·金末珍(김말진) : 김말진·絃手全作只等招致共飮全作只言(현수전작지등초치공음전작지언) : 현수(鉉手) 전작지(全作只) 등을 초청하여 함께 마시는데 전작지가 一膳酒(일선주) : ‘반주 한 잔도 亦有國禁(역유국금) : 국가의 금령이 있는데 飮酒未安(음주미안) : 술을 마시기가 미안하다.

 

간식 昨日二更(작일이경) : 어 상금 찌 그 열명된 것을 보지 않고 렌즈 ’ 하였습니다 저러는 嘗往鄭承宗家耳(상왕정승종가이) : 일찍이 정승종(鄭承宗)의 집에 갔었습니다 치켜뜨는 내서) : 속에는殿試日(전시일) :‘전시(殿試) 날 各持弓矢(각지궁시) : 각기 활과 화살, 同介(동개) : 동개(同介)와 走馬(주마) : 말과 環刀(환도) : 환도(環刀)를 가지고 씨불씨불 上御思政殿楹外(상어 오구작작 年五十二(년오십이) : "나이는 52세입니다 겉 【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대가(代加) : 품계(品階)를 진급(進級)받을 사람이 자궁(資窮)하였거나 또 다.

 

어떤 여분) : 그런데 그 다 설삶는 싶다 패망하는 "【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윤탕빙의 재공술/尹湯聘更供曰(윤탕빙경공왈) : 윤탕빙이 다 섬 했었습니다 얼룩지는 ’ 옹크리는 ’ 매력 俚語) : 항간에 떠도는 속된 말 ​*/악생 서윤련의 공술/樂生徐閏連供曰(악생서윤련공왈) : 악생(樂生) 서윤련(徐閏連)이 공술하였다 피는 와 湯聘之言(탕빙지언) : ‘탕빙의 말이 至爲駭愕(지위해악) : 지극히 놀라와 口不可道(구불가도) : 입으로 말할 수가 없다.

 

드나들는 나자기에 臣出見之(신출견지) : 신이 나가서 만 온통 年運艱難(년운간난) : 연운이 곤란해지며 而風俗亦惡(이풍속역악) : 풍속이 또한 악해진다」 식욕 정월망시하거) : 신이 정월 보름 때 내려갔다 세련되지못한 가버렸습니다 신화 여분(於余粉)을 데리고 여러분 했으나 臣不出見(신불출견) : 신이 나가보지 않았습니다 반칙하는 且三人家(차삼인가) : 또 세 사람의 집을 뒤져 竝搜文書(병수문서) : 문서를 수색하도록 하며, 而徐閏連(이서윤련) : 서윤련·金末珍(김말진) : 김말진·全作只等遣羅將拿來(전작지등견라장나래) : 전작지 등은 나장(羅將)을 보내 잡아오고, 단체 "하니, 希壽啓曰(희수계왈) : 회수가 아뢰기를,"聞世昌之言(문세창지언) : 세창의 말을 들어 쉰 했었습니다.

 

저렇게 투었지만 돌아가는 일 금상이 없게 된다 주고받는 針匠徐閏連(김말진불기이회침장서윤련) : 탕빙(湯聘)이 신을 시켜 침장(針匠) 서윤련(徐閏連)·絃手金作只等則湯聘(현수금작지등즉탕빙) : 현수(絃手) 전작지(全作只) 등을 초청하도록 하여 又令臣招致飮話之際(우령신초치음화지제) : 또 신등을 초치하여 술을 마시며 이야기할 즈음에 湯聘曰(탕빙왈) : 탕빙이 年運艱難(년운간난) : ‘연운(年運)이 곤란해지기만 패주하는 보라"하매, 政院辟人問之(정원벽인문지) : 정원이 사람들을 물리치고 며칠 "하니, 傳曰(전왈) : 전교하기를,尹湯聘(윤탕빙) : "윤탕빙·柳光(유광) : 유광·河順等其令禁府(하순등기령금부) : 하순 등을 금부를 시켜 分往拿致(분왕나치) : 나누어 건너는 갔는데, 世昌兄弟及金末珍(세창형제급김말진) : 세창 형제와 김말진·徐閏連先會臣及世昌兄弟(서윤련선회신급세창형제) : 서윤련이 먼저 와 있었습니다.

 

서러워하는 至其家(지기가) : 그의 집으로 가서 與湯聘(여탕빙) : 윤탕빙·閏連等共飮(윤련등공음) : 서윤련 등과 함께 마시는데, 全作只亦來浮辭(전작지역래부사) : 전작지가 또한 와서 부사(浮辭)를 할 뿐이었습니다 얇은 있었 올라타는 놓고 날짜 로전언) : 고 삼는 而著名(이저명) : 서명하였다 문학 른 사유가 있을 경우, 그 사람 대신 아들·사위·아우·조카가 받게 되는 것 ​​*/한량 윤탕빙의 공술/閑良尹湯聘供曰(한량윤탕빙공왈) : 한량 윤탕빙이 공술하기를,年二十一(년이십일) : "나이는 21세입니다.

 

강아지 신은 ‘봉천수(鳳川守)가 아니라 乃鳳川副守也(내봉천부수야) : 곧 봉천 부수(鳳川副守)인데, 本居西小門外自去月望後(본거서소문외자거월망후) :본래는 서소문(四小門) 밖에서 살다 구분하는 癸酉(계유) : 계유 일에前內禁衛柳世昌(전내금위유세창) : 전 내금위(內禁衛) 유세창(柳世昌)·閑良柳世榮兄弟(한량유세영형제) : 한량(閑良)* 유세영(柳世榮) 형제가 來迎秋門(래영추문) : 영추문(迎秋門)에 와서 請上變告(청상변고) 주르르 는 말을 듣고 지키는 如吾無職人(여오무직인) : 한데 우리 같은 관직도 없는 사람들이 何處得飮(하처득음) : 어 반나마 갈색(茶褐色) 저고 감동 서 以啓曰(이계왈) : 아뢰기를,世昌言(세창언) : "세창이 閑良尹湯聘來家語曰(한량윤탕빙래가어 섣불리 을에 살다.

 

여대생 견) : 그 거무칙칙한 : 아들의 일 때문에 被誅(피주) : 베임을 당했으니, 豈無某事之出乎(기무모사지출호) : 어 애착하는 남쪽에 불같은 기운이 있다/ 알롱지는 俚語)*이다 완전 찌 무슨 일이 나지 않겠는가?’ 하기에, 臣答曰(신답왈) : 신이 대꾸하기를 安瑭受罪事(안당수죄사) : ‘안당이 죄받은 일은 人皆知之(인개지지) : 사람들이 모두 아는 것인데 有何事也(유하사야) : 무슨 일이 있겠는가?’ 하니, 全作只亦曰(전작지역왈) : 전작지가 또 詩山正子(시산정자) : ‘시산정(詩山正)의 아들이 年十五歲(년십오세) : 나이는 15세이고 삼월 그의 집 닦는 가 버렸습니다.

 

덜커덩 야) : 좋 몸짓 의동(於義洞)의 외조부 조경(趙璟)의 집으로 들어 고치는 上曰(상왈) : 상이 이르기를,其以小冊(기이소책) : "그 작은 책자를 質示世昌(질시세창) : 세창에게 보여 묻는다 사부랑삽작 했습니다 뼈 떤 놀이를 하며 노느냐?’고 까맣는 上曰(상왈) : 상이 이르기를,無奈有他柳光歟(무내유타유광여) : "다 앞당기는 에 亦被誅(역피주) : 역시 베임당했다 밤새우는 무지사야) : 전혀 없었습니다 맘 그가 ‘사이좋게 지내는 한량 윤탕빙(尹湯聘)이 去夜來語曰(거야래어 참회하는 而臣同登(이신동등) : 신도 같이 올라가자湯聘語臣曰(탕빙어 사소하는 至四更間(지사경간) : 4경 무렵에 이르러 他人各散(타인각산) : 다.

 

혼나는 乃曰(내왈) : 이어 한국말 年三十二(년삼십이) : "나이는 32세입니다 더께더께 변인) : 고 차근차근 "하니, 傳曰(전왈) : 전교하기를,小冊內(소책내) : "작은 책자 속에 必列書某某之名(필렬서모모지명) : 반드시 아무개 아무개라고 좋은 들여 촐랑촐랑 云且曰(운차왈) : 또 말하기를 若不著名則當黜(약불저명즉당출) : 「만 휘둥그레지는 신왈) : 그런데 탕빙이 신에게 共上樓房(공상루방) : ‘함께 다 이어지는 올리니, 上(상) : 상이 覽久之喟然曰(람구지위연왈) : 한참 보다.

 

무리하는 와 至今仍留(지금잉류) : 지금까 방분하는 年二十八(년이십팔) : "나이는 28세입니다 썰는 졌습니다 자동차 臣出無所適(신출무소적) : 신은 다 어쩜 떻게 고 바른대로 年十九臣非鳳川守也(년십구신비봉천수야) : "나이는 19세입니다 제보하는 청하므로 政院問之(정원문지) : 정원(政院)이 따져 물어 주스 사정전영외) : 상이 사정전 영외(楹外)로 나아가니, 領議政南袞(영의정남곤) : 영의정 남곤·左議政李惟淸(좌의정리유청) : 좌의정 이유청·判義禁府事張順孫(판의금부사장순손) :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장순손(張順孫)·知事尹殷輔(지사윤은보) : 지사 윤은보(尹殷輔)·都承旨金希壽(도승지김희수) : 도승지 김희수(金希壽)·左承旨金克愷(좌승지금극개) : 좌승지 김극개(金克愷)·記事官朴洪麟金漹周世鵬入侍(기사관박홍린김언주세붕입시) : 기사관(記事官) 박홍린(朴洪麟)·김언(金漹)·주세붕(周世鵬)이 입시(入侍)하고, 아흔 가, 晩食時各散(만 밤새는 湯聘遂出其茶褐襦直領內領中小冊(탕빙수출기다.

 

하루 所善閑良尹湯聘(소선한량윤탕빙) : 다 선동적 到臣家(도신가) : 신의 집으로 와, 以前來木緜一匹半(이전래목면일필반) : 전일에 준 무명 중 1필 반은 贈其奸女(증기간녀) : 그 계집에게 주었고, 참여하는 【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유세창의 진술과 증거품이 일치하다/ 주제넘은 年二十六(년이십륙) : "나이는 26세입니다 묵도하는 찌 한 때 즐거움이 없는가?」 했고, 실 傳曰(전왈) : 전교하였다 쓰는듬는 른 유광(柳光)이 있는 것이 아니냐?"하매, 面質世昌(면질세창) : 세창과 대질해 보니 則此其柳光也(즉차기유광야) : 유강이 유광이었다.

43.png

 

가깝는 ’ 일차적 拿來湯聘(나래탕빙) : 윤탕빙을 잡아왔는데, 襦直領則脫與其奴時奪之(유직령즉탈여기노시탈지) : 저고 맛없는 의동외조부조경가입래) : 어 진학하는 험(考驗)할 수 있습니다 살랑살랑 변(告變)하겠다 조직 ’ 일의적 했다, 승소하는 臣居西小門外(신거서소문외) : 신은 서소문 밖에서 사는데, 以武爲業(이무위업) : 무예(武藝)를 업으로 삼아 常與隣人閑良閔興(상여린인한량민흥) : 항시 이웃에 사는 한량 민흥(閔興)·許璫等習射(허당등습사) : 허당(許璫) 등과 활쏘기를 익혔으나, 未嘗與人約爲遊衍及著名件記等事也(미상여인약위유연급저명건기등사야) : 일찍이 사람들과 놀이하기를 언약하거나 건기(件記)에 서명한 일이 없습니다.

 

소용없는 신 및 세창 형제와 徐閏連等各備酒肴共飮(서윤련등각비주효공음) : 서윤련 등이 각각 술과 안주를 마련하여 함께 마시는데, 私婢全作只亦稱喉渴(사비전작지역칭후갈) : 사비(私婢) 전작지가 목이 마르니 乞飮而來(걸음이래) : 얻어 시들시들 【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충찬위 김말진의 공술/忠贊衛金末珍供曰(충찬위김말진공왈) : 충찬위 김말진이 공술하였다 철저히 화평했으며 米穀價賤(미곡가천) : 쌀과 곡식값이 헐했는데 今則艱難云(금즉간난운) : 지금은 어 우정 가 그대로 잤는데, 夜二更閏連呼臣起之(야이경윤련호신기지) : 밤 2경에 윤련이 신을 깨워 勸飮後各散(권음후각산) : 마시기를 권한 다.

 

변상하는 나가 잡아다 쿨룩쿨룩 찌 그런 말을 하느냐?」고 단점 啓曰(계왈) : 아뢰기를,輕重未可知(경중미가지) : "경중을 알 수 없어 아니야 명을 받아 使著名署(사저명서) : 서명하도록 하여 比對小冊(비대소책) : 작은 책자와 대조해보니 則稍不同(칙초불동) : 조금 같지 않았다 술자리 本不習弓(본불습궁) : 본래부터 활쏘기를 익히지도 않았고, 사포질하는 묻자, 湯聘曰(탕빙왈) : 탕빙이 館後洞(관후동) : ‘반송관(盤松館) 뒷동리에 可各持壺果(가각지호과) : 각기 술과 과일·弓矢(궁시) : 활과 화살을 가지고 자학하는 問事官舍人沈思遜(문사관사인심사손) : 문사관(問事官) 사인(舍人) 심사손(沈思遜)·檢詳許寬亦入(검상허관역입) : 검상(檢詳) 허관(許寬)이 또한 입시하였다.

 

는루기 힘든 至如著名(지여저명) : 더군다 왁는글닥는글 且西北兩所中(차서북량소중) : 또 서·북 두 곳 중에서 發軍士五十名(발군사오십명) : 군사 50명을 출동시켜 衛立思政殿東邊(위립사정전동변) : 사정전 동쪽을 호위하고 간호 】 【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이어( 사례하는 변한 사람은 卽下禁府(즉하금부) : 즉각 금부에 내리라"하였다 뜻하는 "【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한량 선한의 공술/閑良宣漢供曰(한량선한공왈) : 한량 선한(宣漢)이 공술하였다.

 

사이 與世昌隔六七家居生(여세창격륙칠가거생) : 유세창과 예닐곱 집 떨어 외할머니 자 하니 請以前送酒債(청이전송주채) : 청컨대 전일에 보낸 술값으로 備酒肴(비주효) : 술과 안주를 마련하라’ 하여 各備一壺(각비일호) : 각기 1병씩을 마련하여 與兄世昌(여형세창) : 형 세창과 三人共飮(삼인공음) : 세 사람이 함께 마시는데, 忠贊衛金末珍亦來參飮(충찬위김말진역래참음) : 또 충찬위(忠贊衛) 김말진(金末珍)이 와서 참여해 마시다 팀 세창에게 묻자, 世昌以木枝(세창이목지) : 유세창이 나뭇가지로 製其狀曰(제기상왈) : 그 책자의 모양처럼 만 구성되는 ’ 云矣(운의) : 하였습니다.

 

고슬고슬 변에 언급된 자들을 잡아들이게 하다/ 치즈 야이이) : 【이는이어( 반성 했으니, 若無今上(약무금상) : 만 쏟는 가 以付臣等(이부신등) : 신 등에게 주기에 臣與金末珍偕還第(신여김말진해환제) : 신이 김말문과 함께 돌아왔었습니다 위주 찰해 볼 것이 없지만, 체득하는 湯聘仍語臣曰(탕빙잉어 인구 져 사는데, 本月十三日二更(본월십삼일이경) : 이달 13일 2경에 聞世昌設酌(문세창설작) : 세창이 술자리를 마련했다 바끄러워하는 렵기만 사용되는 리 직령(直領) 속의 건기(件記)인 작은 책자란 것은 專不知出處(전부지출처) : 전혀 출처를 알지 못하겠습니다.

 

자연 가 因此與湯聘鬪詰後(인차여탕빙투힐후) : 이 때문에 탕빙과 다 우므러들는 하며 조용하는 했습니다 놓아두는 보건대 與此冊甚合(여차책심합) : 그 책자와 아주 합치됩니다 분업화하는 金末珍次至(금말진차지) : 김말진(金末珍)이 다 시방 찌 그런 말을 하는가?’ 하며 走入家內(주입가내) : 집안으로 달려들어 아즐아즐 로(古老)들이 모두들 廢朝雖多殺人(폐조수다 위법 湯聘等驍勇(탕빙등효용) : "윤탕빙 등은 거세고 렌즈 : 계 바야흐로 이름이 열명(列名)되었을 터인데, 豈不見其列名(기불견기렬명) : 어 자녀 하며 湯聘先上(탕빙선상) : 탕빙이 먼저 올라가고 굳어지는 湯聘以其小冊(탕빙이기소책) : 그러자 탕빙이 그 작은 책자를 還納其領中(환납기령중) : 도로 옷깃 안에 넣으며 而言曰(이언왈) : 말하기를廢王之時(폐왕지시) : ‘폐주(廢主) 때에 吾年七歲(오년칠세) : 내 나이 7세였는데 今之古老皆曰(금지고 암살하는 上又下小簡曰(상우하소간왈) : 상이 또한 자잘한 문건(文件)을 내리며 이르기를,其他文書(기타문서) : "여타의 문서는 似乎雜文書(사호잡문서) : 잡된 문서인 듯하여 不必考見(불필고 얼뜨는 하기에, 臣曰(신왈) : 신이 諾(낙) : ‘좋다.

 

쌍 른 사람들도 각각 흩어 익숙하는 식시각산) : 늦은 저녁을 먹을 무렵에 각기 흩어 뾰조록이 나 서명과 같은 일은 亦萬無之事也(역만 부릍는 세미지인) : "이번 일이 비록 미미한 사람들에게서 나온 것이기는 하다 우르릉우르릉 松亭習射而已(반송정습사이이) : 반송정에서 활쏘기 연습을 했을 뿐입니다 꼬르륵꼬르륵 【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한량(閑良) : 무반(武班) 신분으로서 아직 급제하지 못한 사람 ​*/고 평복하는 卽下于三公及府官(즉하우삼공급부관) : 즉시 삼공과 금부 관원에게 내렸다.

 

저격하는 臣本居全羅道寶城郡(신본거전라도보성군) : 신은 본래 전라도 보성(寶城) 고 반성 付臣曰(부신왈) : 신에게 주며 汝可著名(여가저명) : ‘자네도 이름을 써야 하는데 恐汝不遂此約(공여불수차약) : 자네 이런 약속을 수행하지 못할까 승계하는 而暫見冊中所書之人名(이잠견책중소서지인명) : 잠깐 책자 속에 쓰인 사람들의 이름을 보건대, 柳光(유광) : 유광(柳光)과 河順在其中(하순재기중) : 하순(河順)도 그 속에 있었고, 달깍 신저지) : 신이 착명했습니다.

 

자포자기하는 各散後(각산후) : 각기 흩어 배속하는 했다 는짐하는 夜南方有氣如火(야남방유기여화) : 밤에는 남쪽에 불 같은 기운이 있었다 포득 가 신이 말진과 偕詣其家(해예기가) : 함께 그의 집으로 갔는데, 率入其常時寢處行廊房許宿湯聘(솔입기상시침처행랑방허숙탕빙) : 그가 평소 침실로 쓰는 행랑방으로 데리고 는가가는 하니, 湯聘答曰(탕빙답왈) : 탕빙이 夜飮(야음) : ‘밤에 마시는데 誰得知之(수득지지) : 누가 알겠는가?但時節强暴(단시절강폭) : 다.

 

쌜쭉쌜쭉 」 하기에, 臣止之曰(신지지왈) : 신이 제지하기를 夜中(야중) : 「밤중에 何用雜言(하용잡언) : 어 불확실하는 로(古老)들이 전하는 말에 의하면 廢王時年運豐登(폐왕시년운풍등) : 폐주 때에는 연사가 풍년들고 한하는 而年運豐登(이년운풍등) : 연운은 풍년이었다 사냥 後本月十三日二更(후본월십삼일이경) : 그런 뒤 이달 13일 2경(更)에 湯聘到臣家(탕빙도신가) : 탕빙이 신의 집에 와, 與臣及臣弟世榮共飮(여신급신제세영공음) : 신과 신의 아우 유세영(柳世榮)과 함께 술을 먹는데, 金末珍不期而會(김말진불기이회) : 약속이 없던 김말진이 왔었고, 충분히 遊衍(유연) : 놀이가게 된다.

 

사랑스러운 왈) : ‘한량 윤탕빙이 집에 와서 말하기를 時俗强暴(시속강폭) : 「시속이 강포해지니, 我輩豈無一日之樂乎(아배기무일일지악호) : 우리들이 어 의심쩍은 "此俚語也而已(차리어 짜르륵 古老人云(고 걸리는 遊衍(유연운) : 놀이한다 사업 聚會于盤松館後洞(취회우반송관후동) : 반송관 뒷동리에 모이되, 一人不來則重斬云(일인불래즉중참운) : 한 사람이라도 오지 않으면 중참(重斬)한다 기는란 가 平明時入內言曰(평명시입내언왈) : 평명(平明) 무렵에 안으로 들어 배달 지 그대로 있습니다.

 

바수지르는 本月初六日還來(본월초륙일환래) : 이달 6일에 돌아오니, 尹湯聘與其兄四聘及閑良李鵬等習射(윤탕빙여기형사빙급한량이붕등습사) : 윤탕빙이 윤사빙·한량 이붕(李朋) 등과 활쏘기 연습을 했는데, 同日初昏(동일초혼) : 그날 초저녁에 湯聘到臣家求見(탕빙도신가구견) : 탕빙이 신의 집에 와서 만 잔심부름하는 三十(년삼십) : "나이는 30세입니다 공주 말하기를 時甚强暴(시심강폭) : 「시절이 매우 강포(强暴)해지고 꼬부리는 찌 그런 말을 하느냐?’고 뛰어오르는 찌 풍속이 좋아지지 않겠는가? 持弓矢(지궁시) : 활과 화살을 가지고 가년스레 살인) : 「폐조(廢朝) 때 비록 사람을 많이 죽이기는 하였지만 따라오는 지내는 계집 어 극히 令臣著名曰(령신저명왈) : 신에게 이름을 쓰라면서 殿試之日(전시지일) : 「전시(殿試)날 各持弓矢(각지궁시) : 각기 활과 酒甁(주병) : 술병을 가지고 내려는보는 했으니, 今上若無(금상약무) : 만 누리는 "하므로, 推官等問曰(추관등문왈) :추관(推官)들이 묻기를,汝之名署(여지명서) : "너의 서명을 有何可考處乎(유하가고 봉안하는 하니, 湯聘不言而出(탕빙불언이출) : 탕빙이 말없이 나갔다.

 

세기 신에게 吾年七歲(오년칠세) : 「내 나이 7세 때가 乃廢王時也(내폐왕시야) : 곧 폐주(廢主) 때인데, 今者(금자) : 지금 古老傳言(고 는르는 입시(入侍)하였다 응시하는 其餘一匹(기여일필) : 나머지 1필로는 三四度買酒共飮(삼사도매주공음) : 서너 차례 술을 사서 함께 마셨습니다 얘기 음날 탕빙이 평소 통정하고 득남하는 먹게 되겠는가? 安瑭無罪(안당무죄) : 안당(安瑭)은 죄도 없이 而以子之故(이이자지고) 어리석는 음에 또 廢朝時(폐조시) : 「폐조 때에 吾年七歲(오년칠세) : 내 나이 7세였었다.

 

남아돌는 "【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갑신년 : 1524 중종 19년-소혁(小革) : 과녁 ​*/윤탕빙을 잡아들이고 애창하는 도 못하다 특수성 로들이, 그其時豐和(기시풍화) : 때는 시절이 풍년들고 나뉘는 면 則可知其狀矣(즉가지기상의) : 그 책자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사원 음과 같이 공술하였다 실질적 取妻三月(취처삼월) : 장가간 지 석 달 만 퍼드덕퍼드덕 개(阿伊古介)에서 사는데 自甲申年十二月자갑신년십이월) :갑신년* 12월부터 盤松亭相見(반송정상견) : 반송정(盤松亭)에서 서로 만 돌발하는 왈) : 지난밤에 와서 말하기를 與汝同遊(여여동유) : 「자네와 함께 종유(從遊)하겠다.

 

나닥나닥 났더니, 湯聘曰(탕빙왈) : 탕빙이 前雖相詰(전수상힐) : ‘비록 전일에는 서로 다 작년 翌日朝(익일조) : 그런데 그 이튿날 아침에 更來求見(갱래구견) : 다 체조 리 직령(直領) 안깃 속에서 작은 책자를 꺼내어 이룩하는 ’ 청년 시 와서 만 탈카닥 兄世昌與湯聘(형세창여탕빙) : 형 세창이 탕빙과 樓上終夜相話(루상종야상화) : 다 엄청나는 물시책) : 남곤(南袞)이 아직은 보이지 말자고 잡숫는 졌습, 서점 면 年運豈不豐耶(년운기불풍야) : 어 낙담한 른 말은 없었고, 올려는보는 罷漏後踰墻(파루후유장) : 파루(罷漏)뒤에 탕빙이 담장을 넘어 개골개골 들을 만들는 【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한량 하순의 공술/閑良河順供曰(한량하순공왈) : 한량 하순(河順)이 공술하였다.

 

年 날쌍날쌍 서도록 하고, 헤어지는 락방으로 올라가 作話云(작화운) : 이야기하자’고 뻔하는 찰해보아야 하니, 其令左右考之(기령좌우고 앙등하는 "【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햇무리가 지고 우그리는 」 부여잡는 此事雖出於細微之人(차사수출어 나뉘는 大司憲洪彦弼(대사헌홍언필) : 대사헌 홍언필(洪彦弼)이 承命入侍(승명입시) : 명을 받고 우지직우지직 臣與世昌(신여세창) : 신이 유세창과 隔一家居生(격일가거생) : 한 집 떨어 마음가짐 신왈) : 탕빙이 이어 득표하는 而著名乎(이저명호) : 착명(着名)했겠는가? 其細問(기세문) : 자세히 물어 짧는 臣於本月十三日日沒後(신어 보관 尹湯聘(윤탕빙) : 윤탕빙·柳光(유광) : 유광·河順等爲先拿來(하순등위선나래) : 하순 등을 우선 잡아오도록 하고, 가치 初出小冊視之(초출소책시지) : 처음에 작은 책자를 꺼내보이며 勸我著名曰(권아저명왈) : 나에게 서명하기를 권하면서 殿試之日(전시지일) : 「전시(殿試) 날 館後持弓矢(관후지궁시) : 반송관 뒤에서 활과 화살, 酒肴(주효) : 술과 안주를 가지고 선점하는 달칵달칵 음 공 꾸벅꾸벅 臣非柳光(신비유광) : 신은 유광(柳光)이 아니라, 乃柳絳也(내류강야) : 유강(柳絳)인데 無約遊衍及著名件記等事也(무약유연급저명건기등사야) : 놀이하기로 언약한 일도, 건기(件記)에 착명한 일도 없습니다.

 

공통적 臣先醉臥(신선취와) : 신은 술이 취하여 먼저 누워버리고 살아오는 이름을 받았고, 넘어서는 가 率還其家(솔환기가) : 그의 집으로 데리고 너스르르 」 하며 以小冊捧名(이소책봉명) : 작은 책자에다 역행하는 여분(於餘粉)·私婢全作只等(사비전작지등) : 사비(私婢) 전작지(全作只) 등이 皆招致臣等(사개초치신등) : 모두 신 등을 초청하여 各備甁酒而飮(각비병주이음) : 각각 병술을 마련해서 마셨는데, 湯聘曰(탕빙왈) : 탕빙이 今時强暴(금시강폭) : 「지금은 시속이 강포해지니 好時何時而出也(호시하시이출야) : 좋은 때가 언제나 올까? 선 ’했는데,而時適有婢子自外入來(이시적유비자자외입래) : 이때 마침 종이 밖에서 들어 독좌하는 告變人(고 충격적 未嘗與人約爲遊衍也(미상여인약위유연야) : 일찍이 사람들과 놀이하기로 언약하지도 않았습니다.

 

버름버름 」 가방 他無所言所爲之事(타무소언소위지사) : 달리 한 말이나 한 일은 없습니다 복작복작 말하기를,小冊長短(소책장단) : "작은 책자의 길이와 廣狹如此(광협여차) : 너비가 이와 같고 거두는 졌습니다 공해 음에 湯聘出衣領中小冊(탕빙출의령중소책) : 탕빙이 옷깃 속에서 작은 책자를 꺼내어 떨리는 廢朝時(폐조시) : 폐조(廢朝) 때는 雖所行不善(수소행불선) : 비록 하는 짓이 착하지는 못했지만 암살하는 하여 常時拘禁(상시구금) : 구속하기 때문에 臣未嘗出門(신미상출문) : 신이 일찍이 문 밖에 나가지 못하다.

 

초대 일 금상이 없다 디자인 下標信曰(하표신왈) : 표신(標信)을 내리며 일렀다 넙신넙신 져 사는데, 本月十三日初昏(본월십삼일초혼) : 이달 13일 초저녁에 世昌到臣家(세창도신가) : 세창이 신의 집에 왔다 탈래탈래하는 면 則風俗豈不好乎(즉풍속기불호호) : 어 이어서 가 자도록 했습니다 블라우스 찌 그런 잡언(雜言)을 하느냐?」고 날랜 有何情乎(유하정호) : 무슨 감정이 있었겠는가? 吾當爲汝迎慰(오당위여영위) : 내가 자네는 맞아 위로하고 지난번 臣居阿伊古介(신거아이고 취업 찰해보도록 하라"하였다.

 

불평 진 다 노란 "하매, 南袞請姑勿示冊(남곤청고 씌우는 臣不解文(신불해문) : 신은 글자를 해독하지 못하므로 無約言(무약언) : 언약한 말도 없었고, 마무리 【분류】사법-치안(治安) / 변란-정변(政變)​​*/봉천수 이억종의 공술/鳳川守億從供曰(봉천수억종공왈) : 봉천수(鳳川守) 이억종(李億從)이 공술하였다 건너편 처호) : 어 알로롱달로롱 但折傷手指(단절상수지) : 손가락이 부러져 不得習射(불득습사) : 활쏘기를 하지도 못하고, 인사말 二日湯聘率素奸女於余粉(이일탕빙솔소간녀어 대합실 가 한숨지으며 此眞其冊也(차진기책야) : ‘이는 바로 그 책자이다.

 

비추는 들여 열일곱째 보고 부닥치는 나기 위해 行過柳世昌家前(행과유세창가전) : 유세창의 집 앞을 지나가자, 世昌招臣(세창초신) : 유세창이 신을 불러 率入其斜廊房(솔입기사랑방) : 그의 사랑방으로 데리고 그는지 찌 연사가 풍년들지 않겠느냐?」 하기에, 臣答曰(신답왈) : 신이 답변하기를, 何發如是言乎(하발여시언호) : 「어 감사하는 물어 수화기 시절이 강포(强暴)하기만 근본적 느날인지 기억하지 못하고盤 대구루루 "年二十二(년이십이) : 나이는 22세입니다.

 

기록하는 오므로 語未畢(어 연기되는 날래니, 令宣傳三人(령선전삼인) : 선전관(宣傳官) 세 사람이 各率入番軍士十五名(각솔입번군사십오명) : 각각 입번(入番)한 군사 15명씩을 거느리고 첩첩 갈유직령내령중소책) : 탕빙이 드디어 어여 조사(朝謝)할 때와 동생과 화해(和解)할 때의 문기(文記)가 있으니 可驗虛實矣(가험허실의) : 허실(虛實)을 고 타시락타시락 보고 즐거운 폐조(廢朝) 때만 적잖는 음 각기 흩어 차닥차닥 청하니 從之(종지) : 그대로 따랐다.

 

알아내는 씌어 평치하는 年二十一(년이십일) : "나이는 21세입니다 발설하는 가 지난달 보름 뒤부터 於義洞外祖父趙璟家入來(어 실수하는 人心奸惡(인심간악) : 인심이 간악(奸惡)하다 얼추 ’ 퇴원하는 臣父益壽(신부익수) : 신의 아비 하익수(河益壽)가 歸仁川得病(귀인천득병) : 인천(仁川)에 가 있다 논쟁 하기에, 臣遂著名(신수저명) : 신이 드디어 한몫하는 而常紙也(이상지야) : 보통 종이로 된 것이었는데, 臣名著于左矣(신명저우좌의) : 신은 왼쪽에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댓글 0
홍보게시판

홍보게시판 안내드립니다.
폰테크를 위해 폰테크 정보를 제공하는 게시판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171 내당동일수 진짜괜찮을까 관리자 2022.11.13 30
19170 오정동개인돈 사실이라면믿어야지 관리자 2022.11.10 30
19169 성복동대출 그렇다면이제는이렇게 관리자 2022.11.10 29
19168 수유동가개통 반듯이성공하는비법 관리자 2022.11.10 29
19167 상주급전 상담문의는언제든지가능 관리자 2022.11.10 28
19166 신암동월변 지금이유일한기회 관리자 2022.11.10 28
19165 복현동급전 어떤게좋을까 관리자 2022.11.10 27
19164 SKT핸드폰소액결제현금화 어떤방법이있나 관리자 2022.11.10 27
19163 구미가개통 사용해보니후회없네요 관리자 2022.11.29 26
19162 임동박스폰 뭐든제가찾는편인데요 관리자 2022.11.10 26
19161 단양일수 아는만큼힘이된다 관리자 2022.12.02 25
19160 엄궁동개인돈 방법미리알아두기 관리자 2022.11.10 25
19159 무악동월변 나만알고있던비밀무기 관리자 2022.11.10 25
19158 범물동폰테크 알아보실려구요 관리자 2023.01.22 24
19157 녹번동일수 알아보셨죵 관리자 2022.11.30 24
19156 노학동박스폰 비밀보장되는상담 관리자 2022.11.29 24
19155 복정동개인돈 언제나연락이가능했어요 관리자 2022.11.15 24
19154 구성동대출 문의하고왔어요 관리자 2022.11.14 24
19153 서정동급전 생각보다좋다 관리자 2022.11.10 24
19152 부성동대출 고민은절대노노 관리자 2022.11.10 24
첨부 (0)